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3.
        201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장대교량의 실현을 논함에 있어서 보강거더의 플러터 안정화는 필수적인 검토 항목이다. 본 연구에서는 보강거더의 등가비정상공기력계수의 개념에 기초하여 연성플러터를 안정화하는 해석적인 접근방법을 제시하였다. 등가비정상공기력계수는 교축방향으로의 서로 다른 형상의 보강거더 배치와 구조계의 진동모드에 영향을 받는다. 우선, 평행식 및 모노듀오 형식 초장대 현수교를 대상으로 평판의 비정상공기력계수를 이용하여 대칭 및 역대칭 1차 연직/비틀림 진동모드에 대한 연성플러터 특성 분석 및 플러터 안정화 개념을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모노듀오 초장대 현수교의 연성플러터 안정화 방안으로서, 그레이팅 거더 및 평판 단면을 이용하여 교축방향으로의 효과적인 배치방안에 대해 제시하였다.
        4,000원
        4.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늘어나고 있는 스트레스로 인한 피로와 심리적 장애로 인해 현대인들은 고통 받고 있다. 다수의 사람들이 고통을 완화시키기 위해 약물치료에 의존하고 있는 추세이며 대체의학이나 대체요법으로 치료하는 사람들도 많이 있다. 그러나 약물치료는 약물 복용 후 더 많은 스트레스를 겪는 등 여러 가지 부작용을 가지고 있다. 이에 비해 대체요법의 테라피분야, 마사지, 발반사요법 등은 비 약물치료로써 인체에 부담이 덜하며 편안한 심신을 유지하며 치료받을 수 있는 부분이다. 이에 본 저자는 컬러테라피요법과 발반사요법의 장점을 종합하여 고통이 없이 간단한 방법으로 치료효과를 볼 수 있는 컬러 발반사요법(color foot reflexology)을 전 연구에서 공동개발한 바 있다. 이를 본 논문에서는 자극시 효과에 플라시보 효과를 대조군으로 비교하여 인체생리신호측정반응을 평가하여 발 컬러 반사요법이 인체생리반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정량적으로 연구하였다. 최적화된 실험환경과 객관화된 시스템에서 건강한 성인군을 대상으로 실험하였다. 그 결과 자극을 주었을 때는 HRV에서 부교감신경의 증가세가 나타났으며 혈압, 맥박, 체온 말초혈류량이 활발하게 작용하는 변화를 보였다. 그러나 플라시보에서는 거의 변화가 없거나 뷸규칙적인 결과가 나타났다. 이결과는 컬러 발반사요법이 자율신경계와 인체생리적반응에 긍정적인 영향에 관계됨을 알 수 있으며 이는 개발 기기의 유효성을 증명하는데 좋은 자료로써 충분한 근거이다. 그리고 이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 후 발과 관련하여 불규칙적인 생리현상에 의한 질병이나 질환에 관하여 특정군을 대상으로 실험 연구하여 객관적인 실험검증을 할 계획이다.
        4,000원
        5.
        2012.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척추변형의 치료는 수술을 통하거나 보조기 등의 교정기를 착용하는 것을 일반적인 방법으로 하나, 후유증의 위험과 성장과 함께 재환원 되는 문제가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자세교정의 환원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동적-통제적 정보처리 모형을 적용하여 의식적 자세조절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Feldenkrais (1903~1984), Pilates (1880-1967)의 이론들과 국선도와 합기도의 호홉 기법을 적용하여 16개 동작으로 구성된 의식적 자세조절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의식적 자세조절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초등학교 4-6학년 학생 총 45명의 참가자를 세 집단으로 나누어 의식적 자세조절 운동에 15명(남 10명, 여 5명), 자세조절 운동에 15명(남 8명, 여 7명) 그리고 통제집단 15명(남 8명, 여 7명)으로 무선 할당하였다. 의식적 자세조절 프로그램은 10주가 진행되었으며, 측정은 사전, 10주 운동 직후, 4주 휴식기 후에 어깨각도, 척추각도, 발란스, 전방굴곡이 측정되었다. 그 결과, 처치 전에 실시한 어깨각도, 척추각도, 발란스, 전방굴곡 모두에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으며, 특히 휴식기에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자세조절 운동시에 동작에 대한 의식적 집중이 자세조절의 자동화를 촉진시킨 것으로 해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