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1.
        2012.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olydimethylsiloxane(PDMS) 몰드를 이용하여 Thermal Imprinting 방법을 통해 광변색 물질인Nitrospirobenzopyran(NSB)를 포함하는 Polystyrene 박막을 패터닝하였다. 패턴된 광변색 소자의 변색 및 탈색에 따른 흡광도 스펙트럼 및 회절효과를 조사된 자외선량에 따라 측정하여 자외선 조사량에따른 회절 효율 변화를 식으로 근사할 수 있었으며 회절 효율로부터 소자의 굴절률 변화량을 계산해 낼 수 있었다. 변색 전 회절효율은 6.75%, 공기와의 굴절률 차이 값은 0.078였으며, 200J/m2의 자외선량이조사된 후의 회절효율은 7.56%, 공기와의 굴절률 차이 값은 0.083로 나타났다. 광변색 패턴의 자외선에의한 회절효율의 변화는 자외선 감지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2.
        2011.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olydimethylsiloxane(PDMS) 몰드를 사용한여소프트 리소그래피 방법을 통해 Poly(3-hexylthiophene)(P3HT)가 서브 파장(subwavelength) 사이즈로 나노패턴 된 전기 변색 소자를 제작하였다. 나노 패턴된 전기 변색 소자를 사용한여 착색 및 소색 상태에 따른 빛의 편광 효과를 패턴의 방향을 바꿔가며 측정하였으며, 인가전압에 따라 변화되는 고분자의 도핑 상태에 의해서 편광된 빛의 세기를 손쉽게 가역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었다. 편광 효율을 최댓값과 최솟값의 비로 정의하여 실험을 통해 1.7의 편광 효율값을 계산할 수 있었다. 산화, 환원 반응에 따른 고분자의 구조변화에 의해 도핑 상태에 따라 굴절률 차이가 생기게 되고 이에 따라 편광 된 빛의 세기를 인가전압의 스위칭만으로 조절할 수 있었다. 전기 변색 소자에 -2V와 2V 전압을 인가해 주었을 때 고분자 패턴과 전해질 사이의 굴절률 차이는 0.61과 0.99의 값으로 나타났다.
        4,000원
        3.
        2014.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Duodenal diverticula are frequently observed in upper gastrointestinal endoscopies or upper gastrointestinal series. Most duodenal diverticula are asymptomatic, and complications are rare, however, diverticula occasionally result in diverticulitis, hemorrhage, obstruction, perforation, or sepsis. Most ingested foreign bodies are passed spontaneously and evacuated through gastrointestinal movement, but, if these foreign bodies are sharp and become impacted in a pathological lesion, such as a diverticulum, the risk of complications can be very high. In this paper, we report on a case of duodenal diverticulitis resulting from impacted bone-like food material. In this case, the food-material-induced diverticulitis showed spontaneous improvement through supportive care.
        4.
        2014.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elioidosis, an infectious disease caused by the facultative intracellular gram-negative bacillus Burkholderia pseudomallei, is geographically restricted to Southeast Asia and Northern Australia. It commonly affects patients with underlying medical disease, such as diabetes mellitus or renal failure. In South Korea, only six cases of melioidosis have been reported in the literature. However, none of the patients had chronic kidney disease. We report on a case of melioidosis presenting as septicemic pneumonia in a 48-year old man undergoing hemodialysis. He was a returning traveler from Thailand.
        5.
        2014.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icacy of tenofovir in HBV patients at 12 months after treatment. A total of 122chronic hepatitis B patients who took tenofovir for at least 12 months were enrolled. We measured ALT levels, HBeAg, anti-HBe, HBV DNA, and serum creatinine at six and 12 months after treatment. The virological response rate at six and 12 months after treatment in naïve patients was 27.1% and 41.7%, respectively. High virological response rate at six and 12months after treatment showed an association with initial low HBV DNA titer and initial negative HBeAg stat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