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ree sugar contents of ten kinds of fruits and fruit vegetables that were collected from many district in Korea. The analyzed results will be used as basic nutrition component reference to processing.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 total free sugar contents among the ten kinds of fruit vegetables was highest in grape. The contents of glucose, fructose and sucrose were 6.39%, 6.27%, 0.28%, respectively. The average total sugar contents of four cultivar of apple was 11.42% and average fructose contents was 6.13%. The free sugar contents of thirteen samples of the same cultivar of apple were all differing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average total free sugar contents of eight cultivar of peach was 8.66%. In case of tomato, glucose content was approximately 1.35~2.83% and fructose was 1.26~2.51%. The contents of glucose, fructose and sucrose in paprika were 2.19%, 2.06%, 0.1%, respectively.
To determine sugars content of agricultural products and foods, simultaneous quantitative analysis was carried out on fructose, glucose, sucrose, maltose, and lactose by HPLC-RI. Analysis conditions were set as column ZORBAX carbohydrate (4.6 mm ID×250 mm, 5 μm), the mobile phase of 75% ACN, the column temperature of 35oC, sample injection amount of 10 μL and the flow rate of 1 mL/min. Five standard solutions were isolated without interfering peak within 30 minutes and the calibration curves of standard were confirmed excellent linearity from 0.10% to 1.00% with R2≥0.999. Based on the chromatogram of the standard solution, the limit of quantification (LOQ) and the limit of detection (LOD) values were calculated. The accuracy of the analytical values were highest at 100% water extraction method to the fructose 95.7%, sucrose 98.7%, lactose 102.7% respectively, compared with reference value of a certified reference material (BCR644), by applying the four solvent extraction methods. Using an in-house quality control material (infant formula), repeatability and reproducibility values of this experiment were verified on the basis of AOAC guideline and reference values were set up at 1.17 g/100g of glucose, 0.85 g/100g of maltose, and 45.54 g/100g of lactose. Quality control charts were drawn up and used for sugars analysis of agricultural products.
아위느타리버섯에 대한 재배사내 CO2 농도에 따른 생육 및 수량성을 검토하여 시설재배에 적합한 CO2농도를 구명하고자 재배사의 CO2 농도를 500, 1000, 1500, 2000ppm으로 조절하면서 재배시험을 실시한 결과, 자실체 수량은 CO2 1000ppm 처리에서 102.4g/병으로 가장 높았고, CO2 2000ppm 처리에서 75.1g/병으로 가장 적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CO2 농도에 따른 초발이 소요일수는 CO2 농도가 증가할수록 길어지는 경향으로 CO2 500, 1000ppm 처리에서는 6일, CO2 1500, 2000 처리에서는 각각 8일과 9일이 소요되었으며 생육일수 또한 같은 경향을 나타내어 수확에 소요되는 전체 재배일수는 CO2 500ppm 처리에서는 16일, CO2 2000ppm 처리에서는 23일로 나타났다. 아위느타리버섯의 생육상황은 발이개체수는 1500ppm 처리에서 12.2개, 유효경수는 1000ppm 처리에서 2.8개로 가장 많은 경향이었고, 자실체 갓직경, 대직경, 대길이 등은 처리간 차이가 없었으며, 자실체의 비정형과 발생율은 CO2 500, 1000, 1500ppm 처리에서는 4.0~7.3%로 유의차가 없었으나 2000ppm처리에서 13.8%로 현저히 증가하였다. 수확기 자실체의 중량에 따른 등급별 분포는 50g 이상은 갓의 신장이 1~2개체에서만 두드러졌던 500ppm 처리에서 10.3%으로 가장 높았으나, 상품화가 가능한 상등급과 중등급의 비율은 CO2 1000ppm 처리에서 65.4%로 가장 많았고. CO2 2000ppm 처리에서는 20g 이하의 하품의 비율이 59.3%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확기 자실체 갓과 대의 경도, 응집성, 검성 등의 물리적 특성은 처리간 큰 차이가 없어 CO2 농도가 수확기의 자실체 물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로 아위느타리버섯 대량생산을 위한 시설재배사의 적정 CO2 농도는 자실체 수량과 유효경수가 많고 상품화가 가능한 중량의 개체 생산비율이 높은 CO2 1000ppm 처리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병재배 버섯 안정생산을 위한 배지 재료 선택의 폭을 다 양화하고 각종 유기성 부산물의 버섯배지 로서 대체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시험을 수행한 결과 를 보고하고자 한다. 첫째, 톱밥 대체를 위한 실험결과 배지종류별 pH는 미송 톱밥과 코코피트가 5.1이었고, T-C는 미송 톱밥이 55.3%, T-N의 함량은 콘코브가 0.86%, C/N은 미송톱 밥이 291로 다른 주재료에 비해 크게 나타났다. 배지재 료 혼합비율별 화학성으로 pH는 T5가 6.5로 가장 높은 반면에 T3는 5.6으로 약산성을 나타내었으며, 전체 처리 구의 C/N율은 27∼34였다. 배지재료 혼합비율별 균사생 장속도는 T4가 13.9mm/일로 대조와 동일하였으며, 배양 율은 T3를 제외한 모든 처리구에서 99%이상이었고, 측 발이율은 T4가 1.1%로 가장 낮았다. 배양기간은 T4, T5 에서 20일로 대조와 동일하였으며, 초발이소요일수도 T4, T5가 4일로 대조와 같았으며, 생육일수는 T4에서 6 일로 대조와 동일하였다. 배지재료 혼합비율별 생육특성 은 T4의 경우 갓크기/대길이 비율이 0.4, 대굵기가 9.6mm로 대조와 유사한 경향이었고, 유효경수는 20.7개, 수량은 133.4g/850cc병 으로 대조와 대등하였다. 또한 생물학적 효율은 76.8%로 혼합배지 중 가장 컸다. 둘째, 면실박 대체배지 재료의 T-N함량은 대두박이 12.0%로 가장 많았고, 면실박은 8.2%, 케이폭박이 2.4% 로 가장 적었다. 혼합배지의 T-N의 함량은 대두박 처리 에서 3.2%로 가장 높았고, 케이폭박처리는 2.5%로면실 박처리의 2.4%와 비슷하였으며, C/N율은 대두박처리가 16으로 가장 낮았고, 야자박처리에서 29로 가장 높았다. 혼합배지별 배양율은 대두박처리를 제외한 전처리 모두 양호하였으나, 케이폭박처리에서 99.5%로 가장 높았으 며, 혼합배지내 질소함량이 가장 높았던 대두박에서는 61.8%로 현저히 저하되었다. 초발이소요일수는 야자박 이 4일로 가장 빨랐고, 면실박, 케이폭박처리에서 5일 소 요되었으며, 채종박과 면실박+대두박처리에서는 6일로 가장 오래 소요되었고, 대두박처리는 발이 및 자실체 발생 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혼합배지별 생육일수는 큰 차이가 없었다. 자실체 수량은 케이폭박처리에서 144.6g/ 병으로 가장 높아 면실박 122.0g/병보다 우수하였고 생물 학적 효율도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나 대체배지로서의 활용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수확기 자실체 유효경 수는 케이폭박처리에서 43.2개/병으로 현저히 많았고, 야 자박, 면실박+대두박처리에서 30.3, 23.5개/병으로 발이 가 불량하였으며, 갓직경은 처리간 차이가 없었다. 수확기 갓의 색도는 면실박+대두박처리에서 L값은 46.7로 가장 높았고, a값은 처리간 큰 차이가 없었으며, b값은 채종박 처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나, 배지종류에 따라 갓색이 미 세하게 달라지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병버섯 느타리버섯의 톱밥은 코코피트, 면실박은 케이폭박이 사용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실험은 NFT재배에서 배양액내 NO3-N과 NH4-N의 비율과 CO2 시용이 결구상추의 생육,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배양액의 pH와 EC를 보정하지 않았을 경우, NO3-N:NH4-N이 100:0인 구에서의 pH는 점차적으로 증가하였고, NH4-N의 비율이 높을수록 급격히 저하하여 pH4.0까지 낮아졌다. 2. 배양액을 보정하지 않은 상태에서 NO3-N 및 NH4-N의 일 변화를 측정하여 본 결과, NO3-N의 흡수율은 NO3-N:NH4-N이 75:25, 50:50 처리구에서 각각 27.7%, 26.1% 였으나 NH4-N의 흡수율은 87.9%, 71.2%로 결구상추는 NH4-N을 우선적으로 흡수하였다. 3. 엽내 무기성분 함량에서 T-N는 NO3-N과 NH4-N 비율에 따른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P2O5, K2O, CaO, MgO는 생육이 가장 좋았던 CO2 1500ppm 시용과 NO3-N:NH4-N이 100:0에서 높게 나타났다. 4. CO2 시용에 의한 각 처리별 CO2 동화율도 수량과 같은 경향을 나타내어 CO2 1500ppm 시용과 NO3-N:NH4-N이 100:0 처리에서 가장 높았고, 배양액의 NH4-N비율이 높아질수록 현저히 떨어졌다. 5. 결구상추의 생육은 CO2 1500ppm 시용과 NO3-N:NH4-N이 100:0 처리에서 가장 좋았고, CO2 무처리구에 비하여 CO2 1500ppm 처리구에서 대체로 양호하였으나, NO3-N:NH4-N이 75:25, 50:50인 처리에서는 CO2 시용에 의한 수량의 증가가 경미하여 처리간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6. 엽중 nitrate함량은 배양액의 NO3-N함량과 비례하여 NO3-N:NH4-N 이 100:0에서 가장 높았고, vitamin C 함량은 NO3-N:NH4-N이 100:0인 처리에서 가장 낮고, NH4-N의 비율이 많을수록 높아졌다. CO2 시용에 의하여 엽중 질산염함량은 경감할 수는 있었으나 그 효과는 경미하였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