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6

        1.
        201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강원도 홍천군 지역의 관속식물상을 밝히고 주요 식물들의 분포를 조사하였다. 2008년 4월부터 2009년 5월까지 총 13회에 걸쳐 조사하였다. 그 결과 관속식물은 43목 118과 443속 903종 6아종 125변종 18품종 3교잡종으로 총 1,055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그 중 한반도 특산식물은 37분류군이며, 산림청 지정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이 35분류군 이었고 국외반출 승인대상 식물에는 61분류군이 조사되었다. 또한 환경부 지정 법정 보호식물은 4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224분류군으로 집계되었다. 한편 귀화식물은 45분류군으로 확인되었으며, 귀화율은 4.3%, 도시화지수는 16.1%로 나타났다. 조사된 1,055분류군의 유용도는 식용이 359분류군(34%), 약용 293분류군(27.7%), 목초용 166분류군(15.7%), 관상용 143분류군(13.5%), 목재용 41분류군(3.9%), 섬유용 25분류군(2.3%) 그리고 공업용이 3분류군(0.2%)으로 나타났다.
        7,800원
        2.
        2008.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 비슬산(1,083m)의 식물상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2006년 5월부터 2007년 10월까지 10회에 걸쳐 채집된 관속식물은 89과 302속 397종 1아종 59변종 11품종의 총 468분류군이 확인되었다. 한국특산식물은 자주꿩의다리, 매미꽃, 청괴불나무 등 17분류군, 환경부지정 법적 보호식물은 세뿔투구꽃의 1분류군, 산림청지정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이 태백제비꽃, 나도개감채, 금강애기나리 등 6분류군으로 나타났다. 귀화식물은 34분류군으로 확인되었으며, 귀화율은 7.3%, 도시화지수는 12.2%로 나타났다. 본 조사에서 새롭게 확인된 식물은 160여 분류군이며, 이중에 귀화식물은 미국자리공, 금낭화, 다닥냉이, 잔개자리, 애기땅빈대, 돼지풀, 코스모스, 주홍서나물, 털별꽃아재비, 원추천인국, 방가지똥, 만수국아재비, 서양민들레, 나도바랭이, 큰김의털, 호밀풀, 자주닭개비 등 17분류군이 새롭게 추가되었다. 본 지역은 세뿔투구꽃을 포함한 보존가치가 많은 식물자원이 분포하고 있으나 무분별한 개발 행위와 많은 탐방객의 출입 등으로 자연파괴가 가속화될 우려가 있으므로 탐방객수 제한이나 자연휴식년제와 같은 관리계획이 수립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6,100원
        3.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조사를 통하여 서대산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의 목록과 유용성을 밝히고, 귀화식물의 분포를 밝히고자 하였다. 서대산지 역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을 대상으로 2001년 8월부터 2003년 10월까지 조사한 결과 94과 287속 402종 29변종 3품종 1잡종 등 총 465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이는 우리나라 관속식물 4,071분류군의 11.4%에 해당된다. 유용식물자원은 총 388종류의 자원식물이 분류되었으며, 소산식물의 83.4%에 해당된다. 식용자원은 199
        4,800원
        4.
        2019.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2016년 환경부가 한반도 미유입 환경위해우려종으로 고시한 41분류군을 대상으로, 분류학적 특징을 이용하여 종을 동정하 는 방법을 제공하고 또한 자생지의 분포 및 환경 특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외의 여러 표본관에 소장된 건조표본을 확인하였으며, 미국 서부 지역인 캘리포니아주, 오레곤주 및 워싱턴주의 현장조사를 수행하였다. 우선, 조사 결과의 일부로 미국 서부 농업지역을 중심으로 분포하는 Carduus acanthoides L. (국화과), Carduus tenuiflorus W. Curtis (국화과), Onopordum acanthium L. (국화과), Chromolaena odorata (L.) R.M. King & H. Rob. (국화과), Hydrocotyle ranunculoides L.f. (산형과), Oenanthe pimpinelloides L. (산형과), Ehrharta erecta Lam. (벼과), Paspalum conjugatum P.J. Bergius (벼과)의 8종에 대하여 위해성 검토, 잡초위험평가, 분류학적 특징 및 국내외 유사종과의 비교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5.
        2019.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경기도 파주시에 위치한 파평산의 관속식물상 조사를 위하여 수행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고유종, 희귀 및 멸종식물, 적색식물, 기후변화적응대상 식물, 귀화식물을 조사하였다. 2016년 4월부터 2019년 6월까지 총 13회에 걸쳐 현지조사를 실시한 결과 91과 257속 361종 9아종 36변종 4품종으로 총 410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과별로 보면 국화과(46분류군), 벼과(31분류군), 장미과(27분류군), 콩과(18분류군) 순으로 높게 나타난다. 이 중 Chung 등이 지정한 특산식물은 9분류군, 환경부가 지정한 고유종은 6분류군이다. 희귀 및 멸종위기 식물은 IUCN 평가기준을 근거로 국립수목원이 지정한 멸종위기식물 13분류군이, 환경부가 지정한 적색자료집을 근거로 2분류군이 확인된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Ⅳ등급 2분류군, Ⅲ등급 13분류군, Ⅱ등급 11분류군, Ⅰ등급 20분류군으로 총 46분류군이다. Lee (1976)에 따른 자원식물은 식용 182분류군(44.39%), 목초용 166분류군(40.49%), 약용 138분류군(33.65%), 관상용 53분류군(12.93%), 목재용 22분류군(5.37%), 다용도 11분류군(2.68%), 섬유용 6분류군(1.46%), 산업용 1분류군(0.24%) 순이며, 산림청 지정 자원식물은 식용 293분류군(71.46%), 산업용 186분류군(45.37%), 다용도 173분류군(42.20%), 의약용 125분류군(30.48%), 유해성 식물 84분류군(20.49%), 향료 16분류군(3.9%)순이다. 기후변화 적응대상식물은 7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귀화식물은 27분류군으로 귀화율 6.58%, 도시화지수 8.43%를 나타내었다. 본 파평산 일대의 조사로 본 결과는 파주 북부의 DMZ 접경지역의 자연환경 및 자연자원의 조사 및 보존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증거표본을 기준으로 하여 관속식물 목록을 작성하였기 때문에 조사과정에서 누락되었을 가능성을 고려하면 파평산의 관속식물의 다양성은 더 높아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조사 연구를 통해 최근 높은 빈도로 발생하는 산불의 예방, 인위적 간섭에 의한 외래식물의 침입 및 산림훼손의 방지 등을 더 정확히 파악하고, 그를 활용할 더욱 적극적이고 다양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6.
        2018.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flora of Deokjeongsan Mt. (Ganghwa-gun) from March to October 2016. The vascular plants identified during the 8 round field surveys were a to total of 484 taxa: 107 families, 305 genera, 423 species, 8 subspecies, 48 varieties, 4 forms and 1 hybrid. The plant formation of Deokjeongsan Mt. is the deciduous broad-leaved and conifer mixed forest which is the common one in the middle part of Korean peninsula. All most mountain covered with young secondary forest which is mainly composed of Pinus and Quercus. The plant species diversity largest families were Asteraceae (62 taxa, 12.7%), Poaceae (48 taxa, 9.9%), Cyperaceae (27 taxa, 5.6%), Fabaceae (23 taxa, 4.7%), and Lamiaceae (21 taxa, 4.3%). The four taxa of Korean endemic plants such as Clematis brachyura Maxim., Salix koriyanagi Kimura ex Goerz, Carex brevispicula G. H. Nam & G. Y. Chung, and Hemerocallis hakuunensis Nakai were collected. The vascular plants on the red list according to IUCN evaluation basis were found to be five taxa: Near Threatened (NT) species of Senecio argunensis Turcz., Least Concern (LC) species Pseudoraphis ukishiba Nakai, and Not Evaluate (NE) species of Thladiantha dubia Bunge, Cirsium lineare (Thunb.) Sch. Bip., and Scorzonera austriaca ssp. glabra Lipsch. & Krasch. ex Lipsch., respectively. The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found in this area were 26 taxa comprising one taxa of degree V, two taxa of degree IV, four taxa of degree III, eight taxa of degree II, and 11 taxa of degree I. In addition, the alien plants were identified as 46 taxa and the percentage of naturalized index (NI) was 9.5%, and urbanization index (UI) was 14.3%, respectively
        7.
        201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flora of Jingangsan Mt. (Ganghwa-gun). The vascular plants identified during the 11 round field surveys were a to total of 560 taxa: 114 families, 336 genera, 495 species, 7 subspecies, 53 varieties, 4 forms and 1 hybrid. A high plant diversity were Poaceae (11.0%), Asteraceae (10.8%), Cyperaceae (8.8%), Rosaceae (4.6%) and Lamiaceae (4.3%) in regular order. The four taxa of Korean endemic plants such as Viola seoulensis Nakai, Salix koriyanagi Kimura ex Goerz, Hemerocallis hakuunensis Nakai and Polygonatum infundiflorum Y. S. Kim, B. U. Oh & C. G. Jang were collected. The vascular plants on the red list according to IUCN evaluation basis were found to be four taxa: Near Threatened (NT) species of Delphinium maackianum Regel, and Not Evaluate (NE) species of Mosla japonica (Benth. ex Oliv.) Maxim., Carex paxii Kük. and Polygonatum infundiflorum Y. S. Kim, B. U. Oh & C. G. Jang. The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found in this area were 28 taxa comprising two taxa of degree Ⅳ, three taxa of degree Ⅲ, eight taxa of degree Ⅱ, and 15 taxa of degreeⅠ. In addition, the naturalized plants were identified as 44 taxa and the percentage of naturalized index (NI) was 7.9%, and Urbanization Index (UI) was 13.7%.
        8.
        2016.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flora of Mt. Cheonma (Namyangju-si, Gyeonggi-do, Korea), including Korean endemic, rare and endangered plants. To support the biodiversity and usefulness of this investigation, we checked the red list plants,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climate change adaptation target plants and naturalized plants, and compared composition of plant species in Mt. Cheonma with nearby mountains. Totally, we performed 22 field investigations from April 2012 to October 2014. The number of vascular plants in this region is 433 taxa and comprised of 94 families, 266 genera, 378 species, 2 subspecies, 46 varieties, and 7 forms. Among them, there are 13 endemic plants designated by Korean Forest Service, whereas only 10 taxa are endemic species by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KME). According to the IUCN criteria, there are 12 rare and endangered plants composed of 9 Least Concerned (LC), 2 Vulnerable species (VU), and one Endangered species (EN) found by Korea National Arboretum (KNA). Meanwhile, 8 taxa including 7 Least Concerned (LC) were found in Red List of KME. The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designated by KME were 49 taxa. In addition, there are 14 taxa in The Adaptable to Climate Change Plant List designated by KNA, while only 19 taxa are naturalized plants. Generally, there are 190 common taxa in Gwangju Mountains area, and only 51 taxa are distributed in Mt. Cheonma.
        9.
        2015.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flora of Mt. Byeollipsan (Ganghwa-gun). The vascular plants from 13 field surveys were revealed to total of 574 taxa; 116 families, 355 genera, 505 species, 8 subspecies, 52 varieties, 7 forms and 2 hybrids. A high plant diversity were Asteraceae (12.3%), Poaceae (10.6%), Cyperaceae (6.1%), Fabaceae (4.5%) and Rosaceae (4.2%) in regular order. The seven taxa of Korean endemic plants such as Clematis brachyura, Viola seoulensis, Populus × tomentiglandulosa, Salix koriyanagi, Ajuga multiflora f. rosea, Hemerocallis hakuunensis and Polygonatum infundiflorum were collected. The red data of vascular plants according to IUCN valuation basis were examined five taxa; Least Concern (LC) species of both Phacelurus latifolius and Belamcanda chinensis, Not Evaluate (NE) species of Lithospermum arvense, Scorzonera austriaca ssp. glabra and Polygonatum infundiflorum. The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found in this area were 34 taxa comprising one taxa of degree IV, six taxa of degree III, 11 taxa of degree II, and 16 taxa of degree I. In addition, the naturalized plants were identified as 46 taxa and the percent of naturalized index (NI) was 8.0%, Urbanization Index (UI) was 14.3%, respectively.
        10.
        2012.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flora of Mt. Suan (Gyeonggi-do). The vascular plant were collected 13 times (from March to October 2011), and 402 taxa in total were identified, including 102 families, 274 genera, 354 species, 6 subspecies, 40 varieties and 2 forms. Among them, 8 taxa of Korean endemic plants and the Korea Forest Service-designated rare plants were identified as 5 taxa. Based on the list of plants which have been approved for overseas delivery, 10 taxa were recorded in the investigated area. The Ministry of Environment-designated specially plants were identified as 17 taxa. The naturalized plants were identified as 41 taxa and the percent of naturalized index (NI) was 10.2% of total 402 taxa vascular plants.
        11.
        2011.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가현산의 관속식물상을 밝히고 주요 식물들의 분포를 조사하였다. 2010년 3월부터 10월까지 총 13회에 걸쳐 수행되었다. 그 결과 관속식물은 96과 267속 362종 6아종 40변종 5품종으로 총 413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그 중 한국 고유종은 6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17분류군이 조사되었다. 조사된 413분류군의 유용도는 식용이 159분류군(38.5%), 약용 122분류군(29.5%), 목초용 77분류군(18.6%), 관상용 47분류군(11.4%), 염료용 26분류군(6.3%), 목재용 14분류군(3.4%), 섬유용 6분류군(1.5%), 공업용이 5분류군(1.2%) 그리고 용도를 알지 못하는 식물도 102분류군(24.7%)으로 나타났다. 귀화식물은 41분류군으로 확인되었으며, 귀화율은 9.9%로 나타났다. 또한 생활형조성은 일년생식물(27.1%), 반지중식물(26.4%), 지중식물(14.7%)등이 높게 나타났다.
        12.
        201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가지산의 관속식물상을 밝히고 주요 식물들의 분포를 조사하였다. 2006년 3월부터 10월, 2009년 3월부터 10월까지 총 12회에 걸쳐 수행되었다. 그 결과 관속식물은 106과 314속 503종 6아종 56변종 8품종으로 총 573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그 중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은 10분류군, 한국 고유종은 20분류군이 조사되었다. 또한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야생식물은 3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64분류군, 국외반출 승인대상 식물에는 23분류군이 조사되었다. 한편 귀화식물은 22분류군으로 확인되었으며, 귀화율은 3.8%로 나타났다. 조사된 573분류군의 유용도는 식용이 217분류군(37.8%), 약용 181분류군(31.5%), 목초용 91분류군(15.8%), 관상용 86분류군(15%), 목재용 19분류군(3.3%), 섬유용 11분류군(1.9%) 그리고 공업용이 7분류군(1.2%)으로 나타났다.
        13.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vascular flora of Mt. Munsu. The vascular plants collected in 13 times(from Mar. to Oct. 2009) were identified as 511 taxa in total, including 113 families, 332 genera, 445 species, 5 subspecies, 46 varieties, 5 forms. Among them, 6 taxa of the Korea Forest Service-designated rare & endangered plants and the Korean endemic plants were identified as 2 taxa. Based on the list of approved for delivering overseas of plants, 6 taxa were recorded in the investigated area. The Ministry of Environment-designated plants, which should be protected by the wildlife protection law, were identified as 2 taxa and 39 taxa of specially designated plants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The naturalized plants were identified as 53 taxa, and their naturalization ratio and urban index were found to be 10.3%, and 18.5% respectively. There existed many kinds of plants resources having conservational value like Ranunculus trichophyllus var. kadzusensis, Jeffersonia dubia etc. in this area, but there remains a fear of nature destruction's acceleration due to indiscriminate human development and access of a lot of visitors, so it is judged that there should be a management plan, such as a limit on the number of visitors or rest-year-system for restoration of nature.
        14.
        2008.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화악산(931m)의 관속식물 분포를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2006년 5월부터 2007년 10월까지 6회에 걸쳐 채집된 관속식물은 총 92과 248속 281종 1아종 47변종 9품종의 총 338종류로 정리되었으며, 이는 한반도의 관속식물 4,881종류의 6.9%에 해당되었다. 조사 지역에서 분포하고 있는 338종류의 식물자원 유용도를 분석한 결과 총 278종류의 자원식물로 분류되었으며, 식용자원(E)은 154종류(55.3%), 약용자원(M)은 163종류(58.6%), 관상자원(O)은 58종류(20.8%), 초지자원(P)은 91종류(32.7%), 공업원료자원(I)은 22종류(7.9%), 목재자원(T)은 9종류(3.2%)로 나타났다. 특기할만한 식물로는 한국특산식물이 9종류, 산림청 지정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이 1종류,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이 21종류, 귀화식물이 19종류로서 귀화율은 5.6%, 도시화지수는 6.8%로 나타났다.
        15.
        2007.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2005년 3월부터 11월까지 전북 강천산 군립공원에 자생하는 유관속식물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조사지역내에 분포하는 식물은 97과 253속 328종 45변종 6품종 등 총 379분류군으로 관찰되었다. 조사 지역에서 분포하고 있는 379종류의 식물자원의 유용도를 분석한 결과 총 315종류의 자원식물로 분류되었으며, 식용자원(E)은 161종류(51.1%), 초지자원(P)은 121종류(38.4%), 약용자원(M)은 147종류(46.6%), 관상자원(O)은 82종류(26.0%), 목재자원(T)은 11종류(3.4%), 공업원료자원(I)은 14종류(4.4%)로 나타났다. 한국특산식물은 14과 16속 16분류군으로 조사지역내 분포하는 총 379분류군 중 약 4.2%이었으며, 특정식물 중 III~V등급 식물은 9과 9속 9분류군으로 소산식물 379분류군의 약 2.3%로 나타났으며, 진화식물은 11과 15속 14종 1변종의 15분류군으로 우리나라 전체 귀화식물 225 종류의 6.7%에 해당되었다.
        16.
        2003.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Atractylodes속과 혼용되는 Atractylis속 6분류군의 화분을 광학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본 속의 화분은 단립(monad)으로, 극축의 길이는 46.5-66.7μm, 적도면의 나비는 43.6-60.47μm이 었다. 발아구는 3공구형 (tri-colporate)으로서 , 구구(colpus)의 길이는 19.6-29.1 μm, 나비는 7.3-11.0μm이 었고, 공구의 직경 은 6.4-10.6μm 이었다. 화분벽은 외표벽 (ektexine)은 기저층(foot layer)과 원주층(columellae), 피복층(tectum)으로 구성되고, 두에는 5.2-8.3μm이었다. 화분의 표면 돌기는 자상(echinate)으로서 길이가 1.4-5.8μm이었으며, 단위면적당(No./20μm2) 분포는 6-33개 이었다 본 연구에서 취급된 분류군들의 화분, 특히 Atractylis arabica, A. aristata, A. carduus, A. microcephala의 화분형 태는 Atractylodes속의 화분과 매우 유사하였으며, 따라서 화분에 관련된 형질은 두 속을 구분하는 식별형질로 적용할 수 없었다. 그러나 화분에 관련된 형질이 Atractylodes속에서는 화분의 크기만이 속내 분류군간의 식별형질로서 기여도가 적은 반면, Atractylis속에서는 화분의 크기뿐만 아니라 형태 및 표면무늬와 자상돌기의 크기 등에 있어서 분류군간 의 식별형질로서 적용되어 분류학적 기여도가 다소 큰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취급된 분류군 중 A. cancellata와 A. prolifera는 나머지 분류군들과 달리 자상돌기가 작고 적도면상이 긴 특징은 본속의 화분의 진화경 향성을 파악하는데 매우 유용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