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1.
        200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화훼장식에서 대나무의 다양한 활용을 위 해 2001년부터 2006년까지 월간잡지 플레르(Fleur)와 국제꽃장식대회의 대나무 작품 108개를 토대로 조사하 였다. 대나무의 사용부위에 따른 사용빈도와 작업형태, 조형형태, 그리고 작품 안에서 대나무의 배열 기법을 분석하였다. 대나무의 사용부위는 줄기가 전체 작품에 서 90%를 차지하였다. 줄기가 사용된 97작품 중에서 국제 꽃 장식 대회는 매년 4월에 열리는 특성으로 대 회에 나온 20작품을 제외한 월간 잡지 ‘플레르(Fleur)’ 의 77작품을 월별로 분석한 결과, 월별 대나무가 쓰인 작품의 수는 새해의 시작인 1~2월과 한여름인 7~8월 이 가장 많았다. 줄기를 사용한 97작품에서 줄기가 사 용된 형태를 조사 분석한 결과, 가공하지 않고 자연그 대로 사용한 작품이 63%로 나타났다. 작품 속에서 대 나무의 배열 기법은 수직 병렬형이 48%로 가장 많았 다. 기타는 수직, 수평, 사선에 포함되지 않는 원형의 작품들을 분류한 것이다. 대나무가 쓰인 작품의 작업유 형은 테이블장식을 포함한 50% 이상이 공간장식의 형 태를 나타내었다. 대나무가 소재로 쓰인 작품의 조형 형태는 장식적 형태가 64%, 그래픽적 형태가 30%, 선형적 형태가 4%로 나타났다.
        4,000원
        2.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3.
        200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현재 조성되어있는 옥상정원 중 저관리형의 대표적인 초록뜰과 관리형의 작은누리, 창조의 뜰 세 곳의 식재식물과 이입식물을 조사한 후 식물의 적응도를 조사 하여 옥상정원의 식물 식재 공사 시 선택적으로 적절하게 식재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조사하였다. 저관리형 옥상정원에서 양호한 식물종은 좀비비추, 무늬비비추, 매발톱꽃, 종지나물, 두메부추, 돌마타리, 벌개미취, 난쟁이조릿대, 부추, 제주양지꽃 이 있었으며, 적응 불량종에는 한라구절초, 낙동구절초, 바위구절초, 제비꽃, 눈개쑥부쟁이, 땅채송화, 사철채송화, 바위채송화, 분홍세덤, 노랑세덤, 흰세덤, 금불초, 레몬타임, 여뀌, 쑥, 모시물통이, 고들빼기, 가막살이, 명아주, 실새삼, 수크령, 돌피, 붉은서나물, 왕고들빼기, 바랭이, 괭이밥, 왕씀바귀, 개박하, 꿩의비름이 조사되었다. 관리형의 옥상정원에서 식물적응도가 우수한 식물종으로는 국수나무, 느티나무, 단풍나무, 댕댕이덩굴, 때죽나무, 등나무, 모감주나무 버드나무, 보리수나무, 사시나무, 상수리나무, 산초나무, 산철쭉, 싸리나무, 수수꽃다리, 수양버들, 자귀나무, 자산홍, 주목, 좀작살나무, 쥐똥나무, 조팝나무, 족제비싸리, 진달래, 찔레, 으름덩굴, 인동덩굴, 포도나무, 화살나무, 홍단풍, 구절초, 골풀, 금불초, 꽃창포, 미국쑥부쟁이, 벌개미취, 부처꽃, 비비추, 산거울, 섬기린초, 수호초, 수크령, 양지꽃, 애기기린초, 애기부들, 억새, 옥잠화, 자주달개비, 족제비고사리, 질경이, 큰꿩의비름이 조사되었다. 식물적응도가 불량한 종으로는 장구밥나무, 노박덩굴, 눈향나무, 명자나무, 진달래, 갈대, 강아지풀, 금불초, 꽃잔디, 노랑세덤, 노루오줌, 독일붓꽃, 돼지풀, 둥근잎꿩의비름, 땅채송화, 리시마키아, 물부추, 명아주, 미나리아재비, 민들레, 바위솔, 바위채송화, 바위취, 보풀, 분홍세덤, 붓꽃, 사철채송화, 상록패랭이, 서양등골나물, 섬백리향, 섬초롱꽃, 소리쟁이, 속새, 송악, 쑥, 실란, 앵초, 왕고들빼기, 원추리, 여뀌, 오이풀, 자귀풀, 질경이택사, 칡, 파대가리, 파랑세덤, 한라구절초, 흰꽃세덤이 조사되었다.
        4.
        200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ffer the opportunity of contact with the nature to elementary school student by the creative educational space. We proposed educational space considering of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education, which transform plan into the system of nature image and effective space to ecological education space. The elementary school space is designed to be flexible in accommodating different time and events. It should be expected thin this design as following points: It will be improved environmental quality in elementary school, changed into the sustainable and environment-friendly green school as well. It will be energetic school as a living space for rest and ecological education. it will be improved the image of school and opened to the public. Through the elementary school space created by this plan, elementary school student will have more opportunity of contact with the n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