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

        3.
        199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분별 원심분리와 자당, percoll 밀도구배를 이용하여 목본식물인 Archicitrus와 Metacitrus잎으로부터 mtDNA 분리법을 확립하였으며, 제한효소에 의한 분절양상을 살펴보았다. 3단계의 비연속 percoll 밀도구배 원심분리에 의해 21%와, 45%의 경계면으로부터 미토콘드리아를 분리하여 정제한 mtDNA의 순도는 분별 원심분리나 자당밀도구배 원심분리에 비해 훨씬 높았으며 EtBr/CsCl 밀도구배 원심분리에 의해 분리된 mtDNA는 원심분리 튜브의 중간부위에 단일밴드로 형성되었다. 또한 성엽과 신엽으로부터 분리한 mtDNA 수율은 성엽(0.5∼1㎍/200g)에 비해 신엽 (2㎍/200g)이 약 2배 더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Eco RⅠ에 의해 나타난 총 mtDNA의 분절 양상은 약 30개였으며 4종의 Archicitrus와 Metacitrus 모두 6.5Kb와 4.3Kb 사이에서 뚜렷한 분절 밴드를 나타냈으나 그 외의 분절양상은 거의 유사하게 보여졌다. Hind Ⅲ로 처리된 총 mtDNA의 분절 양상도 Eco RⅠ의 경우처럼 약 30개였으며 분자량이 큰 DNA 분절들이 뚜렷한 양상으로 나타났으나 Eco RⅠ의 분절양상과는 달리 Archicitrus와 Metacitrus에서 각기 5개(5.5, 4.4, 4.0, 2.3, 1.5Kb), 4개(5.0, 2.4, 2.15, 2.0Kb)의 특이한 밴드들이 나타났다. Pst Ⅰ에 의해 나타난 총 mtDNA의 분절 양상은 40여개였고 C. iyo Tanaka에는 결여된 6.0, 5.0, 2.8Kb 분절이 C. junos Sieb에 특이하게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4종의 감귤속으로부터 분리한 mtDNA를 세 종류의 제한효소로 분석한 결과 Archicitrus와 Metacitrus사이에 상당한 차이를 보여 주었으며 각 아속내의 종 사이에는 거의 유사한 양상으로 나타남을 알수 있었으며 이는 감귤속의 유전적 특성과 세포질 게놈으로 존재하는 mtDNA의 특성에 따라 감귤속을 분류하는 데 토대가 되리라 사료된다.
        4,200원
        4.
        1999.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쌀을 수분함량 24%로 10시간 동안 조질한 후 roll mill로 1회 분쇄한 후 pin mill로 1회 분쇄하였을 때 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소요전력은 다른 제분방법(TRMR, WDRMR, DPMR) 보다 가장 적었다. 쌀가루의 수분함량은 수침하여 제분한 쌀가루의 32.8%, 조질하여 제분한 쌀가루의 22.3%보다 훨씬 적은 17.2%였다. 쌀가루의 입도는 100 mesh 이상의 입자가 87.4%로 수침 roll mill 쌀가루 6.8%와 조
        5.
        1999.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ower consumption, mesh size, moisture content, color difference, amylogram of rice flour milled with the water soaked rice were compared with that of rice using dry pin mill process. The rice was soaked in 23, 24, 25, 26% of water for 10hr, independently. The more rice had moisture content, the less power consumption was needed. Power consumption to mill the rice soaked in 25% of water was less than that of dry rice by 6.8kW/100Kg. Moisture content of rice flour from the rice soaked with 25% of water was 2% higher than that of rice flour from the rice soaked with 23% of, water. Population of flour particle from the rice soaked with 24-25% of water was 45.7∼46.25 of 60 mesh, 9.7∼10.4% of 80∼100 mesh and 7.7∼8.1% of 100 mesh. Gelatinization temperature of rice flour from the rice soaked with 23% and 24∼25% of water was 65.70C and 64.50C, independently. Temperature of rice flour from the rice soaked with 23% 24∼25% of water sith minimum viscosity was 85.50C and 88.4∼88.70C, independently. Brightness and whiteness of the rice flour from the rice soaked with 24∼25% of water were 95.90∼95.95 and 905.82∼95.94, independently. Brightness and whiteness of the rice flour from the soaked rice were 1.2 and 1.7 higher than that of rice flour from the dry rice, independently.
        6.
        1999.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ower consumption, mesh size, moisture content, color difference, amylogram of rice flour milled with water soaked rice were compared with that of rice using dry pin mil process. Maximum water absorbance of rice was 35% for 2.5 hr. Power consumption to mill the soaked rice was less than of dry rice by 6.9kW/100Kg. Moisture content of rice flour from the water soaked rice was 2% higher than that of rice flour from dry rice. Population of flour particle was 52.9% of 60 mesh and 32.6% of 60∼80mesh. Gelatinization temperature of rice flour from the water soaked rice was 30C lower than that of rice flour from dry rice. Maximum and minimum viscosity of rice flour from the water soaked rice after boiling were 296 cps and 158 cps, independently. Brightness and whiteness of the rice flour from the water soaked rice were increased upto 10hr soaking and decreased after 17hr soaking. Brightness and whiteness of the rice flour were 96.17 and 96.02, independently.
        7.
        1991.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영양가가 높은 쌀을 생산 보급하여 국민건강증진을 도모코저 국내에서 재배되고 있는 벼 19개 품종을 대상으로 일반도정법으로 10분도로 도정한 후 배아보존율이 높은 오봉벼를 선택하여 외형, 영양가 및 동물 사육효과를 조사 비교하였던 바 오봉벼의 배아보존율은 96.7%였으며, 외형은 전형적인 일본형에 속하였다. 조사 된 모든 영양성분은 낙동벼 보다 오봉벼가 높았으며, 특히 비타민 B1 과 Niacin은 낙동벼가 각각 0.14 및 1.9mg%인데 비하여 오봉벼가 0.31 및 3.0mg%로 1.5배정도 높았다. 그리고 쥐 사육효과도 증체율과 사료효과에서 낙동벼는 각각 101 및 l25%이며. 오봉벼는 각각 107 및 172% 로 오봉벼가 낙동벼 보다 높았다. 또한 식미도 색을 제외하고 맛, 냄새 및 끈기는 오봉벼가 낙동벼 보다 높았다.
        8.
        198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국산 미곡 통일형과 자포니카형의 형태적 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1986년에 3개 작물시험장(수원, 밀양 및 이리)에서 생산된 통일형 13품종과 자포니카형 10품종을 공시재료로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천입중은 벼, 현미, 백미 모두 두 형간에 유의성이 없었으나 벼와 현미의 무게 차 즉 왕겨층의 무게와 현미와 백미의 무게 차 즉 미강층의 무게에서는 각각 P<2.859** 및 4.316***으로 유의성을 보였으며 왕겨층은 통일형이 미강층은 자포니카형이 컸다. 벼, 현미 및 백미의 입폭은 두 형간에 각각 P<5.189***, 5.289*** 및 5.988*** 그리고 입장은 각각 P<3.016**, 4.419*** 및 5.492***으로 유의성을 보였으며, 입폭과 입두께는 자포니카형이 통일형보다 두꺼웠고, 입장은 통일형이 길었다. 입폭/입두께의 비에서 벼는 두 형간에 P<2.396*으로 유의성이 있었으나 현미와 백미는 유의성이 없었다. 입장/입폭비는 벼 : P<5.525***, 현미 : P<5.495***, 백미 : P<5.863***, 입장/입두께 비는 벼 : P<4.734***, 현미 : P<6.863***, 백미 P<8.425***로 유의성을 보였으며 이들 비는 모두 통일형이 컸다.
        9.
        198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979년에 생산된 보리, 부농, 강보리 및 수원 18002를 공시품종으로 하고, 실험실용 소형정맥기(Testing Mill : TM05 A)를 사용하여 정맥기로-라의 회전수별, 도정시간별, 겉보리의 품종별 도정특성 시험을 실시하여 얻어진 몇가지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정맥기의 로-러 회전수가 높으면 단위시간당 도정량이 많아지며 입두께나 입폭에서 보다는 입장에 영향을 더 많이 주므로 회전수가 높을수록 보리쌀의 형태는 원형으로 변한다. 2. 정맥기의 회전수가 낮을 경우 곡립의 양쪽 끝부분 종구가 제거되지 않으며 본 시험에 사용한 정맥기의 적정회전수는 1,300 rpm이었다. 3. 맥강층의 제거율로 본 겉보리의 부위별 경도는 영부위가 가장 낮고 호분층, 종피, 과피, 배유순이다. 종피에 가까운 호분층은 배유나 배유부위에 인접한 호분층보다 높으며 배유층은 중심부로 갈수로 낮았다. 4. 품종에 따라 강층의 두께, 천립중, 보리쌀의 경도에 차가 있으며, 보리쌀의 크기 즉, 입장, 입후 및 입폭의 크기에도 차가 있어 입장과 입폭의 비가 수원 18002는 1.59, 부농 1.53, 강보리 1.51인데 비하여 동보리 001는 1.26으로 가장 낮아 4품종중 원형에 가장 가까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