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duce contamination ratio of oyster mushroom bottle cultivation. The optimalconditions of substrate sterilization for reducing of contamination ratio were at 121oC for 90min. In addition, UV-C irradiation isgood for lower contamination ratio to continue over 6 hours at cooling and inoculation room after sterilization. Thecontamination ratio and density of microorganisms of substrate were showed 0% after sterilization at 121oC for 90min.Trichoderma sp., main pathogen of mushrooms, was detected from substrate after sterilized during 2 or 4 hours at 101oC and 105oC,respectively. The amount of electricity used was the lowest at 121oC for 90min than that of other sterilization conditions. The UV-Cirradiation treatment was used UV-C lamp(40 watts) in the inoculation room(56m3). The density of bacteria did not detected after UV-C irradiation for 6 hours. And the death ratio of bacteria and Trichoderma sp. was 99.9% after UV-C irradiation for 6 hours. However,in the same UV-C irradiation time, the death ration of Cladosporium sp. was 90.9%. Therefore, the death ratio of fungi was lower thanthat of bacteria at the same UV-C irradiation treatment.
The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ost-incubation period and temperature treatment conditionsduring incubation on the uniform primordia formation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oyster mushroom (Pleurotus ostreatus). Threekinds post-incubation period; 25, 30, 35 days and control were applied for 30 days while two kinds incubation roomtemperature 23oC and 26oC and control were used 20oC. The substrate temperature during pre-incubation was of ‘Suhan No. 1’and ‘Gonji No. 7’. Oyster mushroom varieties tended to increase between 24oC to 26oC at 11 to 15 days after inoculation andthen they were maintained in treatment temperature during post -incubation period. The CO2 occurrence was at the highest at6,500ppm for ‘Suhan No. 1’ and 5,800ppm for ‘Gonji No. 7’ at the time of the highest temperature increase. The ratio of un-uniformal primordia formation and the ratio of non-commercial fruit body were reduced by 40%, 10.5%, respectively comparedto control for ‘Suhan No. 1’ when in the post-incubation temperature was 26oC, and incubated for 10days and 15daystreatment. Also, ‘Gonji No. 7’ was reduced by 19%, 9.5%, respectively when in the post-incubation temperature was 26oC, andincubated for 10 days treatment. Therefore, the higher post-incubation temperature of room and longer post-incubation periodresulted in the higher percentage of primordia formation of two cultivar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urvey the occurrence of stink bugs and pecky rice grain caused by the stink bugs in paddy fields in six districts of Gyeonggi-do. In the levee of the paddy fields, 30 species of the stink bugs were collected, and the dominant species were Paromius exiguus in Hwaseong and Siheung, and Stenotus rubrovittatus in Pyeongtaek, Icheon and Paju. In the paddy fields, 23 species were collected, and the dominant species were Paromius exiguus in Siheung, and Stenotus rubrovittatus in Pyeongtaek, Icheon and Paju. P. exiguus overwintered and proliferated mainly in the west coastal region, where its host plants, Imperata cylindrica and Calamagrostis epigeois, were abundant, and then moved to paddy fields later in the season, resulting in the peak density in September in paddy area. Stenotus rubrovittatus and Cletus punctiger were abundant in paddy area in August and September, and Eysarcoris aeneus was abundant in June and July. When the stink bugs were inoculated on the rice, the rate of pecky rice caused by E. aeneus and P. exiguus at milk ripe stage was 10.2% and 4.8%, respectively, and the rate by S. rubrovittatus and P. exiguus at dough ripe stage was 4.3% and 2.7%, respectively. The damage shape of pecky rice was distinctive according to the species. The surface of pecky rice by P. exiguus was very smooth but the surface of pecky rice by E. aeneus was rough and caved. In the pecky rice by S. rubrovittatus, the spot occurred at the topside of the grain.
토마토 펄라이트 자루재배에서 배지종류별 유효수분 함량을 분석하여 관수안정성을 구명하고, 배지 내 수분이 시간의 경과 및 일사량에 따라 변해가는 양상을 조사함으로써 타이머 제어시 관수 전략을 수립하고자 실험을 수행하였다. 5단 수확이 끝난 토마토 6그루가 심겨져 있는 40L 크기의 펄라이트 배지를 배양액으로 포수시킨 후 배지 내 수분감소를 무게로 측정하였다. 배지 내 수분이 감소함에 따라 일중 무게 변화량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무게 감소가 계측된 시간에서 다음으로 무게 감소가 계측된 시간까지 걸리는 시간 간격을 볼 때, 일중 최장 무게 변화와 흡수속도가 모두 점차 늦어지는 현상이었다. 즉, 수분스트레스에 의해 식물활력의 회복이 일출 후 점차 느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에 사용한 배지의 경우 유효수분량은 30% 정도로 12kg이므로 배지의 수분보수력은 토마토의 수분 요구도를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실험에서와 같은 상황일 경우 일일적산일사량이 1,519W/m2 혹은 601W/m2일 때, 관수를 하루에 5회 혹은 10회 타이머를 이용하여 공급할 경우의 적정 시간을 도출했다.
토마토 펄라이트 자루재배법의 확립을 위한 기초 연구로, 입도분포가 다른 7가지 충진용 펄라이트를 대상으로 물리성 및 수분특성을 조사했다. S-1(1.2-5mm), S-2(0.15-5mm) 및 S-5(Parat No. 1)에서는 1.0-2.8mm의 입자 및 2.8mm 이상의 입자가 비교적 고르게 분포하였다. (1-3mm), S-4(Parat No. 2), S-6(OTAVI) 및 S-7(Agroperl B-3)에서는 1.0-2.8mm의 입자가 84.66, 58.67, 32.11 및 41.75%이었고, 2.8mm 이상의 입자가 8.85, 8.84, 15.73 및 22.26%로 비교적 대립이 적게 분포하였다. 특히, S-4, S-6 및 S-7은 1mm 이하의 입자가 많이 분포하였다. 공극률은 59~62% 정도로 제품간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용기용수량은 S-2에서 27.7%로 낮은 것을 제외하고는 35~40% 사이의 수치를 나타내었다. 모든 배지는 수분장력 0kPa에서는 약 60%정도의 수분을 보유하였으나 4.90kPa에서 급격히 감소하여, 식물이 쉽게 흡수할 수 있는 수분 량이 많았다. 물리적 특성을 조사한 7가지 배지 중에서 입도분포가 다른 3가지 배지 S-1, S-2 및 S-3에 대하여 자루재배 적응성을 평가하였다. 공시 토마토는 로꾸산마루(사카타종묘)이었다. 자루 규격은 길이 120×폭 34cm(배지량 40리터, 흑백PE비닐 두께 0.1mm)였다. 생육일수에 따라 일사량과 급액량 및 배액율을 조사한 결과, 배지간에 일정한 경향을 발견하기 어려웠으며, 처리간에 급액 및 배액의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배지 종류별 자루단면의 뿌리분포를 나타낸 결과, S-1과 S-2에서 S-3에 비해 뿌리 분포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처리에서 생육은 비슷하였다. 수량은 S-1 처리가 다른 처리에 비해 총수량이 8,628kg/10a로 다소 높았다. 과실 당도는 처리간 차이가 없이 4.9~5.1˚Brix 수준이었으며, 소형과와 기형과는 S-3에서 많이 나왔다. 이상 연구결과에서 입도분포가 1.2-5mm인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루재배에서의 효율적인 급액관리법을 규명하기 위해서, 배액 전극법, Timer법 및 적산일사량법으로 토마토 펄라이트 자루재배를 하였다. 배지의 무게변화는 배액 전극법의 경우 일사량이나 생육단계에 관계없이 일정한 범위 내에서 매우 안정적으로 유지되었다. 반면에 일사량법과 Timer법에서는 일사량과 생육단계 등에 따라 매우 변동이 심해서 안정적인 급액관리로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총수량은 배액 전극법에서 가장 많았으나, 상품수량은 일사량법 이외에는 차이가 없었고, 당도에도 유의한 차이가 보이지 않았다. 생육은 배액전극법이 가장 좋았고, 일사량법과 Timer법에서 낮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일사량법은 적절한 Timer 제어를 병행하고, 부단히 보정을 해주어야 안정적인 급액이 가능한 반면 식물의 요구에 수동적으로 대응하는 배액전극법은 급액횟수에 관계없이 안정적인 급액방법으로 나타났다.
‘드림문’은 경기도농업기술원에서 2008년도에 육성한 절화용 스프레이 계통의 국화 신품종이다. 이 품종은 2005년도에 황색 스프레이 국화 ‘Patra (yellow)’품종을 모본으로 하고 분홍색 ‘Sei-Rosa’품종을 부본으로 인공교배하여 화색과 화형이 우수한 12계통을 예비 선발하였다. 2006-2008년 까지 3차에 거쳐 특성검정과 품평회로 4번째 개체인 ‘GCS06-27-4’를 최종선발하여 ‘드림문(Dream Moon)’으로 명명하였다. ‘드림
‘그린뷰티’ 품종은 경기도농업기술원에서 2005년도에 육성한 절화용 장미 신품종이다. 이 품종은 2000년도에 화색이 분홍색이며 화형이 우수한 스탠다드 장미 ‘Qvarna’ 품종을 모본으로 하고 향기가 있는 노랑색 스탠다드 장미 ‘Sky Line’ 품종을 부본으로 하여 교배를 하였다. 2000년에 실생을 양성하여 화색과 화형이 우수한 13계통을 예비선발 하였으며 2001~2005년에 1, 2, 3차 특성검정과 품평회 결과 절화특성이 우수한 KR99-62-1(Gyeonggi R1-8)계통을 최종 선발하였다. 화색은 연한오렌지색과 녹색의 복색이며 중형 크기의 스탠다드 형태로 개화하고 화형은 반고심형이며 꽃잎수는 61.2매이고 향기 정도는 약한 편이다. 년간 절화수량은 178본/m2이고 절화장은 64.6cm이며 줄기직경은 6.0mm이고 엽수는 13.6매이며 절화중은 28.6g이고 절화수명은 14일이다.
‘레드플래시’ 품종은 경기도농업기술원에서 2005년도에 육성한 절화용 장미 신품종이다. 이 품종은 2000년도에 화색이 적색이며 화형이 우수한 스탠다드 장미 ‘Red Sandra’ 품종을 모본으로 하고 향기가 있는 다홍색 스탠다드 장미 ‘Neon’ 품종을 부본으로 하여 교배를 하였다. 2001년에 실생을 양성하여 화색과 화형이 우수한 90계통을 예비선발 하였으며 2002~2004년에 1, 2, 3차 특성검정과 품평회 결과 절화특성이 우수한 KR00-54-83(Gyeonggi R1-7)계통을 최종 선발하였다. 화색은 적색이며 스탠다드 형태로 개화하고 화형은 반고심형이며 꽃잎수는 35.7매이고 향기 정도는 매우 약한 편이다. 년간 절화수량은 123본/m2이고 절화장은 65.2cm이며 줄기직경은 6.6mm이고 엽수는 11매이며 절화중은 27.3g이고 절화수명은 7.6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