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 한우를 공란우로 사용하여 OPU 방법으로 가장 더운 계절의 hot season과 선선한 cool season의 두 계절의 차이에 따른 생성된 난포의 수, 난자 회수율, 난자 등급율, 수정율 및 배반포 발달 능력을 분석하여, 두 계절이 공란우의 번식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1. 계절의 영향이 OPU 공란우의 난포 생성 수에 미치는 결과는 난포 생성 개수는 1154개(18.32±2.26), 971개(15.41±3.34)로 hot season 그룹이 유의적으로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p<0.05). 2. 계절에 따른 난자 수 및 난자 회수율은 hot season 그룹의 475개(7.54±3.14), 41.16%로 cool season 그룹 448개(7.11±3.42), 46.14%와 비교하여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3. OPU를 통하여 회수된 두 계절별 난자 등급은 Grade A는 Hot season 그룹 110개(1.75±1.86), Cool season 그룹 63개(1.00±1.46)로 hot season 그룹이 cool season 그룹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하지만 다른 등급인 Grade B는 87개(1.38±1.60) vs. 97개(1.54±1.39), Grade C는 166개(2.63±2.43) vs. 170개(2.70±2.04), Grade D는 112개(1.78±2.65) vs. 118개(1.87±1.86)로 hot season과 cool season 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4. 계절에 따른 체외 수정 후의 수정률은 hot season과 cool season 각각 242(66.67%)와 209(63.3%), 배반포 발달율 214(58.95%) vs. 188(56.97%)로 수정률과 배반포 발달율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본 연구의 결과로 계절에 따른 영향에 의해 공란우의 난포생성수와 A등급의 난자 출현율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하지만 나머지 등급의 난자 출현율, 수정률 및 배반포 발달율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아, 계절의 차이로 인한 한우 공란우의 번식 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미비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유전적 가치가 높은 가축을 OPU 기술을 이용하여 단기간에 반복적이고 연속적으로 생체 내 난포란을 채란하여 수정란을 생산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연구한 것으로써, 수정란의 안정적인 생산 및 이식으로 가축 개량의 세대 간격을 단축하기 위해 우수한 유전력을 가진 염선된 개체의 임신 초기 3개월 동안에 반복적인 수정란 생산 가능 여부를 조사하였다. 1. 비임신우 및 임신 초기우에 2회/주 채란으로 비인신우에서는 68회 채란으로 생성된 난포수는 72
Domestic bitches are non-seasonally monoestrus; spontaneously ovulate only once or twice occurs at anytime of the year. Estrus induction has been applied infrequent estrus, misleading ovulation, mating difficulties, failure to conceive after normal mating, pregnancy failure and biological research. Protocol of estrus induction which included variable hormones such as FSH, GnRH, and PMSG have been applied for the last decades. Recently, Bromocriptine, one of anti-prolatin/dopamine agonist has been occasionally applied for estrus induction.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ive method for the induction of estrus in bitches using different hormone treatments, and the initiation time of estrus from hormone treatment by assessments of cytological observation and blood plasma progesterone concentration. A total of 54 bitches on anestrus were selected for the study and divided randomly into 8 treatment groups as follow. Control, natural estrus; FSH (L), FSH (1.5 mg/kg, twice a day, , Vetrepharm); FSH (H), FSH (3.0 mg/kg, twice a day); GnRH+FSH, GnRH (5 ug/kg, once first day, , Dongbang)+FSH (3 mg/kg, SID); PMSG, PMSG (50 IU/kg, every third day , Intevet); GnRH+PMSG, GnRH (5 ug/kg, only first day)+PMSG (50 IU/kg, every third day); GnRH, GnRH (5 ug/kg, only first day); Bromocriptine, bromocriptine (0.3 mg/kg, SID, , Novartis). The bitches were evaluated clinical sign, cytological exam and Premate for assessment of estrus induction. Estrus induction rates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GnRH+PMSG (100%) compared to others. PMSG and GnRH+PMGS (87.5 and 100%) and Bromocriptine (77.8%) were higher than others except GnRH+PMSG. Analysis of vaginal smear has proved to be effective a correct assessment of estrus induction with assay of progesterone concentration by Premate. Proestrus initiated by the after induction in most case. In conclusion, bromocriptine is an effective drug for estrus induction in bitches and assay of progesterone concentration by Premate with examination of vaginal smear that should be useful to detection of estrus induction of estrus induced bitch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