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2.
        198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도 기계이앙 재배에 있어 관행 시비법과 추비시기 및 비율를 달리하여 적정 분시방법을 밟히고자 '85년 호남작물시험장(이리)에서 동률벼를 공시하여 시험을 실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엽신질소함량은 기비중점시비(T1 , T2 )에서는 최고분얼기에 수비중점 (T4 , T5) 및 5회분시(T7)에서는 감수분열기에서 높았다. 2. 출수이후의 CGR, RGR, NAR은 5회분시구(T7)가 가장 컸다. 3. 각 생육시기별 CGR과 NAR, NAR과 RGR, CGR과 RGR 간에는 유의적인 정의 상관이 있었으며 생육시기가 진전됨에 따라 상관계수가 커지는 경향이었다. 4. 수량에 대한 각 생육시기별 CGR의 상여도는 출수후의 CGR이 가장 컸다. 5. 수량은 기비중점(T1 , T2 ) 보다 수비중점(T4 )및 기비 30%후 4회 분시구(T7)에서 높았다.
        3.
        197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주 야간의 온도를 각각 20-10℃ , 25-10℃ , 20-15℃ , 25-15℃ 및 온실조건의 환경하에서 본엽 1.5엽기와 본엽 출현시로부터 31일간 온도 처리하여 유신외 5 품종의 생육반응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처리온도가 높아 짐에 따라 초장, 엽령, 건물중, 근장, 엽록소 함량 등은 점차 증가하고, 실소의 함유율은 오히려 저온에서 높았으며, 분얼은 유신, 만경, 이리 32002에서만 발생하였는데, 온실배재에서는 분얼을 하지 않았으며, 온도가 낮고 주 야간의 온도차가 큰 구에서는 분얼이 더 많았었다. 2) 평균기온이 동일한 20-15℃ , 25-10℃ 구에서 엽령과 질소함량 이외의 초장, 건물중, 엽록소 함량 및 근장 등은 20-15℃ 구에서 모두 높았다. 따라서 주간온도가 5℃ 낮은 20-15℃ 구보다 야간온도가 낮은 25-10℃ 구에서 그 영향이 크게 나타났고, 20-10℃ 의 저온구에서는 이리 32002, 만경, 유신이 생육 정도가 아주 작게 나타났다. 3) 저온 장해는 본업 1.5엽기 처리구보다 본엽 출현시 처리구가 모든 품종에서 심하게 나타났으므로 유묘기간중 최아후 약 10일 정도의 온도관리가 대단히 중요하게 작용한다. 따라서 20-10℃ 저온하에서 생육 억제가 적은 유신은 최아후 파종하여 10일 동안 관리를 주의한다면 보통못자리에서도 육묘가 가능하다고 본다. 4) 일반적으로 japonica형은 indica japonica형보다 내냉성이 강하고, indica japonica 품종중 이리 31006는 가장 약한 만면 유신은 가장 강하게 나타난점으로 보아 다수성 신 품종의 생육기별 내냉성의 검토가 요청된다. 5) 품종간 내냉성은 이리 32002>만경>유신>통일ㆍ이리 32005>이리 31006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것은 단순히 유묘기의 냉해 정도만을 조사하였으므로 앞으로 본답기의 지연형, 장해형냉해의 종합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4.
        197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벼 도열병에 대한 포장저항성의 실내검정법의 일환으로 초자실에서의 벼의 유묘기(5-6엽)에 7개의 도열병저항성판별용 균계와 약간의 돌연변이균계를 조사하여 포자형성능의 균계간차 및 병균의 포자형성에 대한 벼품종의 억제효과의 차이등을 밝혔다. 1. 7개의 저항성판별균계 및 소수의 돌연변이균의 식물체상에서의 포자형성력에는 균계간차이가 명백하였다. 2. 숙주상에서의 포자형성력은 병반의 진전속도, 병원력과는 정의 상관관계가 나타나고 Oatmeal전 즙사당새천배지상에서의 포자형성량과는 부의 상관을 보였으나 병반장, 대맥곡립배지상에서의 포자형성량과는 유의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3. 이병성병반발현후 2일째의 병반에서 포자형성의 peak가 있었고 incubation의 일수는 실험에 따라 차이가 많고 식물체의 영양조건에 따라서도 변이가 컸다. 4. 병반수의 증가에 따라 포자형성량이 감소하는 밀도효과(negative density effect)는 실험에 따라서 인정되었다. 5. 병원력은 포자형성력보다 균계간차가 뚜렷하지 않았으며 이것은 병원력의 환경변이가 포자형성력의 그것보다 크다는 것을 의미하는 동시에 만일병원력과 포자형성력과의 사이에 어떤 상관이 있다면 소규모의 실험에서는 숙주에서의 포자형성량은 병원력보다 전염력 비교를 위하여 보다 유용한 대상형질이라고 보았다. 6. 포자형성에 대한 저항성의 품종간 차이는 몇 개 실험에서 인정되었으나 병반형성에 대한 저항성의 품종간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수도품종의 포장저항성과 각 품종상의 병반형성과는 포자형성보다 더 밀접한 상관을 보였다. 7. 이병성품종 상에서의 mutant균계의 포자형성량이 모균계보다 적었던 현상은 'stabilizing selection이 있었을 가능성을 암시하는 것이라고 보았다. 밀식구일수록 단위면적당 수수는 증가되었으나 수당경화수, 정조천입중 등이 감소되어 수량은 박파묘 소식구와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7월 15일 이앙구에서는 후파묘 밀식구가 등열비율과 천입중의 현저한 감소로 수량이 떨어지는 경향이었다. 6. 극만앙 대책으로서의 적정 묘대파종량 및 본답 10a에 대한 묘대면적은 3.3m2 당 0.4ι 및 59.4m2 로 판단되었다.저항성인 품종의 선발을 위하여는 도복지수가 대맥 1.67 소맥 1.76 정도 이하인 것은 고도의 저항성이 있었다.X>~circled4붕사는 간장을 억제시켰다. ~circled5 소량의 붕사는 등숙을 향상시켰으며 다량의 경우에는 저해시키는 경향을 보였다. ~circled6 정조 및 현미수량은 소석회 및 붕사의 단독효과만이 인정되었으며 다량의 붕사는 감수를 초래하였다. 내생리듬 (Endogneousrhythm)의 변화 혹은 교란을 가져와 발육과정에서 성적결함을 일으켜 불임으로 된다고 추정하였다.)의 4개형질 혹은 분지수(X2 )ㆍ경직경(X3 ), 그리고 일주협수(X4 )의 3개형질로 할 것이 요망되고, 이들 형질의 측정치로 선발지수를 작성하여 그 지수에서 산출된 Selection score가 큰 계통부터 선발해 나가는 것이 선발지수의 이용상 실용적이고 효과적인 방법이라 하겠다. 정보로서 활용될 수 있는 패션 색채 팔레트를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aesthetic of ′unity in multiplicity′, aesthetic of tessellation and aesthetic of har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