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1.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저염분 순치기간에 먹이를 섭취함으로서 얻을 수 있는 초기 유생의 생리적 변화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하루 동안의 순치기간에 염분농도에 따른 유생의 생존율은 차이를 보였지만 각 염분구간별 먹이섭취 유무에 따른 생존효과는 유사하였다. 그러나 먹이섭취 시 유생이 에너지원으로 활용할 수 있는 cholesterol, triglyceride의 증가가 있었으며 삼투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glucose 농도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저염분 순치기간 동안에 스트레스, 조직손상 및 대사작용의 지표가 되는 BUN과 creatine의 감소가 있었다. 먹이섭취로 인한 소화효소의 활성이 먹이를 섭취한 실험구 모두에서 증가하였다. 그러므로 유생발달과 함께 중요한 소화, 순환, 생식기관이 형성되며 탈피 성장을 위한 신진대사가 빠르게 진행되는 유생시기에 저염분 순치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져 향후 지속적인 성장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먹이를 섭취하는 것이 더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
        2.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건성안이 있는 경우 나타날 수 있는 자각적 증상을 조사하여 콘택트렌즈 처방시 안경원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는 건성안 문진표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방법: 대학생 163명을 대상으로 타각적 방법(Tear Break-up Time; TBUT)과 자각적 설문방법 (McMonnies``-DEQ와 TERTC-DEQ)을 각각 시행하여 건성안과 정상안으로 분류하였다. 건성안에서 나타날 수 있는 14가지 안구불편 증상이 TBUT 검사에 따른 건성안 집단과 정상안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정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안구불편 증상 여부에 따라 건성안을 쉽게 판별할 수 있는 문항을 선정하였다. 결과: 건성안의 경우에 나타날 수 있는 14가지 안구불편 증상을 4가지 하위요인으로 구분하였다. 첫 번째 요인(이물감, 가려움, 껄끄러움, 건조함, 충혈) 중에서 3가지 이상의 증상이 나타나고, 두 번째 요인(작열감, 쓰라림, 따끔거림), 세 번째 요인(안통, 눈부심, 피로), 네 번째 요인(찌걱거림, 분비물이나 눈꼽, 시력장애)에서 각각 1가지 이상 나타났다. 결론: 건성안 문진표는 안경원에서 특별한 기구를 사용하지 않고 쉽게 건성안을 판별할 수 있으며, 안경사와 피검자 모두에게 유익하게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4,000원
        3.
        2008.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diet knowledge and perception on diet practice behavior among university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between March and April of 2005 from 523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and Chungbuk, via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The subjects included 217 male students (41.5%) and 306 female students (58.5%), and 52.0% of the subjects were 21-23 years old. With regard to residence type, 42.6% of the subjects lived in the dormitory, home (29.1%) self-boarding (19.5%) and meal (8.8) were in the order. The average weights and heights of the subjects were as follows: 70.9±9.0 kg and 174.3±4.4 cm in the male students and 53.9±5.9 kg and 161.3±4.5 cm in the female students. The average BMI values of the male and female students were 23.4±2.5 and 20.8±2.1, respectively. The average nutritional knowledge scores were as follows: 1.96 out of 3.0, dietary habit (2.13), nutrition (2.0), exercise (1.98), preferred food (1.90), and chronic disease (1.79). We not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male and female subjects in terms of scored points. Nutritional knowledge by gender and residence type were shown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the male subjects had higher scores for exercise than did the female subjects. The self-boarding subjects had significantly lower scores with regard to nutritional knowledge and chronic disease. The experience and duration of previous diet practice were also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regard to gender and residence type. The male subjects tended to conduct diet practice for longer periods than females. The self-boarding students reported more attempts at diet behavior, but for shorter durations. The results show that the nutritional knowledge and diet practice behavior of the subjects were influenced by gender and residence type.
        4,000원
        4.
        2008.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breast feeding habits of 507 college students were evaluated between March 27 to April 26 (2006). Data were collected from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and analyzed using SPSS for Windows V.12.0. The study population consisted of 245 (48.3%) male and 262 (51.7%) female college students that answered ‘yes’ when asked whether they had been breast feed. A total of 52.7% of the study population were fed with breast milk (most frequent answer), as opposed to 11.0% that were fed with infant formula (least frequent answer) during their infancy. When asked whether they ever got educated on breast feeding, 78.1% of the college student subjects answered ‘no’. A total of 95.1% of the female college students replied ‘yes’ when asked if they intended to breast feed their child. Moreover, 62.2% of the college student subjects indicated that their parents had an influence on their decision to breast feed. A comparison between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indicated that female college students had a superior knowledge level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breast feeding over the male subjects (p<0.05) . Moreover, a comparison of the different levels of college attained suggest that freshman college students had the highest knowledge level, followed by senior, sophomore and junior college students in terms of advantage, BF Tabu (p<0.05). Also, students provided with education on breast feeding had a higher knowledge level than college students with no formal education. In summary,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knowledge on breast feeding in college students were different by general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major and school year, and education on breast feeding in advance was appeared to be an important factor, therefore nutritional education course on breast feeding is recommended for the college students.
        4,000원
        5.
        2015.1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동극활동 과정에서 나타난 유아들의 경험을 심도 있게 분석함으로써 동극활동 과정에서 나타 난 유아들의 친사회적 행동 양상은 어떠하며 어떻게 변화하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2014 년 4월 1일(화)부터 7월 24일(목)까지 15주 동안 주 2~3회에 걸쳐 유아의 흥미와 상황을 고려하여 융통성 있게 이루어졌다. 자료 수집은 참여 관찰을 통한 녹음 자료의 전사와 연구자의 연구 일지, 학부모와의 대화 등 기타 참조 자료를 다양한 방법으로 수집하였다. 동극활동 과정에서 나타난 행동양상은 첫째, 동극활동 과정에서 유아들은 친구를 배려하기 위해서 기다려 주거나 격려하고 칭찬해주는 행동이 나타났다. 둘째, 동 극활동 과정에서 유아들은 자신의 입장에서 도움을 주는 것에서 친구의 입장을 고려하여 도움을 주는 친사 회적 행동 양상으로 발전하였다. 셋째, 동극활동 과정에서 유아들은 자신의 물건이나 기회를 친구에게 양보 했다. 넷째, 동극활동 과정에서 유아들은 갈등상황을 긍정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자신이 맡은 역 할에 책임을 다하며 협력하는 태도를 보였다. 동극활동 과정은 또래간의 다양한 의사소통의 기회와 협력의 경험을 제공하여 친사회적 행동을 촉진하는 긍정적 경험을 제공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