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밀레니엄 식품으로 미국 FDA는 하루 콩 단백질 25g을 섭취하면 관상동맥질환이 예방될 만큼 기능성이 우수하다고 평가되고 있으며, 콩은 세계적인 식품으로 1,000여 가지의 용도로 이용되고 있다. 콩을 가공하여 만들어지는 두부는 콩 분말, 즉 Mesh 형태에 따라 두부의 종류가 분류되며, Nano기술을 도입하여 국산기계를 제작한 생산시스템으로 국산 콩 300 Mesh분말에 비소를 제거한 심층 해양수를 이용하여 단백질이 응고되는 원리와 침지과정이 생략되고 수용성 단백질과 불용성 단백질과 섬유소 기타 영양성분을 손실 없이 제품화 할 수 있는 전두부 제조 및 생산과정과 콩 분쇄기는 유분이 많은 국산 콩 뿐만 아니라 수입 콩 일반적인 농산물의 분쇄가 가능하여 두부식품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콩가루는 탈지한 대두박이나 탈지하지 않는 콩을 미세하게 분쇄하여 분말화 한 것으로 미국에서 입자의크기가 100mesh 체를 통과한 것으로 규정하고 있다. mesh는 강철망의 망눈의 개수를 표시하는 단위로써 가로 세로 1인치(25.4mm)사이에 있는 망눈사이의 공간의 수이고 즉 300mesh라 하면 표준체 가로 세로의길이 2.54cm 안에 구멍이 300개가 들어있는 체를 통과하는 분말의 크기를 나타낸다. 콩가루는 글루텐(gluten)이 함유되어 있지 않고 단백질함량이 많다는 면에서 밀가루와 구분되며 섬유소가 함유되어 있다는 면에서 탈지 분유와도 다르다 콩가루는 콩의 불순물을 제거한뒤 6-8 조각으로 조분쇄하여 콩껍질을 제거한 다음, 가열처리하고 이를 냉각시킨 후 분쇄하여 제조한다. 제조 과정 중의 열처리는 콩비린내를 제거하고 효소를 불활성화시켜 콩가루 냄새를 크게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트립신저해제(trypsin inbibiter)를 불활성화시켜 소화율을 향상시킨다. 가열 처리에 따라 콩가루의 착색과 단백질 용해도가 감소되므로 가열방법과 가열온도, 가열시간을 적절히 조정해야 한다. 콩가루는 그 제조공정에 따라 탈지 콩가루, 전지 콩가루, 압출콩가루로 나눌 수 있는데, 전지콩가루는 콩껍질을 제거한 콩을 마쇄한 것이므로 일반성분이 콩의 자엽 부분과 비슷하고, 탈지 콩가루는 지방성분을 제거한 것이므로 지방함량이 낮고 단백질 함량이 50.0∼69.9%로 높다 압출 콩가루는 가열압출기(extruder-cooker)를 이용하여 콩을가열, 압출하여 제조한 콩가루로 지방을 제거하지 않은 콩을 그대로 사용하므로 영양가가 높고 향미가 높은 것이 특징이다. 두부는 대두의 수용성 단백질을 추출 응고시킨 gel상의 식품으로 소화율이 높고, 대두단백질은 lysine 등 필수 아미노산 함양이 높아 곡류위주의 식생활에서 부족되기 쉬운영양소를 공급하면서도 가격이 저렴한 식품이다. 본 연구는 전두부를 만들기전 첫 공정단계로 콩을 선별후 분쇄한 콩가루 50mesh, 150mesh, 300mesh, 600mesh의 국내산과 수입산으로 나눠 입자를 분석하고, 두부로 가공했을시 두부의 입자비교, 응고시간, 두부발효음료의 결과를 알아보려고 한다. 본연구에서 사용되는 전두부용 콩가루의 굵기는 300∼600mesh의 콩가루를 사용했으며, 보통 밀가루,미숫가루의 굵기는 150∼200 mesh이다. 전두부는 굵기가 가늘수록 두부의 형태는 부드럽고 단백하며, 가장 이상적인 두부의 형태가 만들어지고 다른 물질과 이루어 졌을 때 이상적인 화합물 반응으로 비추어 볼 때 맛의 형태를 좌우한다.
두부는 전통 콩 가공식품중의 하나로 콩을 불리고, 삶고, 갈은 후, 기존 두부응고제로바닷물에서 추출한 간수를 사 용하였지만, 비소(AS)의 다량 검출로 인해 응고제의 사용이 금지됨에 따라, 현재 값비싼 수입 화학응고제(염화마그네 슘, 황산칼슘, 밀키마그네슘 등)를 간수 대신에 사용되고 있지만, 우리는 화학응고제에 의존하지 않고, 미네랄이 풍부 한 간수에서 비소만을 제거한 응고제를 사용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응집→침전→여과 시스템을 연구하여,100% 비소 (AS)를 제거한 응고제를 개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딸기의 수경재배에서 전열선이 삽입된 온수관을 이용하여 배지의 지하부 온도를 관리할 수 있는 가온시스템을 개발하고, 가온튜브내 물의 온도가 25℃ 일 때 배지 4종류(왕겨, 펄라이트, 왕겨 80%+피트모스20%, 펄라이트80%+피트모스20%), 멀칭 2종류(멀칭무, 멀칭)의 처리구별로 온실기온 3수준(5, 10, 15℃)에 따른 배지 내 온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로 다선식 기온튜브의 제어성능은 3선식이 설정온도 도달성이 30분이며 제어된 온도폭 ±1℃로서 가장 좋은 것으로 니타났다. 배지의 종류별로는 펄라이트 80%의 배지보다 왕겨 80%의 배지가, 멀칭 유무 별로는 멀칭한 경우에서 배지온도가 안정되는 시간이 180분으로 빠르게 나타났다. 왕겨 배지, 멀칭, 온실내 기온 5℃ 일 경우 배지온 모델에서 온도상수 a는 -0.1458, b는 -0.1088로 나타났으며, 개발된 모델을 이용할 경우 저온기에서 온실내 기온에 따라 배지내 온도상승을 예측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인발공정에 의해서 만들어지는 스테인리스 강선의 제작 시에 필요한 인발기술에 관한 연구이다. 스테인레스 강선재는 표면이 아름답고, 표면가공을 다양하게 할 수 있으며 내식성 및 내마멸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강도가 크고 가공선이 뛰어나고, 내화 내열성이 우수하여 건축물에도 많이 사용되는 볼트, 너트, 스크루우, 용접건, 와이어 로우프 등에 많이 사용된다. 대공간 연성 건축물에 특히 많이 사용되는 스테인리스 와이어의 제작 시에 최적의 다이스 설계 기준간을 찾아서 현장 적용이 용이 하도록 하였다. 스테인리스 와이어의 인발 생산 과정의 역학적 개념을 이해함으로서 와이어 로우프의 물리적 성질을 파악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suggest the methodology to select prior areas in the environmental pollution survey for livestock excreta (EPSLE) as well as to elucidate the validity of the methodology. In this study, the prior areas in the EPSLE were determined by examining the number of compost facilities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three levels of size including the basin, the sub-basin and the watershed, respectively, based on the data from “Annual Nation-wide Pollution Sources Survey (2012)”.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list of prior basins were Nakdong, Geum, Youngsan and Han river basins in order. Also, it was examined that the prior sub-basins in the four river basins including Nakdong, Geum, Youngsan and Han rivers were Naesung Stream, Geumgang Gongju, Juam Dam and Namhan Downstream, respectively. The prior watersheds in the sub-basins of Naesung stream, Geumgang Gongju, Juam Dam and Namhan Downstream were Seocheon Downstream, Geum Stream, Gyeombaek Suwipyo and Yanghwa Stream, respectively. The validity of the methodology used in this study was elucidated by analyzing the correlation of the number of compost facilities with the concentrations of T-N and T-P observed in the end-points of sub-basins.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the concentrations of T-N and T-P increased with the number of compost facilities. Specifically, there was the stronger correlation between the number of compost facilities and the concentrations of T-N than that for T-P. Consequently, it was proved that the methodology used in this work was valid and rational for the selection of prior areas in environmental pollution survey for EPS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