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3

        21.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동아시아에서 대기 에어로졸의 광역적 분포를 분석하기 위해 MODIS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meter) 센서에서 산출된 AOD (Aerosol Optical Depth)와 AE (Angstroom Exponent)를 이용하였다. 2009년 동아시아 지역에서 AOD는 3월(0.44±0.25)에 높았고, 9월(0.24±0.21)에 낮았다. 봄에는 중국 북부와 몽골의 사막, 건조지역에서 발생한 모래폭풍이 광역적으로 이동하여 동아시아의 AOD에 기여하고 있다. 그러나 동아시아의 풍하측에 위치한 한반도 중부의 안면도, 청원, 울릉도에서 PM10 (d≤10μm) 질량 농도는 2월에 최고를 보인 반면, AOD는 5월에 가장 높았다. 장마 전 상대습도의 증가에 따른 흡습성 에어로졸의 성장이 5월의 높은 AOD에 기여하고 있다. 여름(8월)에는 북태평양으로부터 해양성 기류와 잦은 강수에 의한 습윤 침전으로 AOD는 낮지만 중국 동부의 산업지역에서 광역적으로 발생한 미세 에어로졸로 인해 AE (1.30±0.37)가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안면도, 청원, 울릉도에서 MODIS AOD와 지상 PM10 질량 농도의 상관계수는 0.4-0.6이었다. 2009년 한반도 중부에서 관측한 황사 사례는 4회(6일)였고, 인위적 대기오염 이동 사례는 6회(12일)였다. 황사 사례와 인위적 대기오염의 이동 사례에서 안면도와 청원의 PM10 농도가 모두 증가하였다. 황사와 인위적 대기오염 이동으로 PM10이 증가하는 영역에서 AOD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
        4,200원
        22.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mainly examined the unit space (room) called ‘MARI’ of the private houses that were built between the 19c and the early 20c in the insular areas of southwestern sea. Generally, this region has unique historicity (restructure of the insular environment in the 17c and the 18c) and geographic environment that are different from inland regions thus the environment is presumed as a related factor to developments and structures of the private houses. ‘MARI’ is a noticeable space that is installed in a main building without an exception even in small 3 bedroom private houses. Its nature has location and usage distinctions in an architectural plan with similar ‘MARU’ of inland Jeollanam-Do. There are large crocks filled with grains at MARI. Thus, MARI is a storage room. Mostly rice and various other kinds of grains are stored in the several crocks, large and small. Many household goods are kept here as well. Another peculiar function of MARI is that this space commonly enshrines ancestral tablets of three generations. Hence, MARI takes a role of a shrine of an aristocratic house from an inland region. Considering the size of the house and space, this seems to be a very unprecedented utilization of area. MARI is located at the top (at the head of the house) on the floor plan. In other words, it is located at the space in the highest rank. The importance of ancestor worship and grains is evinced architecturally. It is really interesting fact that MARI is also located within recently built modern houses (Cheongsan Island, Joyak Island, etc.).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unique MARI tradition of this region has an intact continuity even today. After all, MARI has a great significance as a unique unit space of insular areas of southwestern sea that is installed in the main buildings of all houses regardless of size and shape of the houses, and their insular locations.
        4,900원
        23.
        2010.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t is analysed the efficiency of the Korean IT industry using CCR and BCC models of the DEA(Data Envelopment Analysis) method in this study. In this study, the Korean IT industry is classified into 7 groups which are Displays, Digital Contents,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Telecommunication Services, Semi-Conducts, Broadcasting Services and Computer Services that the efficiency of each groups is analysed contrastively. And it is considered to find a way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inefficient companies using the slack variable analysis. Also the Super DEA is used to find the relative rank among companies that their efficiency is 100% and the change of the Korean IT efficiency is measured by the Time Series Analysis from 2005 to 2007 for 3years as well.
        4,000원
        24.
        200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사과 해충으로서 복숭아순나방(Grapholita molesta)은 과실에 피해를 주는 일차해충이다. 이에 따라 과실 내부에서 피해를 주는 유충이 방제 대상이나, 살충제와 접촉이 어려워 방제가 어렵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제기술이 성페로몬을 이용한 교미교란제 처리이다. 그러나 소규모로 흩어져 있는 국내 사과원 구도는 단일 과원의 교미교란제 처리는 교미된 암컷의 이주에 따라 유효성을 얻기가 힘들다. 이에 따라 광범위한 교미교란제 처리가 불가피하나, 현실적으로 어느 정도의 규모가 처리 대상인지 결정하기 어렵고 불필요한 광역화는 비용면에서 현실성이 없다. 대안으로 복숭아순나방 성충의 교미 반경을 측정할 수 있다면 교미교란제 처리 규모를 합리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숭아순나방 교미 반경 결정을 위해서는 집단간 차이를 보이는 분자지표의 개발이 우선적이다. 본 연구는 이를 위해 세 가지 전략으로 접근하였다. 첫째로, 복숭아순나방 미토콘드리아 전체 염기서열 분석으로 이를 통해 집단간 변이를 보이는 부위를 결정하려 했다. 둘째로 PCR-RFLP 기술로서 미토콘드리아 DNA의 제한효소 다형부위 결정기술이다. 끝으로 PCR-RAPD로서 전체 게놈에 대한 임의적 증폭물에 대한 다형 유전좌위 개발 전략이다.
        25.
        2007.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 ∏ ]' shape of Jeonnam Area has not been well-known so far. This study is about when, how and on what type the '∏' shape had settled among many 'ㅡ' shape houses. The Anchae of Jeonnam Area which appeared 17C. contrasts with 'ㅡ' shape. Especially, the head family's house might have been expected to develop with special difference. 'ㅡ' shape had been built much more than the '∏' shape around 20C when modernization had been ripen. It was big event that '∏' shape, the head family's house, had been pulled down and then 'ㅡ' shape had been newly built. (Ui Seong-ryeol house) The reason why 'ㅡ' shape had been built instead of '∏' shape might be that people accepted the change of 'modernization', that is to say, people accepted convenience and opening. The plan of '∏' shape consists of Daecheong and Anbang at the center of Momche, and Jageunbang and Jangji at both sides. In the '∏' shape, the center of Momche is wide dand light unlike 'ㅡ' shape. Unjoru, Nogudang, Yundoseo house have long wing and have more encircling Anmadang than other houses, which are well known for a house for a man of noble birth.
        4,600원
        26.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plan type of traditional folk housing in Jeoun-Nam Province. The building time of these houses is mainly from early 19C to early 20C and about 1,000 houses have been investigated. The conclusion of this research is 1. Small house is composed of kitchen, one or two rooms and Marae(the place of storage and sacrificial rite). Big house has one more room and one more storage in comparison with the small house. Marae and Jeoungjibang(a room which is in front of kitchen) are characteristic rooms of folk house in Jeoun-Nam Province. 2. The plan type varies in Jeoun-Nam Province. '-'type is a main type of layout and it is arranged a kitchen, a big room, a Marae and a small room in order. In the big house, jeoungjibang(the third room) is added. 3. In the southwestern Island area, no room is arranged beside Marae. Marae has characteristic confucian order because it is the place of sacrificial rite. Therefore there is a great difference in comparison with other area. 4. In the mountain area such as Gurae, there are some houses which have two rooms arranged up and down in one side; that is, upside is Marae and downside is small room. This type is called Kyump Jip.
        4,800원
        27.
        199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is an architectural paper which has been studied about dowelling form and culture in southwestern island area of Korea from 18C up to now.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present the basic data in new modeling development of dwelling house. This area had less cultural interchange than inland area because of geographical conditions. Therefore, so far, many traditional factors have been handed down and especially, a good many commoner's traditional houses exit. The traditional houses is composed of Anchae (a central house), Sarangchae (an attached house of Anchae). Sometimes, Sarangchae was ommitted according to the circumstance of the house. Generally, the form of arrangement of house is divided into two shapes; One is 'ㅡ' shape which has only Anchae and the other is 'ㄱ' shape which has Anchae and Sarangchae. Approximately, since 1970's, new type of house has been built in this area. Usually, Inside this house are living room, kitchen, toilet, utility and 3 rooms. Wall is made of brick and roof is made of concrete's slabe. We can not find the traditional culture in this type of houses. The house in the futrue, the factors of cuture and the convenience of the present age have to be coexisted.
        5,100원
        28.
        199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29.
        199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800원
        30.
        199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3,000원
        32.
        2020.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우라늄 폐촉매 처리 공정에서 발생하는 우라늄 함유 폐기물 대상으로 유리-세라믹 매질 구조의 대형 디스크 소결체 형태로 제작 시, 최종 제작된 소결체의 비등방향 수축 특성 및 변형율 변화를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최대 직경 40 cm를 갖는 다양한 크기 원형 디스크 형태와 원형 디스크의 1/4 크기의 부채꼴 형 소결체를 제작하여 이들의 비등방성 수축 특성을 평가하였다. 60 MPa 압력하에서 만들어지는 성형체는 소결 시 성형체의 크기 및 형태에 관계없이 높은 등방성 수축하였다. 제조된 전체 소결체에 대한 비등방성율은 평균 1.6%이었고 이때 평균 부피 감용율은 37.4% 이었다. 이러한 결과 로부터 국내에서 발생한 우라늄 폐촉매를 처리하기 위한 공정에서 발생하는 우라늄 함유 폐기물은 대형 디스크 형태의 유리-세라믹 매질 형태로 고형화함으로써 높은 안정성과 부피감용 효과를 가지며 200 L 드럼에 포장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33.
        2018.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향후 원자력시설 해체 시 막대한 양의 해체 콘크리트 폐기물이 발생할 수 있음을 감안하였을 때, 방사성 콘크리트 폐기물의 최적 처리기술에 대한 면밀한 검토와 향후 기술개발 방향에 대한 논의는 반드시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방사성 콘크리트 폐기물의 국내외 발생 사례를 종합해 보고, 처리 대상이 되는 방사성 콘크리트 폐기물의 특성을 검토하였다. 또한, 종래의 방사성 콘크리트 처리기술로써 기계적 제염기술, 화학적 제염기술, 부피감용기술, 재활용 및 고화기술에 대한 국내외 적용 사례를 정리하고 기술 개발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기존 기술의 한계점을 파악하고 기술 고도화 방향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34.
        2018.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고온 열분해를 통한 Cs, Sr 등 고방사성핵종의 고정화를 위하여 각각 Cs이 흡착된 CHA (K형 Chabazite zeolite)-Cs, CHA-PCFC (potassium cobalt ferrocyanide)-Cs 및 Sr이 흡착된 4A-Sr, BaA-Sr 등의 제올라이트 계에서 TGA 및 XRD에 의한 배소 온도 변화에 따른 상변환을 고찰하였다. CHA-Cs 제올라이트 계의 경우 900℃ 까지는 CHA-Cs의 형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1,000℃에서 무정형 단계를 거친 후 1,100℃에서 pollucite (CsAlSi2O6)로 재결정 되었다. 반면에 CHA-CFC-Cs 제올라이 트 계는 700℃ 까지는 CHA-PCFC-Cs 형태를 유지하고 있으나, 900∼1,000℃ 사이에서 구조가 파괴되어 무정형으로 상변환 된 후 1,100℃에서 pollucite로 재결정 되었다. 한편 4A-Sr 제올라이트 계의 경우 700℃ 까지는 4A-Sr의 구조를 유지하고 있 으며, 800℃에서 무정형으로 상변환 된 다음 900℃에서는 Sr-feldspar (SrAl2Si2O8, hexagonal)으로, 1,100℃에서 SrAl2Si2O8 (triclinic)로 재결정 되었다. 그러나 BaA-Sr 제올라이트 계의 경우는 500℃ 이하부터 구조가 파괴되기 시작하여 500∼900℃ 에서 무정형 단계를 거친 후, 1,100℃에서 Ba/Sr-feldspar (Ba0.9Sr0.1Al2Si2O8 및 Ba0.5Sr0.5Al2Si2O8 공존)로 재결정 되었다. 상기 제올라이트 계 모두 온도 증가에 따라 탈수/(분해)→ 무정형→ 재결정의 단계를 거쳐 광물상으로 재결정 되었으며, 고온 열 분해 과정에서의 Cs 및 Sr의 휘발성, 침출성 등의 추가 연구가 요구되지만 각 제올라이트 계에 흡착된 Cs 및 Sr은 pollucite나 Sr-feldspar, Ba/Sr-feldspar 등으로 광물화 하여 Cs과 Sr을 배소체/(고화체) 내에 완전히 고정화 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35.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그라비올라(Annona muricata) 잎으로부터 50% 에탄올 추출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및 아글리콘 분획을 제조하였고 이들 추출물/분획에 대하여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였다. 1,1-Phenyl-2-picrylhydrazyl (DPPH) 라디칼 시험법을 이용한 자유라디칼 소거 활성, 루미놀 발광법을 이용한 총 항산화능 및 1O2 소광 효과를 평가하였다. 50% 에탄올 추출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및 아글리콘 분획의 라디칼 소거 활성 (FSC50)은 각각 45.6, 29.8 및 18.0 μ g/mL이었고, 총 항산화능(OSC50)은 4.4, 1.1 및 2.8 μ g/mL이었다.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의 총 항산화능은 수용성 항산화제로 잘 알려진 L-ascorbic acid (1.5 μ g/mL)보다 높은 항산 화능을 나타내었다. 1O2 소광 상수 실험 결과, 에틸아세테이트 및 아글리콘 분획은 비교물질로 사용된 L-ascorbic acid와 유사한 활성을 보여주었다. 1O2으로 유도된 적혈구 세포 손상에 있어서, 그라비올라 잎 50% 에탄 올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5-50 μ g/mL)으로 세포보호 활성을 나타내었다. 실험에 사용된 그라비올라 잎 추출 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과 아글리콘 분획에 대하여 TLC 및 HPLC를 이용한 성분 분석을 수행하였다. 에틸아 세테이트 분획에서는 rutin (quercetin-3-O-rutinoside), kaempferol-3-O-neohesperidoside, nicotiflorin (kaempferol-3-O-rutinoside), p-coumaric acid을 확인하였다. 아글리콘 분획에서는 kaempferol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은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이 항산화 화장품 원료로서 응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36.
        2017.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고염/고방사성 폐액 내 함유된 주요 고방사성핵종인 Cs 제거를 목적으로 고효율의 복합 흡착제(potassium cobalt ferrocyanide (PCFC)-loaded chabazite (CHA)) 합성 및 이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복합 흡착제는 Cs을 비롯한 다 른 입자를 수용할 수 있는 CHA를 지지체로 선정하였으며, CoCl2 및 K4Fe(CN)6 용액의 단계적인 함침/침전을 통해 PCFC를 CHA 세공 내에 고정화함으로써 합성하였다. 복합 흡착제의 합성 시 평균 입자크기가 10 ㎛ 이상의 CHA를 지지체로 사용할 경우, PCFC 입자는 안정적인 형태로 고정화되었다. 또한, 합성 시 복합 흡착제의 정제를 증가시키는 세척 방법을 최적화함으로써, 복합 흡착제의 물리적 안정성이 향상되었다. 최적의 합성법을 통해 얻은 복합 흡착제에 의한 Cs 흡착 시, 담수(무염 조건) 및 해수(고염 조건)에서 모두 빠른 흡착 속도를 보였으며, 염 농도와 무관하게 비교적 높은 분배계수 값(104 mL·g-1 이상)을 나타내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합성한 복합 흡착제는 CHA 및 PCFC가 각각 가지고 있는 물리적 안정성과 Cs 에 높은 선택성 등을 고려하여 촤적화한 소재이며, 고염/고방사성폐액에 함유되어 있는 Cs을 고효율로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37.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게임분야에서 수준 높은 인공지능 에이전트의 구현은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그 중 Monte-Carlo Tree Search(MCTS)는 완전 정보를 가진 게임에서 무작위 탐색을 통해 최적의 해를 구할 수 있는 알고리즘으로, 수식으로 표현되지 않는 경우에 근사치를 계산하는 용도로 적합하다. 하스스톤과 같은 Trading Card Game(TCG) 장르의 게임은 상대방의 카드와 플레이 를 예측할 수 없기 때문에 불완전 정보를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불완전 정보 카드 게임 에서 인공지능 에이전트를 생성하기 위해 MCTS 알고리즘을 응용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현재 서비스되는 하스스톤 게임에 적용하여 봄으로써 MCTS 알고리즘의 실용성을 검증한다.
        38.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다양한 이유로 콘텐츠 생성에 대한 연구는 최근 게임 인공 지능분야에서 활발히 연구되고 있 다. 디자이너의 개입과 관계없이 자동적으로 콘텐츠를 생성하려는 시도가 계속 되고 있으며, 여 러 게임 장르에서 다양한 형태의 게임 콘텐츠를 생성하는데 사용되어 왔다. 본 논문은 다양한 콘텐츠 생성 연구 중, 고립 동굴이 없는 맵을 자동으로 생성하기 위해 이진 공간 분할을 활용 하여 보강된 셀 오토마타 방법을 제안한다. 이진 공간 분할을 이용하면 원하는 공간의 수를 지 정할 수 있으며, 셀 오토마타를 이용하여 자동 생성된 맵의 통로를 탐색하는데 걸리는 시간도 줄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진 공간 분할로 보강된 셀 오토마타를 이용하여 자동 생성된 맵을 게임에 적용하여 그 유용성을 보인다.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