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6

        1.
        202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ost wetlands worldwide have suffered from extensive human exploitation. Unfortunately they have been less explored compared to river and lake ecosystems despite their ecological importance and economic values. This is the same case in Korea. This study was aimed to estimate the assemblage attributes and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for fifty wetlands distributed throughout subtropical Jeju Island in 2021. A total of 133 taxa were identified during survey periods belonging to 53 families, 19 orders, 5 classes and 3 phyla. Taxa richness ranged from 4 to 31 taxa per wetland with an average of 17.5 taxa. Taxa richness and abundance of predatory insect groups such as Odonata, Hemiptera and Coleoptera respectively accounted for 67.7% and 68.2% of the total. Among them Coleoptera were the most diverse and abundant. Taxa richness and abundance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from each wetland type classified in accordance with the National Wetland Classification System. There were three endangered species (Clithon retropictum, Lethocerus deyrolli and Cybister (Cybister) chinensis) and several restrictively distributed species only in Jeju Island. Cluster analysis based on the similarity in the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position largely classified 50 wetlands into two major clusters: small wetlands located in lowland areas and medium-sized wetlands in middle mountainous regions. All cluster groups display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wetland area, long axis, percentage of fine particles and macrophyte composition ratio. Indicator Species Analysis selected 19 important indicators with the highest indicator value of Ceriagrion melanurum at 63%, followed by Noterus japonicus (59%) and Polypylis hemisphaerula (58%). Our results are expected to provide fundamental information on the biodiversity and habitat environments for benthic macroinvertebrates in wetland ecosystems, consequently helping to establish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plans for small wetlands relatively vulnerable to human disturbance.
        4,900원
        2.
        202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valuated a potential sterilization process that uses calcium hypochlorite (Ca(ClO)2) as a disinfectant and hydrogen peroxide (H2O2) as a neutralizing agent for monoculture processes of microalgae (Nannochloropsis oculata). The results showed that no contaminants (prokaryote) were present when the Ca(ClO)2 concentration was greater than 0.010%. The use of an equivalent amount of H2O2 completely neutralized Ca(ClO)2 and had an additional bactericidal effect because of the formation of singlet oxygen. No substantial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biomass accumulation and chlorophyll contents compared to those in cultures sterilized using conventional physical methods such as autoclaving. Therefore, chemical sterilization using Ca(ClO)2 and H2O2 has an excellent economic advantage, and we expect the proposed ecofriendly chemical sterilization method to become a critical culture technology for microalgae-related industrialization.
        4,000원
        4.
        202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catalyst and metal–support interaction on the methane decomposition behavior and physical properties of the produced carbon, catalytic decomposition of methane (CDM) was studied using Ni/SiO2 catalysts with different metal–support interactions (synthesized based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urea). During catalyst synthesis, the addition of urea led to uniform and stable precipitation of the Ni metal precursor on the SiO2 support to produce Ni-phyllosilicates that enhanced the metal–support interaction. The resulting catalyst upon reduction showed the formation of uniform Ni0 particles (< 10 nm) that were smaller than those of a catalyst prepared using a conventional impregnation method (~ 80 nm). The growth mechanisms of methane-decomposition-derived carbon nanotubes was base growth or tip growth according to the metal–support interaction of the catalysts synthesized with and without urea, respectively. As a result, the catalyst with Ni-phyllosilicates resulting from the addition of urea induced highly dispersed and strongly interacting Ni0 active sites and produced carbon nanotubes with a small and uniform diameter via the base-growth mechanism. Considering the results, such a Ni-phyllosilicate-based catalyst are expected to be suitable for industrial base grown carbon nanotube production and application since as-synthesized carbon nanotubes can be easily harvested and the catalyst can be regenerated without being consumed during carbon nanotube extraction process.
        4,300원
        5.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해양수산부는 사람의 건강과 재산을 위협하는 유해해 양생물을 관리하기 위한 목적으로 17종의 유해해양생물을 지정했다. 유해해양생물의 지정 및 관리에 있어 2015년 11월 고시를 제정하고, 2019년 ‘해양생태계 교란종 및 유해해양생물의 지정 및 관리에 관한 지침 (이하, 훈령)’을 개정하였다. 이 연구는 두 가지 목적을 가지고 있다. 첫째, 해양수산부가 운영하는 유해해양생물의 위해성평가제도의 도입에 대한 국민의 인식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둘째, 현행 유해해양생물 지정 및 관리체계를 검토하여 현행 제도를 개선하고 정책제안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유해해양생물의 위해성 위험 평가 제도’를 ‘위험’과 ‘평가’의 두 가지 정의로 검토하였다. 현 위해성평가 절차에 대한 본고의 검토 결과는 정성적 위해성평가 요소 의 보완이다. 비록 정성적 평가기준이 가미되어 있지만, 현 위해성평가 절차는 정량적 위해성평가에 충실한 제도로 정성적 위해성평가 요소가 보완되었을 때 정량적 위해성 평가가 가지는 단점을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4,600원
        9.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화훼작물의 새로운 품종 개발과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교잡 및 돌연변이 육종과 같은 기존 기술에서 유전자변형기술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육종 기술이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화훼류의 유전자변형기술은 화색변형, 화형 및 형태변형, 개화시기 조절, 꽃 수명연장, 내환경성, 내병성, 내충성 등의 목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국내에서의 GM 화훼류 연구는 2000년대부터 진행되었고, 현재는 장미, 국화, 카네이션, 페튜니아 등을 대상으로 형질전환체를 개발하고 있다. 호주의 Florigene사에서 개발한 푸른 카네이션이 상업화되면서 일본 SUNTORY사 의 파란색 장미 그리고 호주 Florigene사의 시들지 않는 카네이션이 개발되어 상용화되고 있으며, 더 많은 품종 개발과 판매 시장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처럼 GM 화훼작물에 대한 연구성과는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생명 공학 기술을 기반으로 형질이 우수하고 소비자의 선호도가 높은 새로운 화훼 신품종 개발로 수출확대를 도모함으로써 농가 소득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보고에서는 국내외에 최근 보고된 GM 화훼작물의 형질전환체 연구개발 성공 사례들을 소개하고, 그 요인 분석을 통해 향후 더 성공적인 GM 화훼작물 개발 전략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4,500원
        11.
        2019.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삼불화알루미늄(AlF3)이 포함된 염화물-불화물 혼합 용융염에서 ZIRLO 튜브를 이용한 지르코늄 전해정련공정을 실증하였다. 순환 전압전류실험 결과, AlF3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금속환원의 개시 전위가 일정하게 증가하고 지르코늄-알루미늄 합금형성과 관련된 추가적인 peak의 크기가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류조절 전착법과 달리, −1.2 V의 일정전위 에서 수행한 지르코늄 전해정련에서 방사형 판 구조의 지르코늄 성장이 염의 상단 표면에서 확연하게 나타났으며, 전착물 지름의 크기는 AlF3의 농도에 따라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사전자현미경(SEM)과 에너지 분산 X선 분광기(EDX) 와 X선 광전자 분광기(XPS)를 이용하여 판 구조의 지르코늄 전착물을 분석한 결과, 극미량의 알루미늄이 지르코늄-알루미늄 합금 형태로 존재하며, 전착물의 상단과 하단 간에 서로 다른 화학성분구조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AlF3의 첨가는 전착물 내 잔류염 양을 줄이고, 지르코늄 회수를 위한 전류효율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4,200원
        13.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알락수염노린재(Dolycoris baccarum L.)는 구북구(Palearctic region)에 널리 분포하는 다식성 곤충으로서 국내에서는 콩, 단감, 유자 등 다양한 작물의 해충이다. 이 종은 다른 노린재과(Pentatomidae) 곤충과 마찬가지로 수컷이 집합페로몬 을 방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는 수컷의 집합페로몬 성분을 동정하기 위하여, 고상미량추출(SPME) 방법을 이용하여 수컷과 암컷 성충에서 방출되는 휘발성 물질을 포집하여 화학구조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수컷 특이적인 휘발물질로서 α-bisabolol, α-bergamotene, β-bisabolene을 동정하였고, 3가지 성분이 100:15:5 비율로 존재함을 밝혔다. 야외에서 알락수염노린재 수컷과 암컷 성충 모두가 주성분인 α-bisabolol을 처리한 트랩에 유인되었다. 나머지 2가지 성분(α-bergamotene과 β-bisabolene)의 경우, 그 자체로는 유인 효과가 없었으나 주성분인 α-bisabolol에 추가되면 보강효과가 발휘되었다. 곤충에서 α-bisabolol이 동정된 것은 이것이 처음이며, 이번에 밝혀진 알락수염노린재 집합페 로몬은 이 해충의 발생예찰과 친환경 방제에 유용할 것이다.
        14.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가기관과 기업은 정비사를 양성을 위한 고등학교부터 대학교, 기업 훈련센터 같은 교육기관을 만들어 숙련된 정비사로 훈련시키려고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하지만 교재를 이용한 이론교육과 현장에서 사용하지 않는 장비를 이용한 실습교육으로는 제대로 된 정비교육을 진행하지 못하며 특수 장비를 활용한 교육이나 위험한 상황을 가정한 정비의 교육은 매우 위험하여 영상이나 사진으로 교육을 진행하고 있었다. 최근에는 VR과 AR을 접목하여 단순정비에서 특수정비까지 시뮬레이션으로 안전하게 상황을 체험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효과적인 교육 시뮬레이션이 연구되고 개발되는 사례가 많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누리 VR과 DisTi Engine, Remote AR을 비교분석하고, 유니티 엔진 기반으로 외부에서 전달된 정보를 기반으로 콘텐츠를 디바이스 화면에 최적화하여 출력하는 AR API 를 소개하고, VR 디바이스인 HTC Vive의 컨트롤러와 HMD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파일에 저장하는 VR API를 구현한 사례를 소개했다. 본 연구에서 구현한 API를 사용하면 콘텐츠를 제작할 때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17.
        2011.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sex pheromone of Synanthedon bicingulata (Staudinger), a major pest of peach trees in many regions of northeast Asia, was identified. Two major components from the pheromone gland extracts of female moths are E3,Z13-18:OAc and Z3,Z13-18:OAc, and the average ratio of these components is about 4:6, respectively. In addition to the major components, four minor components, Z13-18:OAc, E2,Z13-18:OAc, E3,Z13-18:OH, and Z3,Z13-18:OH also were identified from pheromone gland extracts. Field tests showed that E3,Z13-18:OAc and Z3,Z13-18:OAc are essential for attraction of male S. bicingulata moths, and males are optimally attracted to the blend ratio found in pheromone gland extracts of conspecific females. Addition of the minor glandular components (Z13-18:OAc, E2,Z13-18:OAc, E3,Z13-18:OH, and Z3,Z13-18:OH) did not affect captures of males to the primary binary blend. Thus, the blend of E3,Z13-18:OAc and Z3,Z13-18:OAc at the natural ratio can be used for monitoring populations of this species.
        20.
        2017.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The organic matter content of land clearing or soil brought from an other place is very low, less than 0.5%. However, the organic matter content of natural habitat soil and leader farmhouse soil was two to three times higher than that of general farmhouse soil. As a result, the yield of Gastrodia elata was higher than that of general farmhouse. Therefore,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yield of G. elata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green manure crops (GMCs). Methods and Results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in a soil with organic matter content of 0.5% in rain shelter greenhouse. The kind of GMCs are corn, Sudan grass, sorghum and oats, and the throughputs per 10 a were 2,000 ㎏, 2,200 ㎏, 1,500 ㎏ and 700 ㎏ of each. The soil preparation was carried out after treated of GMCs at least one month before G. elata was formally planted. As the results of these experiment, organic matter content in soils increased 4 - 5 times compared with before treatment. As a result, the yield of G. elata increased by 21 - 41% in all treatments of GMCs. In addition, there was 2 - 5% more G. elata of good merchantable quality. However, the soil temperature in the summer season period of 2016 (7.1 - 8.31) was 1.2 - 1.6℃ higher than the previous year. The day when the outside temperature was above 30℃ was 41 days. It doubled from the previous year. Soil moisture content showed similar tendency according to treatments. As a result, 20 - 30% of high temperature damage and 20 - 50% of putrefaction occurred, and the total yield also decreased by 20 - 30% compared to normal year. Conclusion : In conclusion, some organic matter is needed for cultivation of G. elata.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it would be better to keep the organic matter content at 2 - 3% when the destination are managed, and to use corn or Sudan grass as the GMCs.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