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 3개 보 구간 수변부 11개 지점을 대상으로 2023년 총 2회 채집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은 총 100종 평균 426.0 개체/m2였다. 여주보에서 64종으로 가장 많이 출현하였고, 강천보에서 59종, 이포보에서 54종, 한강보상류 에서 41종, 한강보하류에서 32종이 확인되었다. 전체 평균 개체밀도는 강천보에서 944.1 개체/m2로 가장 많았고, 한강보상류에서 282.7 개체/m2, 여주보에서 251.9 개체/m2, 이포보에서 180.6 개체/m2, 한강보하류에서 172.9 개체 /m2 순으로 확인되었다. 한강 보 구간에서는 플라나리아류, 실지렁이, 깔따구류 등이 우점함. 보구간의 특성상 상대적으로 단순한 하상 및 깊은 수심에 적응성이 높은 실지렁이, 깔따구류의 우점은 일반적인 특성으로 볼 수 있으며 일시적으로 수변부에서 밀집된 플라나리아류의 채집이 이뤄져 우점된 결과를 보인 것으로 보임. 한강 보 구간 수변부 및 중앙부 조사지점별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한강보 하류는 3개 보에 비해 우점도가 높고 다양도 와 풍부도가 낮았으며 전반적으로 상류부에 위치한 한강보상류 등의 지점에서 군집안정성이 확보되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점은 상대적으로 다양한 미소서식환경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현재 주요 수목병해 방제는 육안조사 등을 기반으로 한 현장조사를 통해 실시 되고 있으나, 목적 달성에 있어 그 효율성 높지 않다. 수목병의 예찰 방법을 고도화하고 적기방제를 통해 그 피해를 저감시키기 위해, 본 연구는 메타지놈 분석을 이용하여 두릅나무에서의 곰팡이 다양성을 조사하였다. 속(Genus) 수준에서 메타지놈 분석결과 총 20개의 곰팡이 상이 해당 재배지 내 두릅나무에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중, Alternaria속과 Puccinia속이 우점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는 두릅나무 재배지 내 전체에서 개체별로 일관되게 나타났으며, 특히 해당 재배지 내 두릅나무 녹병이 우점적으로 발생함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두릅나무에서의 주요 곰팡이 다양성에 대한 스크리닝과 함께 주요 또는 잠재적 수목병원균류를 대상으로 메타지놈 기법으로 확인할 수 있음을 본 연구결과를 통해 확인되었다.
Wolsong unit 1, the first PHWR (Pressurized Heavy Water Reactor) in Korea, was permanent shut down in 2019. In Korea, according to the Nuclear Safety Act, the FDP (Final Decommissioning Plan) must be submitted within 5 years of permanent shutdown. According to NSSC Notice, the types, volumes, and radioactivity of solid radioactive wastes should be included in FDP chapter 9, Radioactive Waste Management, Therefore, in this study, activation assessment and waste classification of the End shield, which is a major activation component, were conducted. MCNP and ORIGEN-S computer codes were used for the activation assessment of the End shield. Radioactive waste level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ooling period of 0 to 20 years in consideration of the actual start of decommissioning. The End shield consists of Lattice tube, Shielding ball, Sleeve insert, Calandria tube shielding sleeve, and Embedment Ring. Among the components composed for each fuel channel, the neutron flux was calculated for the components whose level was not predicted by preliminary activation assessment, by dividing them into three channel regions: central channel, inter channel, and outer channel. In the case of the shielding ball, the neutron flux was calculated in the area up to 10 cm close to the core and other parts to check the decrease in neutron flux with the distance from the core. The neutron flux calculations showed that the highest neutron flux was calculated at the Sleeve insert, the component closest to the fuel channel. It was found that the neutron flux decreased by about 1/10 to 1/20 as the distance from the core increased by 20 cm. The outer channel was found to have about 30% of the neutron flux of the center channel. It was found that no change in radioactive waste level due to decay occurred during the 0 to 20 years cooling period. In this study, activation assessment and waste classification of End Shield in Wolsong unit 1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s for the preparation of the FDP for the Wolsong unit 1.
본 연구에서는 다래‘대성’과실의 수확 후 품질 보구력과 저장성 증진에 대한 효과를 살펴보고자 칼 슘-키토산을 수확 전후 처리 하였다. 수확 전 처리는 8월 20일, 25일, 28일 3회에 거쳐 과실에 살포 처리하였고, 수확 후 처리는 8월 31일 수확한 건전한 과실을 선별하여 침지 처리하였다. 처리한 과실은 1℃와 17℃ 온도 조건에 저장 하여 시기별로 가용성 고형물 함량, 산함량, 경도, 호흡률, 에틸렌발생량, 감모율을 조사하여 과실 품질을 평가하였다. 두 온도 조건에서 수확전후 칼슘-키토산 처리는 과피에 대 한 코팅효과에 의해 감모율 억제효과를 보였다. 17℃ 저장조건에서는 감모율 이외의 품질지표에서는 처 리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1℃ 저장조건에서는 감모율 이외에도 경도와 호흡률에서 칼슘-키토 산 수확 전후처리가 과실 후숙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 하였다.
본 연구는 신품종 다래‘오텀센스’의 수확적기를 구명하고자 생육시기별 과실품질과 후숙 특성을 조 사하였다. 과실의 후숙은 과실의 비대가 최대가 되고 과실 내 종자가 성숙한 이후에 가능하였으나, 종 자가 성숙 상태만으로는 후숙 가능성을 판단할 수 없었다. 산함량은 1.05%이상이 되어야 정상적인 후 숙이 진행되었으며 후숙이 가능한 시점의 경도는 평균 27.1N이었다. 성숙기에 접근한 과실의 가용성 고 형물 함량은 만개후 71일부터 90일까지 시기별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지만 후숙 후의 가용성 고형물 함량에는 유의적 차이가 있어 가용성 고형물 함량으로 수확적기를 구명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다래 의 저장 중 중량감소율은 2℃에 상대습도 90%저장구가 낮았고, 부패율은 20℃, 상대습도 45% 저장구 에서는 저장 8일 후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였고, 2℃에 상대습도 45%와 상대습도 90% 모두 저장 후 20 일까지 10% 이하로 유지되었다. 따라서 과실의 크기, 경도 및 후숙 전·후의 가용성 고형물 함량 등을 종합하여 고려해 볼 때 신품종 다래‘오텀센스’의 수확적기의 만개 후 생육일수는 85일(9월 2일)이었 고, 2℃에 상대습도 90%인 저온고습환경이 적합하였다.
Major loci controlling flowering time and maturity of short-day plant soybean, E1, E2, E3, E4, E5, E6, E7 and E8, have been identified in soybean. The gene corresponding to E2 locus is a homolog of Arabidopsis GIGANTEA (AtGI). We identified three GI homologs in soybean and are verifying their roles in day-length dependent flowering. Expression anlysis indicated that GmGIs are ubiquitously expressed at all developmental stages of soybean plants. Diurnal expression of GmGIs fluctuates within light/dark cycles of long-day (LD) and short-day (SD). GmGI2 and GmGI3 have identical expression patterns under both day length conditions with the highest peak at zeitgeber time 8 h (ZT8) under LD and at ZT4 under SD. GmGI1 shows the peak at ZT12 under LD and at ZT8 under SD. All of GmGIs exhibit the earlier peak and the shorter phase under SD than LD. The results indicated that day length affects expressions of GmGIs. Subcellular localization analysis showed that GmGIs are mainly targeted to nucleus, similar to the localization of AtGI. Overexpression of GmGIs in Arabidopsis transgenic plants showed no significant effect on flowering time nor rescue of gi-2 mutant phenotype. The results suggested that GmGIs have different molecular functions in flowering time regulation of short-day plant soybean compared to long-day plant Arabidopsis. To investigate the molecular mechanisms of GmGIs’ functions in soybean flowering time control, we intend to identify target gene of GmGIs and interacting proteins by using yeast two-hybrid assay.
Phosphorus is one of the macronutrients essential for plant growth and development, as well as crop productivity. Many soils around the world are deficient in phosphate (Pi) that plants can utilize. To cope with the stress of Pi starvation, plants have evolved many adaptive strategies, such as changes of root architecture and enhanced Pi acquisition form soil. To understand molecular mechanism underlying Pi starvation stress signaling, we characterized the activation-tagged mutant showing altered responses to Pi deficiency compared to wild type Arabidopsis and named hsp3 (hypersensitive to Pi starvation3). hsp3 mutant exhibits enhanced phosphate transporter activity, resulting in higher Pi content than wild type. However, in root architectural change under Pi starvation, hsp3 shows hyposensitive responses than wild type, such as longer primary root elongation, lower lateral root density. Histochemical analysis using hsp3 mutant expressing auxin-responsive DR5::GUS reporter gene, indicated that auxin allocation from primary to lateral roots under Pi starvation is aborted in hsp3 mutant. Molecular genetic analysis of hsp3 mutant revealed that the mutant phenotype is caused by the lesion in ENHANCED SILENCING PHENOTYPE4 (ESP4) gene whose function is proposed in mRNA 3’ end processing. Here, we propose that mRNA processing plays a crucial role in Pi homeostasis in Arabidopsis.
Munjangbyeo' is a japonica rice cultivar developed from a cross between Sangsanbyeo and Suweon 397 by Sangju Substation of National Yeongnam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 RDA in 1999. The cultivar is early matured with heading date of Aug. 2 in ordinar
Sangmibyeo' is a japonica rice cultivar developed from a cross between Sambaegbyeo and Ou 316 by Sangju Substation of National Yeongnam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 R.D.A. in 1998. The cultivar is early maturing with heading date of August 7 in ordi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