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

        1.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경상분지 동남부인 부산 기장군에 분포하는 이천리층은 퇴적시기와 층서 대비가 이루어지지 않은 백악기 퇴적 층으로 최근 방산충 화석을 포함하는 쳐트역이 보고되어 기원지에 대한 관심이 높은 지역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이천리 층의 퇴적시기와 기원지를 규명하고, 후기 백악기 경상분지의 고지리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이천리층 사암 내 쇄설 성 저어콘을 이용해 U -Pb 연대를 분석하였다. 이천리층은 선캄브리아시대에서 중생대 백악기에 이르는 넓은 연령 분포 를 보이며, 백악기, 페름기, 고원생대 연령이 우세하다. 약 95 Ma의 최소 가중평균연령을 통해 이천리층의 최대 퇴적시 기는 후기 백악기 초 세노마눔절(Cenomanian)로 제한된다. 외래기원의 방산충 함유 쳐트역과 함께 한반도 내 인접 지역에서는 분포하지 않는 중기 페름기 저어콘의 높은 함량은 이천리층의 퇴적 동안 남서 일본 지역으로부터 퇴적물이 유입되었음을 시사한다. 연대 분포를 비교한 결과, 이천리층의 주된 퇴적물 공급지는 영남육괴와 미노-탐바 쥐라기 복 합체(Mino-Tamba Jurassic accretionary complex)로 해석되며 퇴적물 공급 과정에서 페름기 연령을 가지는 암체 (Maizuru Belt)와의 혼합이 중기 페름기 저어콘의 높은 산출량에 기여한 것으로 판단된다. 다차원척도법 (multidimensional scaling)을 이용한 통계적 유사도 분석 결과도 이와 같은 해석을 뒷받침한다.
        6,600원
        2.
        2024.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거저리는 식품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유충기가 오래 지속되면 더 좋다. 반면에 거저리의 개체수 유지를 위 해 성장을 가속화하기 위해서는 유충이 빨리 성충이 되면 더 좋다. 이 연구에서는 개체군 밀도가 거저리의 발달 시 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였다. 이를 위해 상단 7 cm, 하단 5 cm, 높이 3 cm 크기의 용기를 사용했다. 거저리는 용기 당 1, 2, 5, 10, 20마리의 밀도로 용기에서 서식하였다. 용기에 밀기울 1 g을 넣고 거저리의 먹이 여부에 따라 라벨을 붙였다. 실험은 세 번 반복되었다. 모든 실험에서 개체군 밀도가 높을수록 유충에서 번데기로의 변환 시간이 짧았 지만 번데기에서 성충으로 변환되는 시간은 크게 다르지 않았다. 또한 먹이가 있는 그룹에서 번데기로의 변환 시간 이 단축되었지만, 성충으로 변환되는 시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이 연구 결과는 유충기를 연장하기 위해 더 낮은 밀 도가 필요하고 더 빠른 속도로 성충이 필요하다면 밀도가 더 높아야 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결론적으로 거저리의 발달 시간은 개체수 밀도에 의해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3.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해충에 이용되는 화학적 기피제는 생태계를 파괴할 수 있으며 내성을 가진 생물체로의 진화를 촉진한다. 같은 종의 생물끼리의 의사소통 수단인 페로몬을 이용하면 다른 종에게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특정 곤충에 특이적 으로 작용하는 방충제를 제작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본 연구는 초파리(Drosophila)의 페로몬 2종류를 추출 하여 초파리의 기피도 및 유인도와 번식률을 확인하고자 한다. ℃, 광주기 12h/12h의 동일한 조건에서 사육하 며 10마리당 헥세인 10를 사용하여 암컷의 표피에서 CHC 페로몬과 수컷의 페로몬샘에서 cVA 페로몬을 추출 한다. 연령, 성별, 교배 여부에 따라 관찰통에 각각의 페로몬을 처리하여 지정구간에 분포하는 초파리의 수를 계수하여 기피도 및 유인도를 확인한다. 관병에 암수 1쌍을 투입하고 하루에 1번 선정한 페로몬을 투여하며 산란 수을 측정한다. 이 연구를 통해 CHC가 수컷 초파리에 대한 기피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추출되는 수컷의 연령이 높을수록 cVA에 의한 번식률 감소가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페로몬을 통한 초파리의 방제 가능성 을 확인하였으므로 다른 곤충의 방제에도 적용할 수 있을 거라 기대한다. 페로몬은 생물 농축과 같은 환경적 영향이 없으며 소량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상용화를 통해 해충에 의해 피해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6.
        201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 aureus is reported as a major cause of nosocomial infections after dental care and involved in endocarditis, bacteremia, osteomyelitis, peritonitis, and soft tissues etc. It is very important to identify the distribution and the diversity of toxin gene associated with the S. aureus expression in dental care patients with periodontitis directly for an effectiv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dental diseases. Fifty four strains of S. aureus were isolated from the saliva of 129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periodontitis at dental clinics and hospitals located in Seoul. The distribution of the virulence gene and the genetic diversity of the strains were studied using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 with isolated strains. The enterotoxin test showed Seb was the most frequent gene with 88.9%. The hemolysin gene of Hla, Hib and Hld were the most frequently gene with 98.1% (53 strains), leukocidins gene of lukM showed 90.7% (49 strains), and laminin binding protein gene of Eno showed 100% (54 strains), respectively. The diversity of the enterotoxin gen was held as Seb-Seg-Sei gene of 35.2% (19 strains), the diversity of hemolysin gene of Hla-Hlb-Hld gene was 98.1% (53 strains) and the diversity of leukocidins gene of LukD-LukM were 88.9% (48 strains), respectively. Patients with dental disease showed somehow high toxin gene expression so that S. aureus in dental care area is judged to show very highly pathogen with a high and infection rate. In the future, additional studies for these toxin genes seem to be required.
        4,000원
        7.
        200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We analyzed a portion of mitochondrial COI gene sequences (658 bp) to investigate the genetic diversity and geographic variation of the swallowtail butterfly, Papilioxuthus L., and the cabbage butterfly, Pieris rapae (Lepidoptera: Papilionidae). P. xuthus showed a moderate level of sequence divergence (0.91% at maximum) in 15 haplotypes, whereas P. rapae showed a moderate to high level of sequence divergence (1.67% at maximum) in 30 haplotypes, compared with other relevant studies. Analyses of population genetic structure showed that most populations are not genetically differentiated in both species. The distribution pattern of both species appears to be consistent with category IV of the phylogeographic pattern sensu Avise (Avise et al. 1987): a phylogenetic continuity, an absence of regional isolation of mtDNA clones, and extensive distribution of close clones. The observed pattern of genetic diversity and geographic variation of the two butterfly species seems to reflect the abundant habitats, abundant host plants, and flying abilities in connection with the lack of historical biogeographic barriers.
        8.
        201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growth characteristics and inorganic components of Codonopsis lanceolata regarding regional differences. The plant height of Japanese Codonopsis lanceolata was 373.6 cm, so it’s revealed that it has more vigorous growth than Korean won. The flowering time of Korean Codonopsis lanceolata was 2 weeks faster than Japanese one. Total fresh weight of root was 41.0 g and 39.0 g for Korean and Japanese respectively, thus, no significance difference was found. However, regarding fresh weight, Korean one had a more fresh weight (35.4 g) of main root parts, but Japanese one had a more fresh weight (9.6 g) of the lateral root part. Each inorganic component was found more in the aboveground parts, regardless of the region and the content of K was the largest. Regarding the content of macroelements for each part of Codonopsis lanceolata, the content of Na, Mg, P, S, and Ca in Korean Codonopsis lanceolata was found the highest on the leaf, followed by stem and root. In the case of Japanese Codonopsis lanceolata, same result was found on the content of Mg and Ca, however, the highest content of Na and P was found in the stem.
        9.
        201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growth, inorganic components, and proximate components of Codonopsis lanceolata grown in 10 regions of Korea for selecting superior species and breeding by crossing. Among the all tested lines, the shortest plant height (217.12 cm) was observed from the Ulleungdo region line (No. 4) while the longest (273.9 cm) was observed from Hwasun region line (No. 9). In addition, the lines of central and northern region (No. 1~No. 7) tend to have shorter plant height than those of southern region (No. 8~No. 9) except Jejudo region line (No. 10). Flowering tends to be late towards southern region, and lines in central and northern regions were started flowering about 2 weeks earlier than those in southern regions. However, the heaviest root weight was 13.1 g, found in only Jejudo line (No. 10) wherea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found in the other regions which have a range of 8.3~11.0 g. The inorganic components were varied in each line, however, proportion of macroelements, such as K, Ca, and P, was the largest for every line. Especially for Heongseong region line (No. 2), had larger proportion of macroelements than the others. There was a difference of proximate compositions of Codonopsis lanceolata, except the moisture content, among all regions, however, it was generally shown that the content of crude protein (1.31~3.76%) and crude fiber (2.18~3.12%) was the highest.
        13.
        200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urabyeo” is a new japonica rice cultivar developed from a backcrossed combination between the F1 of “Suweon 345/ Kanto PL4” and “Suweon 345” of lodging tolerant, semi-dwarf, high-quality rice line by the rice breeding team of National Crop Experiment 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