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metric and spectroscopic observations of GV Leo were performed from 2017 to 2024. The light curves show a flat bottom at the primary eclipse and the conventional O’Connell effect. The echelle spectra reveal that the effective temperature and rotation velocity of the more massive secondary are Teff,2 = 5220 ± 120 K and v2 sin i = 223 ± 40 kms−1, respectively. Our binary modeling indicates that the program target is a W-subclass contact binary with a mass ratio of q = 5.48, an inclination angle of i = 81.◦68, a temperature difference of (Teff,1 − Teff,2) = 154 K, and a filling factor of f = 36%. The light asymmetries were reasonably modeled by a dark starspot on the secondary’s photosphere. Including our 26 minimum epochs, 84 times of minimum light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orbital period of the system. We found that the eclipse times of GV Leo have varied by a sinusoid with a period of 14.9 years and a semi-amplitude of 0.0076 days superimposed on a downward parabola. The periodic modulation is interpreted as a light time effect produced by an unseen outer tertiary with a minimum mass of 0.26 M⊙, while the parabolic component is thought to be a combination of mass transfer (secondary to primary) and angular momentum loss driven by magnetic braking. The circumbinary tertiary would have caused the eclipsing pair of GV Leo to evolve into its current short-period contact state by removing angular momentum from the primordial widish binary.
곤충호텔은 곤충이 서식할 수 있도록 인위적으로 만든 구조 물로서 정원이나 텃밭 등 다양한 곳에서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식생유형, 재료, 설치 방식 등에 따른 곤충 유입 효과에 대한 검증은 부족하며, 국가 또는 지역에 따른 곤충의 종류와 생육환 경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곤충호텔에 대한 국내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립수목원을 대상으로 구체적 인 식생유형 및 재료에 따른 유입 곤충 특성을 확인하고, 국내 실정에 맞는 효과적인 곤충호텔 설치 및 관리방안에 대한 기준 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조사구는 세 가지 식생유형(초지, 침엽수 림, 활엽수림)으로 구분하였으며, 각 식생의 조사구에 두 가지 재료(참나무, 잣나무)를 활용한 곤충호텔을 설치하였다. 조사는 2년동안(2022~2023) 진행되었으며, 매년 4~9월까지 주 1회 씩(총 48회) 곤충호텔의 유입 곤충을 직접 채집하였다. 곤충호 텔에서 채집된 곤충은 총 9목 46과 129종 3,057개체로, 2022 년에는 7목 34과 85종 1,750개체, 2023년에는 8목 35과 77종 1,307개체가 출현하였다. 연도별로 비교하면 1차년도에 유입 된 곤충의 개체수가 2차년도 보다 약 1.3배 많았고, 재료의 부식 에 따른 곤충의 구성도 달라졌다. 식생유형에 따라 구분하면 기간에 상관없이 활엽수림에서 유입 곤충이 가장 많았고, 침엽 수림에서 가장 적었다. 또한 재료에 따른 구분에서는 참나무가 잣나무보다 유입 곤충이 많았다. 참나무의 경우 유입 곤충의 연도별 차이가 적은 반면, 잣나무는 1년차에 비해 2년차에 약 2.3배 줄었다. 상관분석과 계층적 군집분석을 통한 곤충의 유입 특성은 식생유형보다는 재료의 영향이 큰 것으로 확인되었고, 식생유형만 비교했을 경우 초지에 비해 활엽수림과 침엽수림의 유사성이 높았다. 결론적으로 생물 다양성 증진을 목적으로 곤 충호텔을 설치하고자 한다면 초지나 활엽수림에 참나무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며, 잣나무 재료를 이용한다면 1년 주기로 재료 교체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특정 재료를 선호 하는 곤충의 기주특이성이 확인되었기 때문에 다양한 종류의 재료를 같이 사용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라고 사료된다. 향후 이를 기반으로 전시원에서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곤충호텔 모델 개발로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국립수목원 전시원의 지속가능하고 친환경적인 관리를 위하 여 유기물 멀칭재 처리에 대한 잡초 억제 효과를 조사하였다. 대표적 잡초인 쑥군락과 바랭이군락을 대상으로 고정방형구 (1×1㎡)를 3반복 설치하였다. 처리구의 유기물 멀칭재는 5가지 재료로 활엽수 우드칩, 침엽수 바크, 갈참나무 낙엽, 메타세쿼이 아 낙엽, 칠엽수 과피를 사용하였다. 멀칭재 중에서 갈참나무 낙엽, 활엽수 우드칩, 칠엽수 과피가 비교적 잡초 억제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갈참나무 낙엽은 지중 온도를 낮게 유지 하는 효과가 상대적으로 좋았기 때문에 토양의 보습 효과가 뛰 어날 것으로 판단된다. 유기물 멀칭재 처리는 일년생식물의 발 생은 억제하고, 지중식물 및 반지중식물의 생육에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었다. 멀칭재의 무게보다 재료에 의한 빛 차단 면적이 잡초를 억제하는 주된 요인이었다. 본 연구 결과는 국립수목원 전시원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을 활용한 친환경적 관리 방안 수립 에 활용될 것이며, 향후 잡초의 발생 시기에 따른 멀칭 시기 및 유기물 멀칭재의 유지 관리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Mesocrystals are macroscopic structures formed by the assembly of nanoparticles that possess distinct surface structures and collective properties when compared to traditional crystalline materials. Various growth mechanisms and their unique features have promise as material design tools for diverse potential applications. This paper presents a straightforward method for metal–organic coordination-based mesocrystals using nickel ions and terephthalic acid. The coordinative compound between Ni2+ and terephthalic acid drives the particle-mediated growth mechanism, resulting in the mesocrystal formation through a mesoscale assembly. Subsequent carbonization converts mesocrystals to multidirectional interconnected graphite nanospheres along the macroscopic framework while preserving the original structure of the Ni-terephthalic acid mesocrystal. Comprehensive investigations demonstrate that multi-oriented edge sites and high crystallinity with larger interlayer spacing facilitate lithium ion transport and continuous intercalation. The resulting graphitic superparticle electrodes show superior rate capability (128.6 mAh g− 1 at 5 A g− 1) and stable cycle stability (0.052% of capacity decay per cycle), certifying it as an advanced anode material for lithium-ion batteries.
본 연구는 주변 환경의 차이에 따른 화분매개곤충의 유입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국립수목원 내 진화속을걷 는정원과 부추속전문전시원에 식재된 울릉산마늘의 화분매개곤충을 조사하였다. 2023년 5월 22일부터 6월 2일 까지 꽃이 70% 이상 개화하였을 때 포충망을 활용하여 8일간 곤충을 채집하였고, 각 전시원 별 식생(피도), 기후 (온도·습도·조도)를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진화속을걷는정원에서 피도 60% 온도 26.4℃, 습도 31.5%, 조도 40953.6lx, 화분매개곤충 20과 450개체, 부추속전문전시원은 피도 90%, 온도 25.6℃, 습도 31.6%, 조도 6387lx, 화분매개곤충 15과 196개체로 나타났다. 온도와 조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진화속을걷는정원이 채집된 곤충의 다양성과 방문 빈도가 높았다. 시간대별 곤충의 방문 빈도를 비교해본 결과 온도와 조도는 개체수가 증가할 때 같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습도는 반대의 경향을 보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alculate the damage of Italian ryegrass (IRG) by abnormal climate using machine learning and present the damage through the map. The IRG data collected 1,384. The climate data was collected from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Meteorological data open portal.The machine learning model called xDeepFM was used to detect IRG damage. The damage was calculated using climate data from the Automated Synoptic Observing System (95 sites) by machine learning. The calculation of damage was the difference between the Dry matter yield (DMY)normal and DMYabnormal. The normal climate was set as the 40-year of climate data according to the year of IRG data (1986~2020). The level of abnormal climate was set as a multiple of the standard deviation applying the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WMO) standard. The DMYnormal was ranged from 5,678 to 15,188 kg/ha. The damage of IRG differed according to region and level of abnormal climate with abnormal temperature, precipitation, and wind speed from -1,380 to 1,176, -3 to 2,465, and -830 to 962 kg/ha, respectively. The maximum damage was 1,176 kg/ha when the abnormal temperature was -2 level (+1.04℃), 2,465 kg/ha when the abnormal precipitation was all level and 962 kg/ha when the abnormal wind speed was -2 level (+1.60 ㎧). The damage calculated through the WMO method was presented as an map using QGIS. There was some blank area because there was no climate data. In order to calculate the damage of blank area, it would be possible to use the automatic weather system (AWS), which provides data from more sites than the automated synoptic observing system (ASOS).
Thermal management is significant to maintain the reliability and durability of electronic devices. Heat can be dissipated using thermal interface materials (TIMs) comprised of thermally conductive polymers and fillers. Furthermore, it is important to enhance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IMs through the formation of a heat transfer pathway. This paper reports a polymer composite containing vertically aligned electrochemically exfoliated graphite (EEG). We modify the EEG via edge selective oxidation to decorate the surface with iron oxides and enhance the dispersibility of EEG in polymer resin. During the heat treatment and curing process, a magnetic field is applied to the polymer composites to align the iron oxide decorated EEG. The resulting polymer composite containing 25 wt% of filler has a remarkable thermal conductivity of 1.10 W m− 1 K− 1 after magnetic orientation.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TIM can be designed with a small amount of filler by magnetic alignment to form an efficient heat transfer pathway.
Nanostructured ZnO materials have been studied extensively because of their functional properties. This paper presents a composite material of zinc oxide quantum dots (ZnO QDs) and porous carbon using a one-step carbonization process. The direct carbonization of a metal–organic complex generates mesostructured porous carbon with a homogeneous distribution of ZnO QDs. The structural and morphological properties are investigated by X-ray diffraction (XR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The resulting ZnO QDs@porous carbon composite delivers a high specific capacity of 990 mAh g−1 at 100 mA g−1, 357 mAh g−1 at 2 A g−1, and high reversibility when evaluated as an anode for lithium ion batteries.
In this study, graphene was rapidly grown by chemical vapor deposition using a liquid cell for supplying methanol as a carbon source of graphene. To realize the rapid growth, methanol which is carbon-contained organic solvent was used instead of methane gas, a widely used carbon source for graphene growth. The graphene grown with the growth time as a variable was transferred to a SiO2/ Si substrate with an oxide thickness of 300 nm to confirm whether it was grown with full coverage with an optical microscope. The results confirmed a full coverage in 0.5 min of growth. The Raman spectra also confirmed the G-peak position at 1585.0 cm−1 and an intensity ratio of 2D/G at 2.3 or higher. Concerning electrical transport characteristics, at an induced carrier density of 1 × 1012 cm−2, the hole (μh) and electron (μe) mobilities were 1524 cm2 V−1 s−1 and 1528 cm2 V−1 s−1, respectively. Thus, our study confirmed that high-quality, large-area graphene can be grown within 0.5 min.
본 논문에서는 영화에서 인물의 극적인 등장, 등장 인물 간의 관계를 효과적으로 표현하 고자 할 때 주로 사용하는 영화 촬영 기법 ‘아크 트래킹 샷’을 비주얼 노블 게임에 카메라 연출을 설계 및 구현하여 적용하였다. 비주얼 노블은 소설을 읽듯 이야기 진행에 중 점을 둔 게임의 한 장르로 이미지, 사운드 등 시청각적 요소를 첨가하여 이야기의 몰입을 돕는다. 그러나 기존 비주얼 노블의 카메라는 정적이며 움직임이 극히 제한되어 있어 플레이어의 이야기 몰입도를 높이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이를 극복하고자 이야기의 전달이 중요하다는 공통점을 가진 영화의 촬영 기법 아크 트래킹 샷을 3D 게임 엔진에 가상의 카메라 트래킹 레일을 만들고 카메라에 적용하는 과정을 통해 비주얼 노블의 카메라 연출에 적용하였다. 영화 연출 기법을 비주얼 노블 게임콘텐츠에 적용하면서 기존 비주 얼 노블 연출의 단점을 극복하고 역동적인 카메라 움직임은 플레이어에게 몰입을 유지 시키는 작용을 하며 제작자가 전달하고자 하는 감정과 의미를 더욱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freshwater discharge by artificial dikes from the Kanwol and Bunam lakes on the dynamics in the Chunsu Bay, Yellow Sea, Korea, during the summer season based on three-dimensional numerical modeling experiments. Model performances were evaluated in terms of skill scores for tidal elevation, velocity, temperature, and salinity and these scores mostly exceeded 90 %. The variability in residual currents before and after the freshwater discharge was examined. The large amount of lake water discharge through artificial dikes may result in a dramatically changed density field in the Chunsu Bay, leading to an estuarine circulation system. The density-driven current formed as a result of the freshwater inflow through the artificial dikes (Kanwol/Bunam) caused a partial change in the tidal circulation and a change in the scale and location of paired residual eddies. The stratification formed by strengthened static stability following the freshwater discharge led to a dramatic increase in the Richardson number and lasted for a few weeks. The strong stratification suppressed the vertical flux and inhibited surface aerated water mixing with bottom water. This phenomenon would have direct and indirect impacts on the marine environment such as hypoxia/anoxia formation at the bottom.
목적: 이 연구는 안경과 선글라스에서 테와 렌즈의 형태와 색상에 대한 한국인과 중국인 소비자 집단의 선호도 차이를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방법: 한국에 유학 중인 중국인 학생 150명과 한국인 대학생 1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안경광학 관련 전공자는 설문 대상에서 배제되었다. 중국인 학생들에게는 중국어 간체자로 번역된 설문지를 제공하였으며, 제공된 설문지는 한국 대학 석사과정에 유학 중인 중국인 원어민 학생이 한국어 설문지를 바탕으로 번역한 것이다.
결과: 중국인 소비자 집단은 안경보다 선글라스에서 글로벌 유명 브랜드를 더 선호하였으며, 한국산 안경 제품을 상대적으로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무테 또는 반무테, 금색테, 투톤컬러 렌즈 항목에서 한국인 소비자 집단보다 높은 선호도를 나타냈다.
결론: 이 연구의 결과는 한국 안경 제조․유통 업체의 중국 시장 진출이나 중국인 고객 비율이 높은 안경원 의 판매 전략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