곤충호텔은 곤충이 서식할 수 있도록 인위적으로 만든 구조 물로서 정원이나 텃밭 등 다양한 곳에서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식생유형, 재료, 설치 방식 등에 따른 곤충 유입 효과에 대한 검증은 부족하며, 국가 또는 지역에 따른 곤충의 종류와 생육환 경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곤충호텔에 대한 국내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립수목원을 대상으로 구체적 인 식생유형 및 재료에 따른 유입 곤충 특성을 확인하고, 국내 실정에 맞는 효과적인 곤충호텔 설치 및 관리방안에 대한 기준 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조사구는 세 가지 식생유형(초지, 침엽수 림, 활엽수림)으로 구분하였으며, 각 식생의 조사구에 두 가지 재료(참나무, 잣나무)를 활용한 곤충호텔을 설치하였다. 조사는 2년동안(2022~2023) 진행되었으며, 매년 4~9월까지 주 1회 씩(총 48회) 곤충호텔의 유입 곤충을 직접 채집하였다. 곤충호 텔에서 채집된 곤충은 총 9목 46과 129종 3,057개체로, 2022 년에는 7목 34과 85종 1,750개체, 2023년에는 8목 35과 77종 1,307개체가 출현하였다. 연도별로 비교하면 1차년도에 유입 된 곤충의 개체수가 2차년도 보다 약 1.3배 많았고, 재료의 부식 에 따른 곤충의 구성도 달라졌다. 식생유형에 따라 구분하면 기간에 상관없이 활엽수림에서 유입 곤충이 가장 많았고, 침엽 수림에서 가장 적었다. 또한 재료에 따른 구분에서는 참나무가 잣나무보다 유입 곤충이 많았다. 참나무의 경우 유입 곤충의 연도별 차이가 적은 반면, 잣나무는 1년차에 비해 2년차에 약 2.3배 줄었다. 상관분석과 계층적 군집분석을 통한 곤충의 유입 특성은 식생유형보다는 재료의 영향이 큰 것으로 확인되었고, 식생유형만 비교했을 경우 초지에 비해 활엽수림과 침엽수림의 유사성이 높았다. 결론적으로 생물 다양성 증진을 목적으로 곤 충호텔을 설치하고자 한다면 초지나 활엽수림에 참나무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며, 잣나무 재료를 이용한다면 1년 주기로 재료 교체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특정 재료를 선호 하는 곤충의 기주특이성이 확인되었기 때문에 다양한 종류의 재료를 같이 사용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라고 사료된다. 향후 이를 기반으로 전시원에서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곤충호텔 모델 개발로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국립수목원 전시원의 지속가능하고 친환경적인 관리를 위하 여 유기물 멀칭재 처리에 대한 잡초 억제 효과를 조사하였다. 대표적 잡초인 쑥군락과 바랭이군락을 대상으로 고정방형구 (1×1㎡)를 3반복 설치하였다. 처리구의 유기물 멀칭재는 5가지 재료로 활엽수 우드칩, 침엽수 바크, 갈참나무 낙엽, 메타세쿼이 아 낙엽, 칠엽수 과피를 사용하였다. 멀칭재 중에서 갈참나무 낙엽, 활엽수 우드칩, 칠엽수 과피가 비교적 잡초 억제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갈참나무 낙엽은 지중 온도를 낮게 유지 하는 효과가 상대적으로 좋았기 때문에 토양의 보습 효과가 뛰 어날 것으로 판단된다. 유기물 멀칭재 처리는 일년생식물의 발 생은 억제하고, 지중식물 및 반지중식물의 생육에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었다. 멀칭재의 무게보다 재료에 의한 빛 차단 면적이 잡초를 억제하는 주된 요인이었다. 본 연구 결과는 국립수목원 전시원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을 활용한 친환경적 관리 방안 수립 에 활용될 것이며, 향후 잡초의 발생 시기에 따른 멀칭 시기 및 유기물 멀칭재의 유지 관리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먹노린재 합성집합페로몬 후보물질 12종에 대한 유인력을 평가하였다. 페로몬 방출기는 4구 후각계 (Olfacomter)를 사용하였고 4개의 진공관에 각각 후보물질을 투입 후 진공 유압 방식으로 방출하여 포집기에 유인되는 먹노린재의 개채수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검정하였다. 4구 후각계 페로몬 평가 방법은 기존 Y-관 후각 계의 문제점인 양방향 선택성과 공간 한정성을 개선하여 평가의 정확성을 향상시켰다. 유인력 평가 결과 12종의 유인제 후보물질 중 Trans-2-Decenal이 먹노린재 실험개체에 대하여 100% 유인력을 보였다. 또한, 선별된 Trans-2-Decenal의 먹노린재 유인력에 대한 유효농도 시험을 진행 한 결과, 50%의 농도에서 유인력이 가장 높았 다. 본 연구를 통해서 선별된 Trans-2 Decenal은 기존의 노린재과에 대한 페로몬 트랩에 비해 먹노린재에 대한 유인 효과가 높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이에 따라, Trans-2 Decenal을 기반으로 한 페로몬 트랩이 상용화된다면 추후의 먹노린재 방제 효과가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자생식물은 관상용, 약용, 식량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닌 고유 유전자원이다. 돌부추(Allium koreanum H.J. Choi & B.U. Oh)는 우리나라 해안 암반지대에 분포하는 자생식물 중 하나로, 기후변화와 서식지 감 소로 인해 보전 가치가 높은 식물이다. 이번 연구는 온도와 과산화수소가 돌부추의 발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종자를 무처리(대조군) 또는 1% 과산화수소(H2O2)로 90분간 처리한 종자를 준비해 15, 20, 25°C 로 설정된 식물 생장 챔버에 배치하였다. 그 결과, 파종 23일 후 15°C에서 42%인 발아율이 20°C와 25°C에서 각각 18%와 0%인 발아율보다 2배 이상 높았으며, H2O2 처리 여부와 관계없이 15°C에서 발아율이 42%로 가장 높았다. H2O2 처리와 관계없이 최종 발아율 50%(T50)에 도달하는 일수는 20°C에서 가장 짧았지만, 일평균 발아율(MDG)은 15°C에서 가장 높았다. 따라서 1%의 H2O2 처리는 돌부추의 발아율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15°C의 온도가 돌부추의 발아율을 높이는 데 최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 결과는 돌부추의 발아를 위한 기초 연구 자료로 활 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먹노린재의 방제시기 설정을 위하여 서식지 내 발생 양상을 조사하였다. 전라남도를 중심으로 돌발 대량 발생 한 먹노린재의 발생 조사는 2023년도 벼의 모내기가 완료된 시점부터 전남 곡성군 석곡면과 여수시 화양면 일대 의 친환경단지에서 주 1회 실시하였으며, 벼의 수확이 완료되는 시점까지 진행될 예정이다. 금년도 발생 조사 결과는 지난 2021년도 결과와 비교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현제까지의 결과, 여수시의 친환경단지 내 먹노린재 의 발생은 모내기가 완료된 이 후 2주 경과 시점에서 발견되었으며, 곡성군은 4주 경과 시점에서 발견되었고, 발생 최고점은 여수시의 경우 모내기 후 6주 경과 시점으로, 곡성군의 경우 5주 경과 시점으로 나타났다. 먹노린재 의 대발생이 지속되던 2021년도의 결과와 비교하였을 때, 2023년도 결과도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먹노린재 친환경제재 살포 시기는 모내기 후 2주 경과 시점이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2차 방제 시점에 대해서 는 추가 조사를 통해서 제안하고자 한다.
Among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applications in education, Project-based Learning (PBL) is regarded as an effective intervention in the area of science and technology education. In this article, we present PBL classroom experiments using robot-oriented concepts to motivate students' interests describing what they do in PBL classes, how they create their ideas and products, and how their attitudes toward robot use have change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serve egg and larvae morphological development of carp to obtain basic data for resource conservation and taxonomic research. Brood carp used in the research (total length 67.3-75.5 cm, average 71.0±3.45 cm) were bred in a circular rearing aquarium (600×300×100 cm) using a running water system from January to July, 2015. Breeding water temperature was maintained at 23.0-25.0℃(average 24.0℃). Fertilized carp eggs were translucent and globular, and their size was 1.75-1.89 mm (average 1.82±0.06 mm). Blastoderms formed 10 min after fertilization and reached the two-cell stage 30 min after fertilization. Then, the embryo turned dark and exhibited melanophores, and blood started flowing from the heart across the egg yolk at 42 hrs and 50 min after fertilization. Hatching began 70 hrs and 26 min after fertilization larvae emerged through the egg membrane, starting from the head. The length of prelarvae immediately after hatching was 5.23-5.38 mm (average 5.31±0.11 mm) the mouth and anus were closed, and the pectoral fin was formed. Postlarvae at 18 days after hatching had a total length of 11.9-13.9 mm (average 12.9±1.40 mm), separate anal fin and back membranes, and fin ray. Juveniles fish at 35 days after hatching had a total length of 29.9-30.2 mm (average 30.1±0.13 mm), with the body covered with scales, and the same number of fin rays, color, and shape as their broodstork.
Background : Cordyceps militaris has been an wonder drug to anti-aging efficacy and called the three main drugs with ginseng and deer antler from the past. Cordycepin, cordycepic acid (d-mannitol) and adenosine are known as functional ingredients in Cordyceps militaris. Among them, cordycepin, the representative component, has been reported as antimicrobial substance containing immune enhancement, anti-cancer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Methods and Results : After Cordyceps militaris produced from different types of medium mixed with 10-fold volume of purified water, the mixture were extracted at 70±5℃ for a hour and that extracts re-extracted using ultrasonics wave for 30 minutes. Qualitative analysis of the index component was determined by using the Q-TOF (A quadrupole time-of-flight mass spectrometer), and quantitative analysis was performed by using HPLC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ith Xselect HSS T3 column (2.1 X 100 mm, 2.5㎛, Waters, USA) and ultrapure water and acetonitrile as mobile phase A and B. Detection column temperature, injection volume and the flow rate were 35℃, 2 μL and 0.3 mL / minute respectively. The cordycepin content of Cordyceps militaris produced from medium mixed with vegetable and animal ingredients higher than single ingredient. Moreover, through a variety of analyzes by varying the type and content of the medium additives, the cordycepin in Cordyceps militaris produced from medium mixed with animal ingredients highest. Furthermore, the cordycepin content of a fruit body was higher than those of the a mycelium. Conclusion : These results provide a method for producing an high cordycepin content of Cordyceps militaris as functional food ingredient.
“Ilyeop” (Perilla frutescens (L.) Britton), a new cultivar for leaf vegetable, was developed from a cross between Ipdeulkkae1 and YCPL187 at the National Yeongnam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 RDA, in 2001. For the cultivation of leaf vegetable perilla, the plants are grown with a spacing of 10 × 5 cm between rows and plants and all branches are removed to harvest uniform leaves from main stem, indicating that the amount of the next harvesting leaf is a important characteristic for the growth of the plant. “Ilyeop” grows vigorously and yields high quality leaf with higher amount of the next harvesting leaves composed with a check cultivar, “Ipdeulkkae1”. “Ilyeop” has five days of earlier seed maturity (Oct. 24) than that of “Ipdeulkkae1” under natural condition, less chance of frost damage is expected. The flowering date of “Ilyeop” is same with that of “Ipdeulkkae1” in winter cultivation with night break treatment.
Foehn damage on rice plant is one of the important abiotic stresses in eastern costal area of Korea. To know the relationship between foehn impact and morphological traits of rice, wind tunnel method was used with 106 rice cultivars. Less influencing traits on foehn were short panicle, large panicle number per hill, thin panicle neck, and the flag leaf of narrow, short and thick. Leaf pubescence reduced the impact on foehn. 'Naepungbyeo' belong-ed to foehn tolerant varietal group, while 'Ansanbyeo' belonged to the opposite group. Three levels of root cutting treatment with two rice cultivars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foehn impact using wind tunnel. The severity of wind damages was followed the sigmoidal curve duration of wind tunnel treatment were prolonged. Different responses of root cutting to wind tunnel treatment could be used to evaluate the severity of the foehn impact. 'Naepungbyeo' was one of the less implausible cultivars on foehn. 'Nae-pungbyeo' showed tolerant response to wind under 21% root removing treat-ment (20㎝ root cutting), however 'Ansanbyeo' was wilted under the same treatment. In case of 35 % root removing treatment(10㎝ root cutting), both rice cultivars failed to alive against foehn wind.
Two rice varieties, 'Oochikara' with large grain and 'Hwayeongbyeo' and their progenies (F1 , F2 , B1 and B2 ) were tested to understand gene action of morphological traits of rice grain and their relationships. The evaluated traits were 1,000-grain weight, grain length, width, thickness, length-width ratio and chalkiness of brown rice. Correlation between grain weight and chalkiness was highly significant in the all progenies, and grain length were not associated with width and thickness in an F2 population. Scaling test and jonit scaling test revealed that inheritance of grain traits were fitted to additive-dominance model without epistasis. Additive effects for the traits were much greater than the dominance eff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