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7

        4.
        202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EC 60079-10-1 edition 2.0, the global standard for hazardous area classification, was newly revised in 2015. There are many differences compared to the previous edition 1.0 version, first released in 2008, so it has caused confusion in the industry. In case of edition 1.0, the hazardous area extent can be derived through the mathematical formula, but in case of edition 2.0, there was the problem that the exact hazardous area extent was not known because of the mathematical formula of the plot for applying the hazardous area extent was not presented. In this study, we converted the plot introduced in edition 2.0 to CAD format and derived the plot as the mathematical equations. Through this, we suggest the hazardous area extent formula of three states (heavy gas, diffusive, jet). As the IEC committee did not provide the mathematical formula of the hazardous area extent according to the release characteristic, it is impossible to apply the exact hazardous area extent. In this study, a mathematical approach was derived for the plot introduced in edition 2.0, which can reduce the confusion of the applying hazardous area extent.
        4,200원
        7.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한국 서남부 농업생태계는 다양한 크기로 분산되어 있는 산림지대가 경작지 사이에 분포되어 있는 형태를 가지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농업생태계 산림지대에 분포하는 나방 군집과 산림지대에 분포하는 나방 군집을 비교하여 파편화된 농촌 지역 나방 다양성은 산림지대보다 낮지만 생물 이동에 따른 베타 다양성은 더 높을 것으로 예상하였다. 이 연구에 이용한 나방은 종 다양성과 분류학적 정보가 풍부하며, 자외선등을 이용한 정량적 채집이 가능한 분류군이다. 또한 환경변화를 나타내는 지표그룹으로 활발히 이용되고 있으며 기주 특이성이 있어 서식지에 따른 종 구성 차이가 있기 때문에 서식지 유형에 따른 종 구성을 파악하기 적합하다고 여겨진다. 2018년 5월부터 10월까지 한국 서남부 지역인 전라남도 나주시, 무안군, 해남군 등지의 산림과 농촌경관내 산림지역에서 UV등 트랩을 사용하여 나방을 채집하였다. 조사는 농경산림지대와 자연산림지대를 선정한 뒤 나방을 채집하였으며 각 지점별 산림 특성에 따라 다양성 양상을 비교 분석 하였다. 이 연구결과를 토대로 같은 지역에 위치한 나방군집이 경관구조의 이질성에 따라 어떠한 양상을 보이는지 알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8.
        201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말에서 주요 경제형질인 운동과 관련된 연구는 중요하지만, 현재까지의 연구는 물리학적, 생리학적 연구에 치중되어 있어 분자수준의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통하여 경주마에서 RNA-sequencing을 수행하여 운동 전·후 alternative transcript 이형에 따라 발현 양상이 상이한 유전자(DYNC1LI2, COBLL1, AXL, PLEKHG1)를 발굴하였다. 이 중, DYNC1LI2 유전자를 선택하여 분자생물학적 분석 및 운동성과의 관계에 대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DYNC1LI2 유전자의 2가지 전사 이형은 긴 형태의 전사체(DYNC1LI2a)와 결손이 일어나 상대적으로 짧아진 전사체(DYNC1LI2b)의 형태로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두 가지 전사 이형 모두가 말의 각 조직(갑상선, 결장, 골격근, 맹장, 심장, 신장, 척수, 폐)에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운동 전과 운동 후 발현량 분석을 통해 두 가지 전사 이형이 동일하게 운동에 따라 발현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추가적으로 두 가지 전사 이형의 아미노산 비교 분석 결과, 엑손영역에 결손이 일어나는 부분은 단백질의 인산화 및 당질화와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DYNC1LI2a가 DYNC1LI2b에 비해 더욱 단백질의 안정화 작용을 하는 것을 의미하며, DYNC1LI2 유전자가 운동에 따라 발현이 달라짐에 따라 차후 말에서 운동관련 연구에 대한 기반 자료로써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4,000원
        9.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Nucleopolyhedrovirus (NPV), which belongs to Baculoviridae, is a rod-shaped, double-stranded circular DNA virus which infects arthropods, mostly insects. NPVs are highly species-specific, and make unique crystalline polyhedral structure made of polyhedrin protein. The NPVs do not replicate in mammalian cells, are safe to human, and can be observed the viral replication with conventional compound microscope, plus the availability of susceptible insect cell lines, therefore, the NPVs became an ideal model system to study basic virology. Also, NPVs became popular because of its applications for baculovirus expression vector system (BEVS). A foreign gene will be cloned into a shuttle vector, and introduced to the NPV chromosome to make recombinant virus. This NPV will produce the protein in culture cells or host insects under the control of the strong polyhedrin promoter. So far, the commercially available BEVS has been widely used because of its high efficiency and eukaryotic characteristics, however, the hidden bottleneck is finding new useful genes which will maximize the capability of BEVS. Since the human genome project, next generation sequencing technique (NGS) is getting useful in life science field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sequence analysis algorithms and increase of computational power. Especially, RNA-seq and de novo sequence assembly technics make discovery of new genes easier even in a non-model species with a proteomics approach, and these useful tools will be the key to catalyze the insect biotechnology.
        10.
        201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노화란 시간경과에 따라 생체기능의 불가역적인 저하로 치매, 뇌혈관질환, 고혈압, 암 등과 같은 노화관련 질병이 생겨나며, 세포들이 생명력을 잃어가는 일련의 현상이다. 노화로 인한 대표적인 질병은 퇴행성 뇌 질환에 의한 알츠하이머, 치매와 파킨슨병이 있다. 이 병들은 초기의 변화가 두드러지지 않아 조기 진단이 어렵고, 질병의 진행을 막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를 해결할 방법으로 유전자 지표를 개발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라 할 수 있는데, 본 연구는 노화 동물모델인 SAMP1 마우스를 대조군인 SAMR1 마우스를 비교하여 노화의 초기단계에 차등 발현하는 유전자를 확인하여 향후 노화와 연관 지표를 발굴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먼저, 성장단계인 8주령과 노화초기진행단계인 26주령의 뇌 조직에서의 차등발현 유전자를 발굴하고자 cDNA chip 분석을 수행하였고, 신뢰성을 가지고 생물학적 변이를 검출할 수 있는 유전자는 13,939개의 유전자를 발굴하였다. 이들 중 발현이 2-fold 이상 증감하는 유전자들을 조사한 결과, 2,029개의 유전자를 선별할 수 있었다. 또한, 기능별로 분류한 결과 노화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총 증가 혹은 감소한 유전자의 개수는 660개였으며, 이 중 노화와 연관성이 높은 유전자는 74개였다. 26주령에 증가양상을 보인 것이 46개, 감소양상을 보인 유전자가 28개로 밝혀졌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노화와 관련된 유용한 유전자인 Wnt7a, Prkcb, Dgke가 선별되어 real-time qPCR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Wnt7a 유전자는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발현양이 급격히 감소하여 노화 초기 단계의 지표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반면에 Prkcb 유전자는 성장단계의 발현량에는 관계없이 노화초기단계에서 억제됨을 확인하였고, Dgke는 성장단계부터 유전자 발현이 억제되어 노화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4,600원
        11.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700원
        12.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100원
        13.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s English teacher-learners' perceptions of secondary English teacher roles. Seventy English teacher-learners' responses to a teacher role questionnaire and focus group interviews are analyzed to find out the teacher-learners' perception of the teacher roles in classroom teaching, around school, and outside school in the professional communities. The analysis shows that the teacher-learners perceive their future teacher roles as communication facilitating, and at the same time knowledge transmitting. The teacher-learners seek teacher roles of much control over the classroom, be it communication pursuing or knowledge transmitting, believing in teacher authority and being self-conscious over their English proficiency. In addition, the teacher-learners reveal keen interest in roles in the professional field beyond the confines of school. The study stresses as its conclusion that while positively influenced by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CLT) principles. The teacher-learners have notable reservations about the student-centered English classroom. Suggestions are made in the areas of secondary English education including teacher support systems, and English teacher education.
        6,300원
        15.
        200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Quinoline insoluble formed by the heat treatment was hot-pressed near its softening point. The green body was stabilized in the temperature range of 300~400℃ and subsequently carbonized below 1300℃ in an argon atmosphere. The behaviors of QI formation was examined with varying the heat treatment temperature and the lapse of time of the sample carbonized at various temperatures. And the mechanical property, corrosion resistance, and friction behavior were also measured optimum content of mesophase pitch ensured a dense structure and high LC(002) value, which resulted in high mechanical properties, good corrosion resistance, and low-stable friction behavior.
        4,000원
        16.
        2000.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800원
        17.
        2016.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realize a robot hand interacting like a human hand, there are many tactile sensors sensing normal force, shear force, torque, shape, roughness and temperature. This sensing signal is essential to manipulate object accurately with robot hand. In particular, slip sensors make manipulation more accurate and breakless to object. Up to now several slip sensors were developed and applied to robot hand. Many of them used complicate algorithm and signal processing with vibration data. In this paper, we developed novel principle slip sensor using separation layer. These two layers are moved from each other when slip occur. Developed sensor can sense slip signal by measuring this relative displacement between two layers. Also our principle makes slip signal decoupled from normal force and shear force without other sensors. The sensor was fabricated using the NBR(acrylo-nitrile butadiene rubber) and the Ecoflex as substrate and a paper as dielectric. To verify our sensor, slip experiment and normal force decoupling test were condu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