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

        1.
        201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the structural analysis was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lumber support. For the optimal design of the automotive lumber support, It was examined which one was most stable among three models A, B, and C. As the result of structural analysis, all three models showed the greatest deformations at the wire portion of the lumber support, and model A showed less equivalent stress and deformation compared with models B and C. As model A showed the lowest equivalent stress and deformation among all models, model A was shown to be the model with the excellent strength. This analysis established the stable design by comparing models A, B and C. Also, It is thought that this study result can be highly utilized at the seat design of real automobile.
        4,000원
        2.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관광지 및 공공공간에서의 사인 시스템은 대상지에서의 즉각적이고 명확한 정보 안내는 물론 현장에서의 다양한 이용자 계층을 고려한다는 측면에서 여전히 중요한 과제로 남아 있다. 본 연구는 대표적 한국전통문화 관광지의 하나인 한국민속촌을 대상으로 정체성, 통일성, 가독성, 내구성, 위치의 적합성 등 5가지 조성원칙에 입각하여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사인시스템에 대한 문헌분석, 한국민속촌 사인시스템의 현황조사와 더불어 실제 이용자 150명을 대상으로 현장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각각의 조성원칙이 전반적인 사인 이용 만족도와 어떤 상관성을 갖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정체성, 통일성, 가독성, 내구성, 위치의 적합성 등 사인시스템의 5가지 주요 원칙들과 사인의 이용만족도와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Pearson 상관계수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한국민속촌의 경우 통일성과 가독성이 사인의 이용만족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내구성과 위치의 적합성은 사인의 이용만족도와 낮은 상관성을 보였다. 5개의 주요 요소들간에는 정체성과 통일성이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통일성과 가독성, 정체성과 위치의 적합성도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4,000원
        3.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valuate Seoullo 7017 based on Universal Design (UD) principles and guidelines. To derive UD principles applicable to the site context, we used the 2017 Seoul Universal Design Guideline and assessment index provided by the Universal Design Research Center and established 11 evaluation criteria. With respect to research methods, a literature review and on-site field survey were applied, through which we derived UD principles and evaluation criteria to identify UD problems. The 11 evaluation criteria consist of pedestrian space, facilities, access, main entrance, parking lots, trails, restrooms, convenience facilities, information facilities, rest areas, and playgrounds, and these were associated with UD principles for evaluation. As a result, the main entrance had the highest UD score, while parking lots had the lowest in terms of equity, safety, simplicity, and accessibility. Restrooms received a lower UD score because of poor conditions of security and alert systems. Rest areas were found to be uncomfortable for disabled people. With respect to the internal trails, we found the lack of braille block and irregular placement of planting pots made blind people uncomfortable when walking. In terms of UD principles, flexibility received the highest score, followed by amenity, equity, simplicity, tolerance, accessibility, and safety. Flexibility received the highest score, owing to the provision of proper information about convenience facilities and trails, while safety received the lowest, based on poor access to parking lots, inadequate paving materials and colors, and a lack of 24-hour security systems. We hope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improving the universal design, so that people are not discriminated against in the use of the park in terms of age, sex, or physical disability. We expect the study to help facilitate empirical studies to verify UD principles and provide improved quality of UD for Seoullo 7017.
        4,000원
        4.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umulative effects are defined as the joint and aggregated effects of many factors and processes. Their consideration in landscape and environmental assessments are integral at both the project and strategic level, and they can help to bridge the different spatial and temporal scales. The primary challenge of conducting cumulative effect assessments (CEAs) is the difficulty in understanding the complicated nature of cumulative effects. We used three criteria for a systematic understanding of the barriers to addressing cumulative effects that are critical for improving knowledge system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environmental assessment: salience, credibility, and legitimacy, and analyzed three cases through a variety of studies and resources: the Middle Humber in the U.K., the Transboundary Crown of the Continent in the U.S. and Canada, and the Great Sandhills in Canada, to understand how CEAs have been applied and obstructed in terms of the three criteria. In addition, a series of focus group interviews with experts and practitioners were performed to illuminate the critical barriers based on the criteria for addressing CEA in the context of South Korea. Based on the lessons, we suggest several key strategies such as securing a cooperative consulting process, and active and transparent partnerships; using a strategic environmental assessment as a framework; understanding and incorporating stakeholder knowledge; using advanced computer modeling and simulation techniques including effective visualization tools; and preparing a simple model design and understandable scientific information.
        4,300원
        5.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work is to identify key factors that determine the spatial and physical appearance of urban agriculture, and to discuss ways to encourage its acceptance in public open spaces and the wider context of urban landscape. Because perceptions of urban agriculture are historically related to poverty and wartime, agricultural initiatives in the public realm are often considered visually disturbing, unkempt, and inconvenient. Depending on the context, typology, and scale, several obstacles to successful urban agriculture can be addressed; these include resource pollution, the lack of community involvement, and access to land. In an urban context, agricultural projects are often criticized for their lack of appropriate aesthetic values. By exploring theoretical assumptions through a review of the literature on visual landscape quality assessment, this study analyzes three international cases of urban agriculture in different physical and social contexts. After analyzing the relevant theories and cases, we have identified general principles that lead to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urban agriculture. We conclude that aesthetic values can be most successfully expressed in urban agriculture by identifying and efficiently implementing an approach that combines context, design, materiality, plant selection, and functionality. This study will help to promote resilient and sustainable urban landscapes that help to meet the demand for fresh food and healthy lifestyles, while making a positive contribution in the areas of environmental pollution, energy consumption, waste management, labor shortage, social exclusion, community participation, and rapidly expanding urbanization.
        4,000원
        6.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농촌사회의 소득수준 및 생활수준 향상과 더불어 농촌 공공공간 및 시설향상에 대한 요구는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으며 이에따라 정부도 최근 다양한 방식의 농촌개발과 예산지원을 추진해오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농촌 공공공간 및 시설의 지원 시 시설의 종류 및 입지 선정이 적절하지 않아 시설의 중복투자, 이용부족으로 인한 시설방치 등 다양한 문제점들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농촌마을에 분포하고 있는 다양한 공공공간 및 시설의 분포를 분석하고 이들에 대한 농촌마을의 유형별 중요도를 이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주요 연구방법으로는 100명을 대상으로 한 전문가 설문과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를 이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세 개의 농촌마을 유형 즉 거점면, 권역, 마을단위의 유형별로 주요 공공시설들간의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하였다. 50개 마을을 분석한 결과 농촌마을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발견되는 공공시설은 마을회관, 쉼터, 체험센터, 마을진입부, 안내시설로 나타났다. AHP는 세 단계의 비교로 이루어졌는데 첫 번째 마을유형별간의 쌍대비교에서는 거점면, 권역, 마을 순으로 중요도가 나타났다. 농촌 공공공간과 마을유형간의 쌍대비교에서는 모든 마을유형에서 기초생활시설, 문화 복지시설, 농촌관광시설, 소득시설의 순으로 중요도가 나타났다. 마을유형과 공공공간, 공공시설 등 각각의 가중치를 종 합한 중요도에서는 거점면의 경우 공동주차장의 중요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상수도시설, 공동화장실, 마을회관 순으로 나타났다. 권역에서는 공동주차장의 중요성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상수도시설, 체험센터, 마을회관 의 순으로 나타났다. 마을단위에서는 버스정류장이 가장 중요한 시설로 평가되었으며 다음으로 저수지, 하수처리장, 체 험센터의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비록 마을의 독특한 사회문화적 환경을 고려한 공공시설의 중요도 평가에는 한계를 안고 있으나 농촌마을에서의 공공시설 계획 시 마을유형의 특성을 고려한 시설의 상대적 중요도를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 로 적절한 시설을 선정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7.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산업화 시대 이후 공간설계에 있어서 생태적 접근은 지속적으로 주목 받아왔다. 옥외환경디자인의 영역, 특히 조경설 계에 있어서 생태적 설계는 크게 두 가지의 흐름으로 나뉜다고 볼 수 있다. 첫째는 기술적인 측면의 생태설계로서 설계 행위를 통하여 환경의 생태적 건강성을 향상시키는데 집중하는 것을 강조하는 분야이며 둘째는 생태적인 공간을 사회문 화적으로 이해하고 어떻게 대중에게 그 공간의 생태적 가치를 설계라는 매개를 통해 전달할 것인가를 고민하는 분야이 다. 본 연구에서는 후자의 관점에서 조경설계가 공간의 어떤 주제를 어떠한 방법으로 다룰 때 생태적 의미가 더 효과적 으로 전달될 것인가에 대한 고찰을 하였다. 따라서 생태적 조경설계의 여섯 가지 대상을 요약 및 분석하고 그에 따른 설계언어 여섯 가지를 제안하여 논증하였다. 설계주제로는 생태적 기능, 경관의 일시성, 역사성, 시각적 흥미, 안전성, 접근성을 요약하였고 설계언어는 구체적으로 설명, 상징, 대비, 틀, 다양화, 그리고 거리두기를 제안하고 논의하였다. 본 연구의 의미는 산재되어 있는 설계언어를 종합하여 구체적이고 실질적으로 어떻게 생태설계에 응용될 수 있는가에 대하여 제안하고 각 설계언어에 대한 실증적 연구에 기초를 마련하는 데 기여하는 것이다.
        4,200원
        8.
        2020.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s about a design method for deriving task safety scenarios for the application of collaborative robots. A five-step process for deriving task safety scenarios for collaborative robots has been proposed, which focuses on the type of collaboration between human and collaborative robot. The three types of collaboration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ollaboration workspace and the worktime of human and collaborative robot. Based on these three types of collaboration, task safety scenarios include scenarios that predict risk from unintended use during work. Collaboration with collaborative robot is a human-centered process because human actions can create dangerous situations. Besides, we improved the understanding of this design methodology by presenting examples of the application of task safety scenarios according to the process for each type of collaboration.
        9.
        2006.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ology for classfying types of lower limb disability and their mechanical structure, based on extensive survey of previous developments. We also propose a task-oriented design with human-friendly and energy-efficient assistive system. The result can be used for optimal design of wearable walking-assistive robot donsidering the type of disability and the content of tas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