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

        1.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배추에 발생하는 파밤나방에 대하여 멀티콥터를 이용한 무인항공용 방제약제의 약효 및 약해를 조사하였다. 약해는 배추와 7개 주변작물에 대하여 시험대상 약제를 기준량과 배량으로 처리하여 살충 효과를 조사하였다. 배추 포장에 스피네토람 액상수화제(16배)와 메톡시페노자이드,설폭사플로르 액상수화제(16배)를 살포하였고, 감수지를 이용하여 살포 약제의 낙하입자를 측정하고 피복도를 조사하였다. 두 가지 약제 모두 배추의 파밤나방에 대하여 97% 이상의 우수한 살충 효과를 보였다. 기준량 및 배량에서 배추와 7개 주변작물에 약해가 발생하지 않았다. 낙하입자 분석결과 바람 세기의 차이에 따라 낙하입자의 균일도가 다른 양상을 보였다.
        4,000원
        3.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미국선녀벌레[Metcalfa pruinosa (Say, 1830)]는 북미 원산 해충으로 2009년 3개 시군에서 공식적으로 확인된 후, 2016년 60개 시군으로 급격히 분포지역이 확대된 침입 해충이다. 이들은 기주범위가 넓고, 산림지 방제의 어려움 등으로 발생밀도가 증가하여 단감원을 비롯한 농작물 재배지에 큰 피해를 주고 있다. 단감 포장에서 미국선녀벌레의 발생 시기와 밀도 및 분포를 조사하기 위해 포장내 30개 지점에 끈끈이트랩을 설치하였고, 유입 및 유출 패턴을 조사하기 위해 포장주위에 약 15~20m 간격으로 끈끈이트랩을 설치하여 10일 간격으로 조사하였다. 단감포장 내에서 5월 중순부터 약충이, 7월부터 성충이 발생하였으며 성충의 발생 최성기는 8월 중순이었다. 유출입 패턴은 5월 하순에 유입이 가장 많았고, 8월 중순이후 성충의 유출이 관찰되었고, 포장내로 산란을 위해 유입되는 개체도 관찰할 수 있었다.
        4.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 시설 오이재배지에서 총채벌레류 방제를 위해 황색 끈끈이트랩을 이용한 밀도 조사 및 생물검정을 통해 효율적 약제를 선발하였다. 총채벌레류 밀도 조사는 천안시 병천면 오이 시설재배지에서 2018년 4월 01일부터 8월 14일까지 약 3개월간 실시하였고, 그 결과 오이에 발생하는 총채벌레류는 꽃노랑총채벌레 (Frankliniella occidentalis), 대만총채벌레 (F. intonsa), 오이총채벌레 (Thrips palmi), 파총채벌레 (T. tabaci), 볼록총채벌레 (Scirtothrips dorsalis), 좀머리총채벌레 (Microcephalothrips abdominalis), 미나리총채벌레 (T. nigropilosus) 등 총 7종이었고, 가장 많은 발생량을 보인 종은 꽃노랑총채벌레로 나타났다. 꽃노랑총채벌레의 약제저항성 발달을 알아보기 위해 10종 약제에 대하여 판별농도 (discriminating concentration; DC), 추천농도 (recommended concentration; RC), 배량농도 (2×recommended concentration; 2×RC)를 설정하고 엽침지법을 이용하여 지역계통별 생물검정을 실시하였다. 생물검정 결과 emamectin benzoate EC (RC, 10.8 μL L-1), chlorfenapyr EC (RC, 50.0 μL L-1), spinetoram SC (RC, 25.0 mg L-1), spinosad SC (RC, 50.0 mg L-1)는 추천농도에서 90% 이상의 살충활성을 보였으나, cyantraniliprole EC (RC, 50.0 μL L-1)과 neonicotinoid계통 4종 약제는 추천농도에서 모든 지역계통의 살충활성이 80% 미만이었고, cyantraniliprole EC는 배량농도에서 95% 이상의 살충활성을 보인 반면 neonicotinoid계통은 배량농도에서 다양한 살충활성을 보였다.
        4,000원
        5.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시설 오이에 발생하여 피해를 주고 있는 총채벌레류의 효율적 방제를 위해 국내 5지역 꽃노랑총채벌레를 대상으로 10종 약제에 대하여 생물검정을 실시하였다. Emamectin benzoate EC, Chlorfenapyr EC, Spinetoram SC, Spinosad SC은 추천농도에서 90% 이상의 살충활성을 보였다. Cyantraniliprole EC의 추천농도 살충활성이 가장 높은 지역은 장성(79.0%)이었고, 배량농도에서는 모든 지역계통에서 95%이상의 살충활성을 보였다. Neonicotinoid계의 Acetamiprid WP는 지역계통별 추천농도에서 살충활성이 최대 40%(창녕)이었고, 배량농도에서는 최대 81.7%(상주)였다. Dinotefuran WG의 지역계통별 추천농도 최대 살충활성은 80%(평택)이었고, 배량농도에서는 장성계통만 100%의 살충활성을 보인 반면, 나머지 지역계통에서는 85% 이하의 값을 보였다. Thiacloprid SC는 지역계통별 추천농도 살충활성이 최대 59.3%(창녕)이었고, 배량농도에서는 상주와 창녕계통에서 만 90%이상의 살충활성을 보였으며, 평택, 안성, 장성계통에서는 각각 75.0%, 81.7%, 24.2%의 값을 보였다. Thiamethoxam SC의 지역계통별 추천농도 최대 살충활성은 75.6%(상주)였고, 배량농도에서는 안성, 상주, 창녕계통에서 90% 이상의 살충활성을 보였고, 평택, 장성계통에서는 각각 78.3%, 26.5%의 값을 보였다. 본 실험에서 꽃노랑총채벌레는 Emamectin benzoate EC, Chlorfenapyr EC, Spinetoram SC, Spinosad SC에서 높은 감수성을 보인반면 Cyantraniliprole EC과 Neonicotinoid계 5종 약제에 대하여는 저항성이 발달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6.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멀티콥터(드론)을 이용한 약제 살포 효과 분석을 위해 배추의 파밤나방을 대상으로 살충제의 조건별 살포 실시 후 약효·약해를 조사하였다. 고정조건은 2M, 5M 고도 조건, 풍속 2m/s 이하이며, 오전 7~8시 경 파밤나방 1~2령을 대상으로 살충제 스피네토람 액상수화제를 기준량인 16배(1,250ml/20L)와 배량 8배(2,500ml/20L) 및 반량 32배(625ml/20L)를 살포한 결과 24시간 후 파밤나방 유충 100%가 사망하였다. 배추 잎에 외관상 나타나는 약해는 없었다.
        7.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미국선녀벌레[Metcalfa pruinosa (Say, 1830)]는 북미 원산 해충으로 2009년 3개 시군에서 공식적으로 확인된 후, 2016년 60개 시군으로 급격히 분포지역이 확대된 침입 해충이다. 기주식물의 범위가 매우 넓고, 산림지역 방제의 어려움 등으로 발생밀도가 급격하게 증가하여 농작물 재배지에서 큰 피해를 주고 있다. 단감 포장내 30개 지점에 끈끈이트랩을 설치하여 시기별 발생 밀도와 포장주위에 약 15~20m 간격으로 끈끈이트랩을 설치하여 침입 및 이동을 조사하였다. 단감포장내에서 5월 중순부터 미국선녀벌레 약충이 발생하였고, 7월부터 성충이 발생하였으며 성충의 발생 최성기는 8월 중순이었다. 포장으로의 침입은 5월 하순에 가장 높았고, 8월 중순이후로는 포장에서 외부로 성충의 이동을 관찰할 수 있다.
        8.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이동성 해충인 벼 멸구류를 조사하기 위해 우리나라를 포함한 아시아지역 12개국 13기관에서 농촌진흥청 아시아식량작물협력협의체(AFACI)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아시아지역 이동성 병해충 국제협력 네트워크 구축”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벼 멸구류 및 거미류 의 포장 발생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2016년부터 2018년까지 경남 밀양, 전남 신안, 전북 완주지역의 무농약 논포장에서 6월말부터 9월말까지 점착트랩을 이용한 타락법으로 멸구류 발생 상황을 조사하였다. 2018년도에 애멸구는 7월 중순 이후에 밀도가 높아졌고, 흰등멸구는 신안지역에서 8월 이후에 밀도가 증가하기 시작하였다. 벼멸구는 모두 지역에서 발견되지 않았다. 거미류는 모든 지역에서 후반기로 갈수록 개체수가 증가하고, 9월 초순에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9.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진딧물류의 기생성 천적인 쌍꼬리진디벌(Binozys communis)의 진딧물 밀도억제을 조사하기 위해 천적:진딧물을 1:15, 1:10, 1:5의 비율로 접종한 결과, 1:10으로 접종 시 5일차에 첫 머미가 발생하고, 진딧물의 총 개체수도 감소하기 시작하여 8일차부터 진딧물보다 머미의 수가 많아졌다. 쌍꼬리진디벌의 온도별 발육기간은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알에서 머미까지의 발육기간은 짧아지며 20℃에서는 15.7, 25℃에서는 11.1일, 30℃에서는 10.0일이었고, 암컷 성충의 생육기간은 20℃에서는 3.1일, 25℃에서는 2.5일, 30℃에서는 1.5일이었다.
        10.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or our survey of insecticidal resistance of Palm thrips (Thrips palmi Karny), we established the discriminating time (DT) and concentration (DC) of nine insecticides, and we conducted a bioassay about seven local populations via leaf-dipping methods. The discriminating times of the recommended concentration (RC) were 24 h at emamectin benzoate EC and spinetoram SC, 48 h at chlorfenapyr EC, 72 h at spinosad SC, cyantraniliprole EC, acetamiprid WP, dinotefuran WG, imidacloprid WP and thiacloprid SC after treatment. The DC estimated the concentration which showed the difference within the mortalities of these local populations. The DCs were emamectin benzoate EC 0.013 mg L-1 (RC, 10.8 mg L-1), spinetoram SC 0.125 mg L-1 (RC, 25.0 mg L-1), chlorfenapyr EC 0.25 mg L-1 (RC, 50.0 mg L-1), spinosad SC 0.083 mg L-1 (RC, 50.0 mg L-1) and cyantraniliprole EC 5.0 mg L-1 (RC, 50.0 mg L-1), and DCs of neonicotinoids were their RCs, that is, acetamiprid WP (RC, 40.0 mg L-1), dinotefuran WG (RC, 20.0 mg L-1), imidacloprid WP (RC, 50.0 mg L-1) and thiacloprid SC (RC, 50.0 mg L-1). From our investigation into the resistance of the local populations with DT and DC application, the neonicotinoid insecticides have shown a high resistant level for all the local populations, and the other insecticides have demonstrated low or non-resistance. In the use of neonicotinoid insecticides to control Palm thrips, one must take caution. As a result, the establishment of DT and DC in the single dose bioassay method was helpful for surveying the insecticide response dynamics and the development of an insecticide resistance management strategy.
        4,000원
        11.
        2017.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order to renovate spirodiclofen contaminated soil through biodegradation, a high-effective spirodiclofen degrading bacterium was isolated from corn cultivated soil in Weifang of Shandong, China using enrichment culture and HPLC method. The strain identification was studied, the best cultivated conditions and pesticides degrading substrate range of the strain was also determined. The spirodiclofen degradation rate of the screened strain WF14-6 was 76.42% after 120 h cultivation, based on morphology and 16S rRNA gene sequence analysis, the strain was identified as Enterobacter sp. The best cultivated temperature and pH of the strain were 30℃and 7.0. After 72 h cultivation, the degradation rate of strain to imidacloprid and acifluorfene was 31.35~41.06%, the degradation rate to bupirimate、diafenthiuron and dimethomorph was 20.81~23.90%.
        12.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발효 새송이버섯 균사체(FPEM)의 사료 내 첨가급여 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산란계(ISA Brown) 16수를 4개 그룹으로 나누어 대조구는 기초사료(C)만 급여하였고, 시험구는 기초사료에 FPEM 1%(T1), 3%(T2) 및 5%(T3)로 하여 8주 동안 사료 내 첨가하였다. FPEM을 산란계의 사료 내 첨가한 결과 1%에서 산란율이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p<0.05), 계란 무게는 FPEM 모든 첨가구에서 대조구와 비교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결과적으로 계란 생산량과 사료섭취량에서 대조구와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서 사료요구율 또한 대조구와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하지만 대체적으로 FPEM 5% 수준인 T3에서 계란 생산량 증가와 사료요구율 감소의 경향을 나타내었다. 계란의 품질의 경우 FPEM 1%에서 난백고와 난각중이 대조구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05), FPEM 5%에서는 계란의 외부 품질인 난각중과 난각두께 모두 대조구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하지만 난황색, 육반과 혈반 그리고 계란의 저장성의 경우에는 처리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난황 내 지방산 조성의 경우 FPEM 첨가에 의해 불포화지방산과 다가 불포화지방산 중 n-3지방산의 비율이 높아졌으며(p<0.05), FPEM 5%는 다른 처리구보다 초기 계분의 가스 발생량을 유의하게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결과적으로 산란계 사료 내 FPEM 5%첨가는 계란 생산과 품질뿐만 아니라, 환경 개선 효과도 있는 것으로 밝혀져 항생제를 대체할 수 있는 산란계 사료 첨가제로 기대된다.
        4,600원
        13.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파와 고추재배지에서 호밀과 헤어리베치를 휴한기에 윤작한 유기재배구와 관행재배구 간의 토양생물상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1. 파와 고추의 상품성 수량은 관행에서 유기재배구 보다 다소 높았는데, 이는 병충해 발생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두 재배구간에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수량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2. 고추 재배지에서는 유기재배구가 관행재배구 보다 토양미생물체량을 10 ~ 40배 전후, 미소동물 군집수와 종다양성을 2배 전후 증가시켰다. 특히 헤어리베치를 윤작한 유기재배구에서 토양미생물체량과 미소동물 수는 더 크게 증가하였다. 3. 파 재배지에서는 관행과 유기재배구 간에 토양 생물상에 별다른 차이는 없었다.
        4,000원
        14.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ggest implications of pest management system for agrarian improvement institute. We analyzed the informations about the pest management by listening to opinion of farmers and researchers including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and it’s affliated organization. In result, They evaluated that the agriculture development institutes very well progressed pest management researches in principle. However, some chronic bottleneck problems still existed such as pesticides resistant pests, lack of effective control methods. For designing proper direction, these problems should be considerated preferent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