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eshwater bivalves contribute to key ecological functions in lake ecosystems, yet their cryptic and benthic lifestyles often hinder detection through conventional surveys. In this study, we applied environmental DNA (eDNA) metabarcoding to assess the diversity and distribution of unionid bivalves in six lakes across Republic of Korea. Water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ree sampling strategies-Center Surface, Center Mix, and Waterside Surface-and processed using 16S rDNA-targeted primers followed by high-throughput sequencing. A total of four unionid species (Cristaria plicata, Sinanodonta lauta, Unio (Nodularia) douglasiae, and Anodonta woodiana) were detected across 18 sampling points. Notably, eDNA successfully identified unionid presence in all lakes, even where conventional surveys failed to observe individuals. Among the sampling strategies, Center Mix exhibited the highest values for Shannon and Simpson indices as well as ASV richness. Waterside Surface samples generally showed lower diversity and detection frequency. A Venn diagram of ASV occurrences revealed three ASVs shared across all sampling strategies and one unique ASV found only in Center Mix.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ampling location significantly affects detection sensitivity and diversity representation in eDNA-based bivalve monitoring. Combined application of Center Mix and Center Surface strategies may enhance both detection efficiency and species diversity coverage in lentic environments.
Phytoplankton play a vital role as primary producers in freshwater ecosystems, contributing to the nutrient cycle, energy flow, and ecological stability. To accurately assess phytoplankton diversity and community composition, this study compared traditional microscopy and environmental DNA (eDNA) metabarcoding in six small lakes located in the Han, Geum, and Nakdong River basins in Korea. eDNA analysis identified 268 species from 161 genera, approximately 2.4 times higher than microscopy, which detected 113 species from 68 genera. The eDNA data were dominated by picocyanobacteria such as Synechococcus and Cyanobium, while microscopy primarily revealed larger taxa, including Stephanodiscus and Scenedesmus. 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 (NMDS) based on Bray-Curtis similarity showed clear separation between the two methods, with average similarity values of 0.0326 (1st survey) and 0.0221 (2nd survey) at the species level. Only 6.8% of the 429 total species were commonly detected by both methods, while overlap at the genus level was 18.8%. Spatial heterogeneity in phytoplankton communities based on eDNA was also evident depending on the sampling location, with the centre of the surface showing the highest species richness and overlap, suggesting its suitability for biodiversity monitoring.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e high resolution and sensitivity of eDNA metabarcoding in capturing phytoplankton diversity and highlight its complementary role in existing biomonitoring programmes. Further improvements in the quantitative reliability of eDNA-based assessments will require efforts such as copy number normalisation, methodological standardisation, and refinement of reference databases.
목적 : 본 연구는 안경 처방에 필요한 매개변수를 분석하여 정확하고 편안한 안경 처방을 위한 객관적 자료를 제시하는 것이다. 방법 : 20세 이상 성인 41명(남자: 28명, 여자: 13명)을 대상으로 사진, 트르뷰 아이, 안경자 및 스마트 센터링 장치 계측법을 이용하여 단안 동공 거리, 동공간거리, 광학중심점높이, 경사각, 안면각 및 정점간거리를 계측하고, 사진 계측법을 표준으로 정확도(오차)를 비교하였다. 또한, 오차 보정 식을 통하여 임상에서 적용하기 위한 보정 값 을 산출하였다. 결과 : 4가지 장비의 계측법을 비교했을 때 광학중심점높이와 경사각, 안면각 및 정점간거리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0). 사진 계측법을 표준으로 한 보정 값에서 트르뷰 아이는 단안 동공 거리, 동공간거리, 광학중심점 높이, 경사각, 안면각 및 정점간거리의 상관계수가 높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50). 안경자는 단안 동공 거 리, 동공간거리, 광학중심점높이 및 정점간거리는 상관계수가 높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50). 스마트 센터 링 장치는 안면각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50). 보정 값에 대한 95% 신뢰구간은 단안 동공 거리에서 스마 트 센터링 장치가 좁은 범위와 적은 편차를 보였고, 다른 모든 매개변수는 트르뷰 아이에서 좁게 나타났고, 평균값 의 편차도 가장 적었다. 결론 : 4가지 측정 장비를 이용하여 안경 처방에 필요한 매개변수를 측정한 결과 측정 방법에 따라 차이가 있었 고, 임상에서 사진 측정값을 대신하여 적용할 수 있는 보정 값을 제시하였다.
목적 : 본 연구는 사진 계측법과 스마트 센터링 장치 계측법을 사용하여 누진 굴절력 렌즈 처방을 위한 누진대 길이와 매개변수 측정에 활용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방법 : 사진 계측 장치를 이용하여 누진 굴절력 렌즈 처방에 필요한 매개변수인 광학 중심점 높이, 정점 간 거 리, 경사각, 안면각을 측정하였다. 또한 근거리 작업 자세를 분석하여 누진대 길이 처방에 참고 값으로 활용할 수 있는 하방 안구 이동량을 산출하였다. 이후 측정한 매개변수와 하방 안구 이동량을 스마트 센터링 장치를 이용하여 측정한 값과 비교하였다. 결과 : 원거리 및 근거리에서 나안으로 광원을 인지할 수 있는 시력 이상의 성인 남녀 2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사진 계측법을 이용하여 산출한 하방 안구 이동량은 평균 10.12±3.33 mm로 측정되었으며, 작업 거리가 짧아질수 록 길게 측정되었다(r=-0.418, p<0.050). 사진 계측법과 스마트 센터링 장치 측정법의 매개변수 측정값을 비교한 결과, 원거리 및 근거리 작업 거리에서 단안과 양안의 동공 중심 간 거리와 안면각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p>0.050) 수직적인 머리 움직임에 영향을 많이 받는 광학 중심점 높이, 정점 간 거리, 경사각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0). 하방 안구 이동량은 스마트 센터링 장치로 측정한 값이 9.67±1.99 mm로 사진 계측법 으로 측정한 값보다 0.46±3.35 mm 더 작게 측정되었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0). 결론 : 본 연구는 근거리 작업 자세와 하방 안구 이동량을 분석하고 사진 계측법과 스마트 센터링 장치 측정법 을 비교하여 누진 굴절력 렌즈 처방에 필요한 누진대와 매개변수 측정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