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국내에서는 온라인 거래를 통한 화훼류의 판매가 증가 하고 있다. 온라인 플랫폼의 종류에 따라서 각기 다양한 운송 시스템과 포장 방법을 이용하고 있지만, 품질과 관련된 정보가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일반 택배 배송을 이용하는 직거래 방식 은 다양한 외부 환경에 노출되기 때문에 품질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절화장미는 외부의 환경에 노출되는 통기 구멍이 있는 포장 박스와 외부의 환경과 단절된 밀폐된 포장 박스가 사용되 고 있다. 포장 박스의 종류에 따른 절화장미의 품질을 조사한 결과 통기구가 있는 포장 박스를 이용하여 택배 운송한 절화장 미는 운송 중의 낮은 습도로 인해 생체중 감소가 높아 품질이 하락하였다. 밀폐된 포장 박스를 이용해서 운송한 절화장미는 통기 구멍이 있는 포장 박스를 이용해 운송한 절화장미보다 생 체중 감소는 작았지만, 포장 박스 내부의 온도가 높아져 품질이 하락하였다. 내부가 코팅된 밀폐형 포장박스 내부에 절화장미와 함께 냉매를 동봉하여 포장 후 운송하면, 운송 중 포장박스 내부 의 온도를 경감하고 품질을 보존하는 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판매되는 24개 건어포 및 조미 건어포 제품의 종 판별 및 표시사항 준수 여부를 평가했 다. 이러한 수산가공품에 사용된 원재료의 종판별을 위해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 및 cytochrome b 유전자 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NCBI GenBank 및 BOLD 데이 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 생물종의 염기서열과 비교 후 계통 분석을 수행했다. 분석 결과 13개 종(Hyporhamphus quoyi, Gadus chalcogrammus, Lophius litulon, Conger myriaster, Paramonacanthus pusillus, Hyporhamphus sajori, Gadus macrocephalus, Hoplobrotula armata, Callionymus meridionalis, Liparis tanakae, Dosidicus gigas, Lagocephalus cheesemanii, and Takifugu vermicularis)이 확인되었다. 일반 명(장어, 오징어 등)을 포함할 경우 16개 제품(66.7%)에서 표시사항과 판별된 종 간에 불일치가 확인되었으며, 일반 명을 제외할 경우 불일치 비율은 41.7%로 감소했다. 식품 유형별로는 조미건어포 제품(n=20, 70%)에서 건어포 제품 (n=4, 50%) 보다 높은 비율의 불일치 비율이 관찰되었다. 원산지별 분석 결과 특정 국가와 불일치 비율과의 상관성 은 확인할 수 없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건포류 제품의 주기적 모니터링 수행 및 수산물의 국명 표시 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쓰일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