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8

        3.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서식 환경에 따라 구분된 3화기 미국흰불나방(Hyphantria cunea Drury)을 숙주로 하는 기생파리의 종과 기생률의 차이를 확인했다. 조사 기간은 2023년 10월 24일부터 29일까지로, 방제를 실시한 서천군 국립생태 원과 방제를 실시하지 않은 군산시 근린공원에서 숙주인 미국흰불나방의 유충을 채집하였다. 유충은 기주식물 인 수국을 급여하여 실내 개별 사육하였다. 각 조사지에서 미국흰불나방의 기주식물은 국립생태원에서 8종, 근린공원에서 6종이 확인되었다. 총 숙주 380마리 중 기생파리는 106개체로 총 27.9%의 기생률을 보였고(유충 92개체, 미동정 알 14개체), 기생률은 근린공원이(39.6%) 국립생태원(12.5%)보다 더 높았다. 성충의 우화율은 63.0%로, 동정 결과 4속 92개체가 나타났다. 전체 종과 가장 많은 개체가 확인된 Exorista japonica (Townsend, 1909)의 조사지에 따른 유충 생존율과 성충 우화율은 모두 근린공원이 더 높은 것으로 확인 되었다. 조사결과 E. japonica가 미국흰불나방의 생물적 방제제로 유효할 것이라 판단되며, 근린공원에서의 더 높은 기생파리 유충 생존율과 성충 우화율을 통해 인간에 의한 교란이 적은 환경에서 기생파리를 이용한 미국흰불나방 방제가 더 효과적일 것이라고 고려된다. 또한 숙주의 생존율과 기생파리의 우화율을 비교한 결과 해충 방제가 이뤄지지 않는 환경에서 천적 개체군이 유지될 가능성이 더 높다고 사료 된다.
        6.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cat who is a 15-year-old and spayed female visited an animal clinic with severe coughing symptoms. Since the cat’s coughing symptoms had worsened from the age of 10 and X-rays showed a bronchial pattern in the lungs, it was diagnosed as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She received three injections of stem cells isolated from the amniotic membrane on days 0, 7, and 23. Although there was no improvement in the clinical findings on the x-ray, the number of coughing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addition, even after long-term follow-up post treatment for a month, she was stable with almost no coughing.
        3,000원
        9.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ree different cats who had chronic kidney disease (CKD) were treated for more than one month with fluid therapy in an animal clinic. Although this long-term treatment and hospitalization, there was no clinical improvement in clinical signs as well as serum biochemical indexes including blood urea nitrogen (BUN), creatinine (CREA), and phosphate (PHOS). All cases were then injected three times with allogeneic stem cells through an intravenous route for treatment on Day 0, 7, and 14 or 30. On the same day, clinical observation and blood tests for serum biochemistry were conducted together. Upon administrating stem cells to the CKD cats, clinical conditions and the indexes of BUN and CREA were clinically improved within normal ranges. Additionally, one of the cats who had the renal cysts presented clinical improvement with showing decreased cysts size than before.
        4,000원
        15.
        2017.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강낭콩의 생산이나 이송과정에서, 곰팡이나 충격으로 인한 변색과 변형이 섞인 강낭콩 군집 에서 정상립을 선별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곰팡이로 인한 변색을 선별하기 위해서 개체별로 표면의 회색 화소를 추정 하는선별 인자를 제안하였고, 충격으로 인한 조각 변형이나 변형 이후 외부 변색을 동시에 고려하기 위해서 는 화소별로 R-G값과 G-B값의 차이 비교를 이용한 선별 인자를 제안하였다. 제안한 두 개의 선별인자를 이 용하여 문턱치 기반의 실시간 선별 알고리즘을 각 100씩의 개체를 갖는 정상립과 두 종류의 불량립에 대해 적용한 결과, 선별 정확도는 최적 환경에서 얻은 강낭콩 영상에 대해서는 99%의 정확성을 보였고, 블러링 및 조명 열화로 인한 환경에서 얻은 강낭콩 영상에 대해서는 각각 98.67%와 96.33%의 성능을 보였다.
        4,200원
        17.
        2016.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히스토그램과 그레이레벨 프로파일의 VS(valley size)를 이용한 문턱치 기반의 대두 선별알고리즘 을 제안한다. 대두의 변형은 크게 표면 변색 및 외형 변형으로 나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두 개체를 건전립, 부 분변색립, 전면변색립, 표면변형립으로 구분하고 히스토그램 기반 문턱치와 VS기반 선별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표면의 변색 및 변형에 따른 불량 대두와 건전립을 선별하였다. 제안한 방법은 대두와 같이 개체수가 많은 농작물의 실시간 선별을 목적으로 하여, 정수덧셈 연산기반의 선별 알고리즘으로 구현 되었다. 제안한 방법을 실제 선별에 적용한 결 과 선별의 정확도는 94.5%이며 기존의 문턱치 기반 대두 선별 알고리즘에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적은 연산량에서 동 등한 수준의 정확도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4,300원
        18.
        2016.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문턱치 기반의 영상처리 알고리즘을 이용한 인셀(in-shell)헤이즐럿과 셀드(shelled)헤이즐럿의 분류 방법을 제안한다. 헤이즐럿은 외피가 있는 인셀 형태, 내피만 있는 셀드 형태, 내피도 제거된 블랜치드 (blanched)형태, 그리고 모든 껍질을 제거한 후 알맹이를 볶아 판매하는 로스티드(roasted)형태로 제품화 된다. 그러나 생산, 이송과 가공 과정에서 외피가 쉽게 박피되기 때문에 각 단계별로 제품을 판매하기 위해서는 일차적으로 인셀 헤이즐럿과 셀드 헤이즐럿을 구별하여 제품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각 단계의 헤이즐럿 표면에 대한 영상처리 기반 분석을 바탕으로 18개의 문턱치 기반의 선별인자를 얻고 이를 바탕으로 실시간 선별이 가능한, 인셀 및 셀드 헤이즐럿의 분류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을 선별에 적용한 결과 인셀 헤이즐럿의 선별 정확 도는 98%이며 나머지 셀드 헤이즐럿의 선별 정확도는 94%를 보였다.
        4,300원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