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차분말의 첨가가 식빵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녹차분말을 소맥분 대비 각각 0.1, 0.5, 1.0% 넣은 다음 호화도, alveogram 특성, farinogram 특성, 제빵실험. crumb softness 및 관능적 특성 등을 조사하였다. 소맥분의 호화개시온도는 64.30℃ 였으나 녹차분말을 첨가한 것은 62.40∼63.45℃로 낮아졌다. 최고점도는 녹차분말이 증가할수록 높아졌고 break down값도 같은 양상을 보였으며 노화정도를 예측할 수 있는 set back값 또한 녹차분말 사용량이 많을수록 증가하여 녹차분말을 사용한 식빵의 노화가 빠르리라는 것을 예측할 수 있었다. Alveogram에서 dough의 변형에 필요한 최대압력인 P값 (tenacity)이 녹차분말 1%일 때 162로 가장 높았으며 신장성을 나타내는 L값 (extensibility)은 74로 control보다 낮아 녹차 첨가가 반죽의 신장성은 줄이지만 반죽강화 효과는 커짐을 알 수 있었다. 빵의 부피를 간접적으로 알 수 있는 G값(swelling index)은 녹차함량이 증가하면 감소를 보여 실제 구워낸 식빵의 부피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Farinogram의 consistency는 녹차분말 1%가 537FU로 제일 높았고 수분흡수율도 녹차분말 함량이 많아질수록 증가하였지만 반죽의 발전 시간과 안정도는 감소하여 녹차분말은 글루텐의 형성을 저해하지만 반죽의 consistency는 크게 함을 알 수 있었다. Hardness는 녹차분말의 함량이 많을수록 저장시간이 길어질수록 커졌으나 탄성도는 녹차함량이 많을 경우가 오히려 좋았다. 종합적인 관능검사의 결과는 녹차 0.5% 첨가한 것이 95로 가장 좋은 평가를 받았다.
폐수처리 중 생물학적 처리에 활용할 수 있는 질소분해 능력을 가진 미생물을 분리하여 동정하고자 경기도내 하천 6지점에서 채취한 시료로부터 50개 균주를 선별하였다. 형태학적, 생화학적 및 배양학적 실험결과 Bergey`s mannual of systematic bacteriology의 색인을 통하여 Aeromonas hydrophila로 동정하였다. Aeromonas hydrophila(AH-1). (AH-3), (AH-4), (AH-6) 균이 질산화 능력이 우수하였다. 4개 균주 모두 amoxillin, ampicillin, cephalothin과 ticarcillin에 내성을 나타내었다. 본 실험에서 분리한 .Aeromonas hydrophila의 질산화의 최적조건은 균 농도 1.0×l0exp(6) cells/ml, 배양온도 37℃로 나타났다.
도라지의 급이가 고콜레스테롤혈증 흰쥐의 간기능과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구명하기 위하여 SD계숫흰쥐에게 동결건조한 도라지 분말 5%와 도라지 분말 5%에 해당하는 식물섬유, saponin, 에탄올추출물을 각각 급이하여 3주간 실험 사육한 후 혈청효소 및 간장의 지질성분 분석, 간세포의 형태를 검토하였다. 혈청중 AST, ALT효소활성은 대조군에 비해 전실험군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그중 saponin 급이 군이 가장 낮았고 그 다음이 식물섬유군이었다. LDH효소 활성도 전 실험군에서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22년근 도라지의 식물섬유군과 saponin군이 낮은 값을 보였다. 간장 중의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4년근과 22년근 도라지 분말 및 식물섬유 급이군이 비교적 낮았으며, 중성지질 함량은 대조군에 비해 전 실험군에서 낮았으나, 각 실험군간의 차이는 크지 않았고, 인지직 함량은 전 실험군에 있어 비슷한 수준이었다. 간장 조직세포의 전자현미경 관찰 결과, 대조군은 지방구가 증가되어 있는 반면 도라지 급이군에서는 감소되었으며, 22년근 도라지 급이군은 간장 글리코겐 축적량이 증가되어 있었다.
쌍화탕의 제조공정중 원료 입자크기에 따른 엑기스의 수율 효과 및 성분 변화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원료입자크기에 따른 엑기스의 수율은 입자크기가 작을수록 수율이 증가함을 보여주었으며, 원료의 입자직경 1 ㎜가 10 ㎜보다 엑기스의 수율이 2배 정도 증가하였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엑기스의 성분은 원료 입자크기에 따라 거의 차이가 없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원료의 절단정도가 제품의 생산성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제품공정에서 생산성을 높이려면 보다 효율적인 절단공정을 거쳐야 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