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58

        181.
        200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tudy of the gill infection of rockfishes, Sebastes spp. by monogenetic trematodes conducted during March 2002 to June 2002 are presented. Three species are reported krom examination of 23 rockfishes collected from Oregon Coast Aquarium and Newport fi
        3,000원
        184.
        200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olbachia 감염이 디코폴 감수성계통 점박이응애와 저항성계통 점박이응애 적합도에 미치는 영향(발육, 수명, 산란수, 산란기간)을 미니장미를 기주로 조사하였다. ftsZ PCR결과 감수성 계통만이 Wolbachia에 감염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감수성계통은 저항성계통에 비해 높은 산란율과 빠른 발육률이 관찰되었으며, 성충수명과 산란기간은 감수성계통에서 길었다. 이는 적합도가 디코폴저항성 수준에 영향을 받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동일한 조사를 상호교배 자손에서 조사한 결과, Wolbachia에 감염된 수컷과 Wolbachia 비감염 암컷을 교배한 조합에서 높은 난사망율과 수컷편중 성비가 관찰되어 전형적인 Wolbachia에 의해 유도되는 세포질 불화합성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Wolbachia에 감염된 암컷과 Wolbachia 비감염 수컷조합의 내적자연증가율값(0.01)은 다른 조합(0.01)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본 실험의 연구결과는 점박이응애 적합도의 발달과 진화가 저항성 수준과 Wolbachia 감염에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4,000원
        188.
        199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토마토‘Sunroad’품종을‘Anchor-T’, ‘Kagemushia’,‘Joint’및 Vulcan’등 4가지 다른 대목에 접목하여 뿌리썩음시들음병(Fusarium oxysporum Schl. f. sp. jycopersici Snyder et Hansen, race J3)이 만연한 포장에 재배하여 이병율, 수량 및 과실의 품질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질소비료의 시용수준(10, 20 및 30kg.ha-1)에 따른 생장, 과실의 성분 및 식물체의 무기성분함량의 변화도 아울러 조사하였다. 접목묘는 무접목에 비하여 제 1번 화방의 개화가 촉진되었다. 접목은 초장을 증가시켰고 질소 소비량이 증가할수록 초장과 줄기 직경은 더욱 증가하였다. 접목한 토마토는 이병 되지 않았으나 ‘Anchor-T’ 대목에 접한 것은 64.7%의 이병율을 나타내었다. 접목한 토마토는 기형과, 발육불량과 및 잿빛곰팡이병과의 발생비율이 무접목구에 비하여 현저히 감소하였다. 접목과 무접목 사이에 있어서 가욕성고형물, 당함량, ascorbic acid 및 organic acid의 함량차이는 없었다. 질소 사용량의 증가에 따른 변화도 없었으나 ascorbic acid는 질소함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잎과 줄기의 무기성분함량은 대목의 종류 및 질소 사용량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다만 질소 105당 30kg 시용구에서는 접목한 것이 잎의 N, Ca 및 Mg 함량이 현저히 높았다.
        4,000원
        190.
        199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experiment was can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asture types(mixture and mono tall fescue pasture) and endophyte infection on the dry matter yield, forage quality and animal performance of pasture plants at the Experimental Field of Grassland
        4,000원
        191.
        199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asture types(mixture and mono tall fescue pasture) and endophyte infection on the animal behavior of Korean native cattle at the Experimental Field of Grassland and Forage Crops Division, Natio
        4,000원
        192.
        199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곤충병원성 사상균을 이용한 솔잎혹파리의 효과적인 방제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병원성이 강한 균주를 전국 산림토양으로 부터 분리.동정하고, 병원성 검정을 통하여 유효 곤충병원 사상균을 선발코자 하였다. 솔잎혹파리 다발 지역을 중심으로 전국으로 부터 233개 지역의 토양시료를 채취하여, Beauverla속 29균주, Paecilomyces속 2균주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균주는 위상차현미경 및 주사전자현미경으로 형태를 관찰하였다. 아울러 토양 분리 균주를 솔잎혹파리 유충에 대해 병원성을 검정한 결과, Beauveria 속 SFB-168-2가 82.9%로 높은 병원성을 나타내어, 솔잎혹파리 방제를 위한 유효병원 사상균으로 선발하였다.
        4,000원
        197.
        199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파밤나방 핵다각체병ㅂ이러스의 기주곤충 및 나비목해충에 대한 병원성과 10종 baculovirus의 파밤나방 유충에 대한 교차감염을 조사하여 방제에 이용하고자 시험을 수행하였다. 난에대한 중앙치사농도()는 2.855 다각체/ml로 유충보다 높았다. 령별 은 3령이 1.422 다각체/ml로 1령보다 1.16배, 5령보다 .11배의 높은 병원성을 나타냈다. 각 령의 중앙치사일수()은 1.56 다각체/ml에서 4.26~5.04일이었다. 8종 나비목 해충에 대한 파밤나방 핵다각체병바이러스의 병원성은 기주곤충인 파밤나방에서만 인정되었고 10종의 곤충간상바이러스 중 Autographa californica MNPV, Mamestra brassicae MNPV 및 Trichoplusia ni MNPV 등 3종이 파밤나방 유충에 대해 교차감염을 일으켰다.
        4,000원
        200.
        198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本) 시험(試驗)은 복토(覆土)깊이, 파종기(播種期), 최아방법(催芽方法) 및 고조제처리(枯凋劑處理)가 감자흑지병발생 및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하고자 남작(男爵)(Irish Cobbler)과 수미(秀美)(Superior)를 공시(供試)하여 실시(實施)하였으며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복토(覆土) 깊이가 깊을수록 출아(出芽)가 늦어졌으나 이병률(罹病率)은 뚜렷한 차이(差異)를 인정(認定)할 수 없었으며 수량(收量)은 10cm구(區)에서 증수(增收)하는 경향(傾向)이었다. 2. 이병률(罹病率)은 4월 28일 파종구(播種區)에서 가장 높았으며 5월(月) 이후(以後)의 파종간(播種間)에는 뚜렷한 차이(差異)가 없었다. 수량(收量)은 조기파종(旱期播種)인 4월(月) 28일(日) 파종(播種)에서 가장 낮았고 5월(月) 8일(日) 파종(播種)에서 가장 높았다. 3. 욕광최아처리구(浴光催芽處理區)에서 이병률(罹病率)이 가장 낮았고 수량(收量)은 가장 높았으며 무광최아(無光催芽)에서는 무최아(無催芽)보다도 이병률(罹病率)이 높았으며 수량(收量)은 낮았다. 4. 고조제처리(枯凋劑處理) 후(後) 수확시기(收穫時期)가 늦어질수록 이병괴경(罹病塊莖)이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을 보였는데 지상부(地上部) 고사(枯死) 후(後) 일(日)까지는 괴경이병율(塊莖罹病率)의 증가폭(增加幅)이 컸으나 그 후(後)부터는 완만(緩慢)하였다. 5. 나작(男爵)은 수미(秀美)보다 경(莖)의 이병률(罹病率)은 높았으나 괴경이병률(塊莖罹病率)은 낮은 경향(傾向)을 보였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