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11

        201.
        2006.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고성능 콘크리트의 자기수축은 초기균열을 유도할 수 있기 때문에 내구성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실험을 통해 혼화재료를 혼입한 고성능 콘크리트의 자기수축 특성을 분석한 후 예측모델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다양한 실험변수를 가진 시편에 대해 광범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주요 실험변수는 혼화재료의 종류 및 혼입률로 설정하였으며 물-시멘트비는 30%로 고정하였다. 실험결과 플라이애시를 치환한 경우에는 자기수축량이 다소 감소하였으며, 고로슬래그를 사용한 경우에는 자기수축이 증가하였다. 또한, 수축저감제 및 팽창재의 혼입량이 클수록 고성능 콘크리트의 자기수축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본 논문에서는 회귀분석을 통해 혼화재료를 사용한 고성능 콘크리트의 자기수축 예측식을 제안하였으며, 제안된 자기수축 예측식은 실험결과와 비교적 일치하였다
        202.
        2006.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건축물의 초고층화에 따라 최근 고성능 콘크리트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고성능 콘크리트는 고강도, 고유동, 고내구성 등 다양한 성능을 발휘하지만, 화재시 폭열에는 약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PP섬유 혼입 및 마감재 변화에 따른 고성능 RC 기둥의 폭열방지 성능을 검토한 것이다. 실험결과 내화시험 후 폭열특성으로, 먼저 플레인의 경우 심한 파괴 폭열과 함께 철근이 노출됐고 내화뿜칠로 마감한 고성능 콘크리트는 내부 수분의 영향으로 플레인보다 더욱 심한 폭열을 나타냈다. 또한, 마감재 변화에 따른 시험체의 폭열특성으로는 내화도료로 마감한 경우가 가장 우수한 폭열방지 효과를 나타냈으며 폴리프로필렌 섬유를 0.1%혼입한 콘크리트는 3시간 가력 내화시험 후 가장 안전한 폭열방지 성능을 입증하였다.
        203.
        2005.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수직배치형 장치장 블록형태의 자동화 컨테이너 터미널을 대상으로 안벽에서 컨테이너의 양·적하 작업을 수행하는 안벽크레인(Q/C)에 대한 하역생산성을 평가해 보았다. 분석 대상이 되는 안벽크레인의 유형으로 기존의 싱글트롤리 타입외에 차세대 안벽크레인으로 인식되고 있는 듀얼트롤리 더블트롤리, 수직순환식의 하역방식을 가지는 네 가지 장비이다. 이들은 각기 다른 방식으로 선박의 컨테이너를 하역하며, 이들 각각에 대해 기계적 생산성과 순작업 생산성을 산출해 보았다. 특히, 안벽크레인의 순작업 생산성을 산출하기 위해 각 장비에 대한 시뮬레이션 모델을 수립하고 이를 적용한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개발된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통해 내 가지 안벽크레인에 대한 다양한 시뮬레이션이 수행되었다.
        206.
        200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천연세라믹, 옻칠, 그리고 고무의 전파흡수능을 조사하였다. 천연세라믹은 2.5GHz~4.5GHz의 주파수 범위에서 2.5dB이상의 전파흡수능을 나타내었으며 옻칠의 전파흡수능이 기존에 전파흡수체의 지지재로 이용되는 고무에 비해 우수한 전파흡수능을 갖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페라이트에 옻칠을 지지재로 이용한 전파흡수체에 대하여 시뮬레이션 한 결과 0.5GHz~10GHz의 주파수 범위에서 16dB 이상의 우수한 전파흡수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기종에 지지재로 이용하던 고무대신 본 연구에서 새롭게 제안하는 옻칠을 전파흡수체의 지지재로 이용하는 것이 광대역에서 우수한 전파흡수체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211.
        1991.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coaxial sample holder with 20mm in diameter and the adaptor from type N connector-to-20mmΦ coaxial tube are designed and manufactured which have been used for designing and measuring the fabricated microwave absorber. In addition, the measure in method of material constants of the microwave absorbers is described, which is focused on minimizing the error due to the sample's shapes, the fitting conditions, etc. After describing the design method of a single-layed microwave absorber, the microwave absorbers for X-band, C-band and S-band RADARs are designed and fabricated, respectively, which are composed of ferrite, carborn, and binder and have good performance. Futhermore, we develop the high performance microwave absorber in extremely wide-band type for RADAR, which is composed of different material and its mixing ratio and which could cover nearly from 4 to 10 GHz.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