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22

        201.
        1983.08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700원
        203.
        1982.0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900원
        204.
        1982.0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700원
        205.
        1981.08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800원
        207.
        1981.0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800원
        208.
        1981.0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700원
        209.
        1980.08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900원
        210.
        1970.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211.
        2021.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 사태로 인해 대학에서 실시된 비상 온라인 영어 수업이 원어민 교수자의 인식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과 2020년 1학기와 2학기 사이에 어떠한 인식의 변화가 있었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1학기에는 88명, 2학기에는 106명의 교수자가 설문에 참여 하였으며 그 결과, 두 학기 참여자 대부분은 학생들의 영어 능력과 자신감이 향상되었다고 믿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자들은 비상 온라인 수업으로 인하여 학생들의 수업 참여도, 소통, 협업, 공동체 의식은 일반 수업에 비해 낮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1학기에 비하여 2학기에 앞서 언급한 모든 분야에서 현저히 발전된 모습을 보였으며 학생들은 새로운 방식으로 자신을 표현하는 능력을 보였다고 답하였다. 설문에 응답한 교수자들은 대부분 비상 온라인 수업 방식에 대해 비교적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으며 두 학기에 걸쳐 실시된 영어 프로그램이 성공적이라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로는 한국의 기존 기술 인프라와 학생들의 전자기기에 대한 숙련도, 교수자들의 수업을 돕기 위해 매주 실시 되었던 교육 프로그램을 들 수 있다. 또한, 소규모 수업이었다는 것과 새로운 프로그램이 아닌 기존의 프로그램을 적용했다는 것도 교수자들이 비상 온라인 영어 수업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갖는데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212.
        2021.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한국인 중등 영어교사(KETs) 2명과 원어민 영어보조교사(NETs) 2명의 의견을 바탕으로, 현재 코티칭 수업에 대한 그들의 시각에 대해 논의한다. 한국에서의 개인적 교수경험을 기초로 한 코칭에 대한 정의, 코티칭에 대한 현재의 태도를 결정하는 데 영향을 끼친 요소들, 더 나은 코티칭 수업을 위해 필요한 점에 대한 그들의 의견을 온라인 비디오 인터뷰를 통해 수집하였으며, 동료검토 과정(Peer debriefing session)을 통해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네 명의 영어교사 모두가 코티칭의 개념, 코티칭 수업의 목표, 어떻게 코티칭 수업을 하고 피드백을 공유할 지에 대한 명확한 합의에 도달하지 못하였으며, 그 실천 가능한 방법을 배울 기회가 부족했다. 그로 인해, 한국인 중등 영어교사와 원어민 영어교사 사이 수업에 대한 주인의식(Sense of ownership)이 불균형하고, 코티칭에 대한 서로의 의견이 암묵적으로 불일치하는 상황이 야기되었다. 또한 원어민 교사와의 코티칭 관련 협의 과정에서 어려움을 경험한 바 있었다. 한국인 영어교사들은 코티칭 수업에 대한 진지한 의견을 공유 하려는 시도 자체가, 그들의 원어민 영어보조교사들에 의해 "방해 (혹은 간섭)”으로 받아들여질 것이 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또한, 네 명의 참여자들 모두 코티칭에 필요한 요소인 협력하는 방법을 제대로 연수 할 기회가 없었다는 것을 인터뷰 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영어 코티칭 교사들 사이에 건설적인 협의를 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한다.
        213.
        202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correctly the English teacher acknowledges and uses the assessment tool for CLT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when he or she observes another English teacher’s class. The key words closely related to the assessment tool for CLT in the assessment report samples that English teachers submit for another English teacher’s class are coded in corpus data and investigated by case study on individual procedures in class, such as lesson plan, class implementation and management, and evaluation. It turns out that the English teacher observes and assesses the English class in each step focusing on “learning objective” and “clear lesson plans”, “classroom English” and “learning materials”, “management of activities” and “student’s attention and participation.” However, it is necessary for the English teacher to raise awareness about student’s specific demand for English class, teacher’s knowledge of language, time management, transition to the next phrases, and maintenance of order.
        214.
        2019.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동료의 수업코칭이 영어교사 교수 역량 강화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것이다. 주요 연구 문제는 수업코칭이 교사들의 수업 문제점 인식, 수업 설계, 수업 실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상세히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3인의 현직 중학교 영어교사들을 대상으로 7개 월에 걸쳐 수업코칭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수업코칭이 영어교사 교수 역량 구성 요소 중 자기 수업 성찰과 동료와의 협력, 수업 설계와 실천, 태도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즉, 수업코칭은 코치교사와 함께 자신의 수업을 있는 그대로 관찰하는 과정에서 문제점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였고, 수업교사들의 자기 수업에 대한 문제점 인식은 코치교사와의 협력적 상호작용 및 성찰을 통해 새로운 생각의 도출로 이어져, 발전적 수업에 대한 대안을 모색하여 발전된 수업 설계와 실행으로 이어졌다. 또한 수업의 계획과 실천 과정에서 느껴졌던 불안감과 회의감은 코치교사와의 협력적 상호작용을 통해 자신감이 향상되는 변화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할 때 본 연구에 참가한 수업교사들의 수업 성찰과 동료교사와의 협력을 통한 자기 수업 개선의 노력 은 영어교사의 교수 역량 강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215.
        2018.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과업집중 분석법을 통한 우수 초등영어 수업의 관찰 및 분석을 통하여 효과적 인 과업조건을 파악하는데 있다. 수업 관찰 대상은 초등학교 6학년 과업 중심 수업으로 과업 중 활동을 연습(practice), 발표(presentation)와 퀴즈(quiz)의 세 단계로 나누어 과업집중도를 도출하 였다. 또한 과업조건 유형은 정보의 흐름에 따른 단방향 과업과 양방향 과업의 분류 및 과업결과 일치여부에 따른 수렴 과업과 발산 과업의 분류에 따라 과업집중도를 산출하였다. 분석 결과, 본 수업에서의 과업집중도는 비과업집중도에 비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과업의 단계에서는 교 사 중심적 활동보다 학생 주도적 활동에서 과업집중도가 소폭 상승하였다. 과업조건별 과업집중도 에서는 단방향 과업에 집중한 비율이(43.58%) 양방향 과업에 집중한 비율(56.42%) 보다 낮았으며, 수렴 과업에 집중한 비율(69.73%)은 발산 과업에 집중한 비율(30.27%) 보다 높게 도출되었다. 언 어 기능별 과업집중도는 듣기(48.43%)가 가장 높았으며, 읽기(19.13%), 쓰기(18.28%)와 말하기 (14.16%)의 순서로 나타났다. 본 수업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우수한 초등영어 수업의 과업 양상 을 파악하고 추후 효과적인 과업조건을 구성하기 위한 지표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216.
        2016.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s the International Maritime English Organization (IMO) model course for Maritime English has been recently revised and updated, the requirements of current changes to both the 2010 STCW Manila Amendments and English education have been actively reviewed. In order to provide practical guidelines for language teaching, a wide range of new pedagogical approaches and their theoretical backgrounds are also suggested. However, considering the current spread of Business English as a Lingua Franca (BELF) and its critical importance in maritime communication, the pedagogical approaches need to be re-evaluated, specifically in terms of teaching pronunciation in order to emphasize clear and effective communication among international interlocutors. Therefore, the core pedagogical elements of pronunciation should be clearly set and provided with consideration for Lingua Franca Core (LFC), which places importance on mutual intelligibility rather than following the rules of native speakers. In this paper, the current trends of BELF in the maritime industry will thus be introduced. Following this, the importance of LFC in maritime communication will be outlined, and its key features will be discussed in terms of effectiveness and clarity of international maritime communications. Finally, a close comparison between LFC and the pronunciation guidelines suggested by the IMO Maritime English model course 3.17 will be conducted, and pedagogical implications for future teaching pronunciation in cross-cultural global maritime industry will be suggested.
        217.
        201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의 목적은 지금까지 개별적이고 단편적으로 이뤄진 초등학생 대상 영어어휘지도방법 에 관한 연구 결과를 종합적으로 살펴보고, 초등학생 영어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영어 어휘 지도에 있어 효과적인 방법을 찾아보는데 있다.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영어 어휘 지도 방법에 관한 실험연구 29편을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각 연구는 어휘 지 도 방법, 어휘 제시 방법, 활용 자료 유형에 따라 구별되어 효과크기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어휘 지도 방법에 있어 암시적 지도 방법과 명시적 지도 방법 은 모두 중간 정도의 효과크기를 보였고 두 지도 방법의 효과 사이에는 별 차이가 없었다. 그 러나 두 방법을 적용하는데 있어서 명시적 지도 방법을 우선에 둘 필요가 있다. 둘째, 어휘 제 시 방법에 있어 그림 활용, 번역 활용, 맥락 활용 제시 방법 모두 중간 이상의 효과크기를 보 였고 특히 번역 활용 방법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셋째, 활용 자료 유형에 따른 분석 결과 맥락 적 자료와 탈맥락적 자료 활용의 경우 큰 효과크기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현장에서 점차 관 심이 높아지고 있는 영어 어휘 지도 방법에 관한 구체적인 해답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 대된다.
        218.
        2015.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스마트 기술의 발전과 함께 스마트 러닝이 대두되면서 영어교육 분야에서도 디지털콘텐 츠의 활용이 점차 활성화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했을 때, 향후 영어교육에서 활용되는 디지털 콘텐츠로 게임이 부각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영어교수학습 활동에 적절하게 활 용할 수 있는 게임의 인터페이스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각 게임 장르 별 대표게임을 선정하고 해당 게임의 플레이 과정을 분석하여 가장 많이 활용되는 인터페 이스를 도출한 다음, 해당 인터페이스의 언어적 특성을 분석해 보았다. 그리고 인터페이스 분석 결과와 영어교수학습 방법의 특성을 종합하여 교수학습 방식에 따라 활용 가능한 게임 인터페 이스를 제시해 보았다.
        219.
        2014.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의 목적은 영어과 수업실연 평가에서 교사의 수행수준을 구분하는 분할점수를 결정하는 방법으로 문항중심의 수준설정 절차를 제안하는 것이다. 수준설정 방법은 문항중심 방법과 피험자 중심 방법으로 나누어볼 수 있는데, 문항중심 방법의 경우에는 특정한 수행수준의 피험자들이 문항의 정답을 선택할 확률을 기반으로 분할점수를 결정하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수준설정 방법을 사용하여 수행수준을 구분하기 위해서는, 수업관찰 평가도구 개발 단계에서 수업실연에서 중요하게 관찰해야 하는 항목들을 도출하고 각 항목의 중요도에 따라 가중치를 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문항중심의 수준설정 절차를 기반으로 특정 수행수준에 도달한 교사가 각각의 평가항목에서 얻을 것으로 예상되는 점수를 판단하는 절차뿐만 아니라, 수업실연에서 각 항목의 중요도를 함께 판단하도록 하여 평가항목의 가중치도 함께 결정하는 절차도 포함하였다. 수업실연 평가에서 항목에 대한 평가뿐만 아니라 항목에 대한 가중치까지 동시에 결정함으로써 수업실연의 전반적인 수행 수준과 분할점수의 관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구체적인 적용사례를 제시하기 위하여 TEE(Teaching English in English) 수업실연 평가의 수준설정 과정과 결과를 제시하였다.
        220.
        2014.06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벼리】이 연구의 목적은 영어권 학습자의 비음동화 발음 실태를 살 펴보고 오류 분석을 통한 비음동화 발음 교육 방안을 마련하는데 있 다. 비음동화 환경이 포함된 문장을 영어권 학습자에게 제시하고 발 화를 녹음하여 분석하였다. 녹음된 자료를 바탕으로 환경별 비음동화 발음 오류를 분석하였다. 오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통합형 한국어 비음동화 교육방안을 마련하였다.
        11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