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56

        201.
        2017.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소재의 11개 병원에 근무하는 의료기관 종사자를 대상으로 병원감염관리 인지도와 수행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병원 내 감염관리부서, 감염관리 지침서, 감염관리 교육의 유무에 관계없이 인지도, 수행도의 척도가 높게 나타났다. 특히, 감염교육을 받은 적이 있는 집단의 인지도, 수행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p<0.001). 감염관리에 대한 수행을 실천하지 못하는 주된 원인은 업무 과다와 시간부족으로 나타났으며, 99.7%의 응답자가 감염관리 교육이 필요하다고 답하여 사회 전반적으로 병원감염에 대한 경각심이 커진 것으로 판단된다. 전체적으로 인지도에 비해 수행도가 낮게 분석되었으며, 병원감염을 낮추기 위해서는 실현가능한 제도의 개선과 종사자 개인의 적극적인 수행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202.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인공지능에 대중의 관심으로 인해, 인공신경망을 사용한 의료영상 처리가 학계와 산업계에서 관심이 커져가고 있다. 딥러닝을 이용한 컨볼루션 신경망은 영상을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것으로 증명되었다. 그러나 학습을 위해서는 고성능 H/W 플랫폼이 요구된다. 따라서 고차원의 많은 학습 샘플을 저사양 H/W 플랫폼에서 학습하는 것은 매우 도전적인 문제이다. 본 논문에서는 온라인 인공 신경망을 사용해 라즈베리파이에서 동작할 수 있는 실시간 신경망 알고리즘을 제안하고자 한다. 다양한 실험 결과를 통해 제안된 방법은 실시간 학습이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203.
        2016.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일개 종합병원 내 방사선 종사자의 피폭선량과 그에 따른 혈액검사를 일반인의 혈액검사결과와 비교하여 방사선피폭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대조군과 방사선 종사자군의 혈액검사 결과 모든 항목 평균값은 정상범위에 포함되어 있었다. 호산구의 경우 방사선 종사자가(2.52 ± 1.79%) 대조군(2.92 ± 1.39%)에 비하여 낮으며 유의함을 나타내었다. 방사선 작업 종사기간에 따른 종사자군과 대조군의 혈액학적 검사결과 평균값은 백혈구, 혈소판, 임파구, 단핵구, 호염기구가 전체 평균에서 종사자군이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20년 이상 종사자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백혈구, 단핵구는 낮고, 혈소판은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10년 이하 종사자에서 호염기구가 대조군에 비해 낮은 값을 나타내었으나 전체 수치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방사선 종사자의 4년간(2012년~2015년) 누적선량에 따른 검사항목별 평균차이에서 5.0 m㏜ 초과 종사자가 백혈구 평균값에서 대조군 및 5.0 m㏜ 이하 피폭군에 비하여 낮은 값을 나타내었고, 적혈구(4.61 ± 0.53), 적혈구용적률(41.51 ± 4.07) 및 호산구(1.74 ± 1.14)는 대조군의 적혈구(4.91 ± 0.38), 적혈구용적률(43.97 ± 3.40), 호산구(2.92 ± 1.39)와 저선량 피폭자의 검사결과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0.5~1.0 m㏜ 피폭 종사자의 혈색소(13.93 ± 1.75)가 대조군(14.90 ± 1.29) 및 타 피폭자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204.
        201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실존주의와 내러티브 의학교육에 관한 연구이다. 최근 우리의 교육은 논리 적 실증주의와 모더니즘의 합리성, 획일성, 전체성을 강조하는 모더니즘 교육이 아닌, 개인의 주체성과 다양성을 강조하는 포스트모더니즘과 실존주의교육을 지향하고 있다. 파이너는 실존주의에 기반하여 개인의 경험자체와 주체성에 입각한 스스로 선택한 교육 과정을 강조하며, 자서전적 글쓰기를 제안하고 있다. 개인의 사고 작용에 관한 이야기를 강조하는 것은 내러티브 교육과도 같은 맥락이라 할 수 있다. 교육의 다양한 분야에서 실존주의와 내러티브가 강조되고 있으며, 최근 의학 분야에서도 환자의 내러티브를 강 조하는 환자중심의 의료가 강조되고 있다. 따라서 최근 의학교육 분야에도 내러러티브 의학교육을 강조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장 오랜 전통을 가진 고전중심의 교과중심 교육에서 실존주의 교육을 살펴보고, 내러티브 의학교육에 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205.
        2016.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Korean Oriental Medicine has unequal access to some common linguistic resources that it shares with biomedicine under the dual medical system. At the societal level, the biomedical linguistic hegemonies allow biomedicine to unmark its entities, while mark Oriental ones with han- ‘Korean,’ as the prequel to the present study (Kim 2015c) illustrates. However,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that investigates the unmarking norms at the (intra-)institutional level of Oriental consultations in reference to those within the discourse of Oriental medicine itself. Noting the gap in research, the present study explores the Oriental interactions that are apparently immune to the societally imposed (un)marking norms and investigates the types, distributions, and meanings (in particular, referential specificity) of the unmarked references to Oriental entities. To do so, it qualitatively analyzes selections from a data set of 15-hour-long naturally-occurring consultations between Oriental doctors and their patients. The findings demonstrate that Oriental interactions frequently form a linguistic enclave, the intra-institutional norms within which regulate that the references to Oriental doctors, clinics, and medications be unmarked. Within the enclave, the unmarked uysas make a reference to a generic Oriental doctor or doctors, while the unmarked first-mention sensayngnim, albeit a rare example, to a specific Oriental doctor (more specifically, the chief doctor). The unmarked first-mention pyengwens, mostly disambiguated by the proximal deictic expressions, refer to the specific Oriental institutions at which the interactions are in progress. The unmarked first-mention yaks refer to specific Oriental medications, whereas the unmarked to a generic one. The apparent contradiction between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and those of the prequel is not surprising at all, but rather is indicative of the very “heteroglossia” (Bakhtin 1984) under the dual medical system in Korea. That is, the references to either of the medicines under the dual system can go unmarked while abiding by a respective set of the referential norms, albeit at different levels: one at the intra-institutional level and the other at the inter-institutional and societal level. Their distributions are also discussed on qualitative and ethnographic terms.
        206.
        2016.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의료용 X선을 이용하여 소듐냉각고속로 금속연료봉 내부의 소듐 충전상태를 평가 하고자 하였다. 의료용 X선은 디지털방사선(digital radiography, DR)시스템을 사용하였다. 최상의 공간분해 능을 도출하기 위해 X선관의 초점크기와 디지털영상후처리 방법을 변화시켰다. 이때 텅스텐을 이용한 에 지방법의 변조전달함수(modulation transfer function, MTF)를 사용하여 선예도(0.5 MTF)와 해상도(0.1 MTF) 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소초점에서 영상후처리의 대조도를 강화시킨 조건에서 3.871 lp/mm (0.1 MTF)와 3. 290 lp/mm (0.5 MTF)의 공간분해능을 얻었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결과는 디지털 의료용 X선을 이용하여 소듐냉각고속로 금속연료봉 내부의 소듐 충전상태를 관찰할 수 있었다.
        207.
        2015.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elected chemical properties of soils in Saururus chinensis Baill (Chinese lizard’s tail) cultivation fields to provide optimal fertilizer application rates and to examine the growth and pharmaco-consitituents of Saururus chinensis Baill as influenced by different amounts of nitrogen (N) fertilizer applica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selected soil chemical properties in 37 cultivation sites of the plant, soil pH, organic matter content, and exchangeable K+ concentration were lower than optimal values for cultivating general medicinal crops even though relatively high standard deviations were found in some of the values. At the harvesting stage of the plant aerial parts, soil pH, electrical conductivity (EC), available P2O5, and exchangeable Ca2+, Mg2+, Na+ decreased as comparing with those before transplanting the plant, whereas the concentration of exchangeable K+ increased in the plot treated with N 100% and compost. Fresh weight of the plant aerial parts were highest, 492.5㎏/10, in the N 100% treatment plot. Correlation equation between N levels treated (X) and yield of the plant aerial parts (Y) presented as Y = −2.1609X2 + 30.082X + 344.12 (R2 = 0.7113) and the optimal rate of N fertilizer application for the plant was 6.6㎏/10a. Carbon concentrations in the plant were not different among the different N levels applied. N and K concentrations in the plant were highest in the plot of N 100% with compost applications, the highest P concentration was in N 100% plot, and the highest Ca and S concentrations were in N 200% plot. Quercetin and quercitrin were highest in the N 150% plot and tannin was highest in N 100% or N 100% with compost application plot.
        208.
        201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y Medical Service Law(below, abbr as ‘Law’), the medical institutions should be established and run by ‘the doctors or the qualified persons’(below, abbr as ‘doctors’), who are permitted by the related laws. And there is a case such as non-doctors establish the institutions, hire doctors and run the institutions, or non-doctors and doctors co-establish the institutions and run the institutions. This kind of act is treated as violations under Law. When, in their running the institutions, doctors treat the patients, which means doctors give the patients the medical care in place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below, abbr as NHIS), doctors ask the costs of the medical care to NHIS. If the costs of the medical treatment(the medical care) do not exist or are exaggerated, the act of asking the costs will constitute Fraud. But if doctors in such institutions described above treat the patients fairly, and then ask NHIS the costs with no falsity or exaggeration, does that act constitute Fraud? This kind of act has not been treated as Fraud until 2013. But from the second half of 2013, this kind of act has been prosecuted as Fraud. Is that prosecution right? Is it guilty as Fraud? Medical treatment has a broad effecion on the health and welfare of people, so business mind should be excluded from medical treatment. And Law has regulations on the qualification of establishing the institutions to prevent the substantial distortion of medical treatment. But if doctors’ treatment is true, which means there is no falsity or exaggeration in medical treatment, then there can not exist the substantial distortion. And the article 57 ① of Law regulates ‘trick or the other undue method’, but I think this kind of act does not conform to the article 57 ① of Law. And even if this kind of act conforms to the article 57 ① of Law, it does not mean that it is Fraud. Because Fraud has the strong character of mala in se, transcendentally the act of Fraud should be evaluated anti-social and immoral. But this kind of act can not be assessed anti-social and immoral transcendentally. And the criminal control on this kind of act can not be the fundamental measure to prevent the financial aggravation of NHIS. And because this kind of act is treated as violations under Law, if the punishment of Fraud is added, it could violate the principle of proportion or principle of subsidiarity.
        209.
        2015.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Korean Oriental medicine has unequal access to some linguistic resources that it shares with biomedicine under the dual medical system despite their comparable legal positions. At the societal level, their asymmetric linguistic hegemonies are encapsulated in, and perpetuated by the Medical Law of Korea (e.g., Ch. 1, Article 2), which consistently marks the former with han- ‘Korean’, while unmarking the latter. However, there has been little empirical research that examines the unmarking norms in unfolding discourse. Noting the paucity,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whether or not the societal marking norms persist at a situational level, particularly in unfolding Oriental medical interactions, and if so, in what forms. To do so, it qualitatively analyzes a data set of 15-hour-long naturally-occurring consultations between Oriental doctors and their patients. It evidences the consistency of the unmarking norms at the situational level and demonstrates that the first-mention references point to biomedical entities even within an Oriental interaction despite the absence of any linguistic markings that favor biomedicine. Thus, potentially ambiguous unmarked first-mentions such as uysa (sensayngnim) 'doctor,' pyengwen 'hospital/clinic,' yak 'drug,' and uyhak 'medical science' are macrolinguistically disambiguated. Consequently, they discursively materialize the macrolinguistic hegemony that biomedicine holds under the dual medical authority. The very fact that such one-way intertextual references pervade even unfolding Oriental discourse with little confusion and resistance is symbolic of biomedical dominance and power asymmetry between the two medicines.
        210.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급격한 도시화, 산업화에 따른 스트레스와 인구 고령화로 인해 의 료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당뇨 및 고혈압 등의 만성질 환으로 인한 의료비가 크게 늘고 있는 가운데 산림을 활용한 건강증 진 활동에 대한 수요 및 공급이 증가되는 추세이다. 주 5일제 시행 및 웰빙과 힐링에 대한 사회적 관심사로 인해 캠핑이나 등산, 휴양림 등 숲을 방문하고자 하는 수요증가와 함께, 자연휴양림 및 산림 치유의 숲등을 통한 국민 건강증진을 위한 산림청의 산림휴양서비스 제공 노력도 계속되고 있다. 이에 본고는 설문조사를 통한 자료를 바탕으 로 자연휴양림에서의 활동이 주관적인 의료비 절감효과에 미치는 영 향을 분석하였다. 피톤치드 등의 산림의 치유인자들에 대한 건강증 진 효과에 대한 연구결과가 발표되고 있지만 실제 자연휴양림에서의 휴양 및 신체활동을 통한 건강증진 효과가 어느 정도이며, 이에 따른 의료비 절감효과가 얼마나 되는지에 대한 통계가 전무한 상태이다. 이에 자연휴양림 방문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자료 수집을 통해 자 연휴양림에서 활동과 의료비 관계를 밝힘으로써 미래에 지출 될 의 료비용을 감소시킬 대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설문에 참 여한 자연휴양림 이용자의 54.1%가 의료비가 감소되었다고 느끼는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자연휴양림 이용 후 연간 병원 방문횟수는 평 균 5.8회가 감소하였다. 또한, 자연휴양림 이용을 통해서 연간 130,162원의 의료비 감소효과를 느끼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으며, 추계된 의료비 감소액을 통해 2012년 자연휴양림 이용자 11,614천 명의 의료비 연간 절감액을 추정해보면 약 1조 5천억 원의 의료비 감 소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것은 2010년도 우리나라 국민 총 의료비 지출 금액 82,927십억 원(MH&W, 2011) 대비 1.8%의 의료비 감소효과가 있는 것으로 앞으로 더 많은 국민이 자연휴양림 을 이용한다면 의료비 감소효과는 더욱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본 논문은 자연휴양림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자료를 분석한 것으로 이용자가 느끼는 주관적인 의료비 감소효과를 추계한 연구로 실제 산림을 통한 건강증진 및 질병치유에 따른 의료비 절감효과와 는 구분되어야 한다. 자연휴양림 방문자들의 의료비지출과 관련한 자료가 전무한 까닭에 연구의 한계가 있으나 설문의 통한 주관적인 의료비 절감효과를 분석한 것에 따라 방문자들의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를 바탕으로 체계적인 자료가 구축되어 진다면 추후 실증적 이고 다각적인 방법으로 연구가 가능할 것이며, 본고가 이에 대한 선 행연구로 도움 될 것으로 기대한다.
        211.
        2014.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국내 방사선사와 고가의료장비의 분포 현황과 증가 추이를 조사하여 방사선사 수급 계획 및 대학생들의 취업 상담 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으며, 관련 협회 및 국가기관 등에서 제공하는 자료를 2014년 8월부터 9월까지 조사하여 활용하였다. 조사결과 국내 요양기관에서 근무하는 방사선사는 2014년 현재 총 18,988명, 인구 10만 명당 37.3명으로 전년 대비 계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로 확인되었으나 매년 방사선사 면허취득자 보다 적은 수였다. 고가의료장비의 분포 현황은 2014년 기준 CT 총 1,873대로 전년대비 감소하였고, MRI와 PET는 각각 1,261대와 207대로 전년대비 증가하였으나 증가 폭이 감소하고 있어 고가의료장비의 증가 추세는 둔화될 것으로 사료된다. 앞으로 방사선사들이 일할 수 있는 다양한 일자리 창출과 함께 질적인 향상은 물론 방사선사 인력 현황의 꾸준한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이다.
        212.
        2014.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의료 분야에서의 불필요한 피폭을 체계적으로 관리해야 한다는 사회적 요구 증가와 더불어 차폐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현재 상용화된 제품은 다양한 의료방사선 분야보다 세분되어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적화된 차폐재의 구조를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 제시하고자 하였다. 모의 추정 결과, 유방촬영 에너지(30 kVp) 스펙트럼에 대하여 단일 차폐재의 경우 30μmPb, 2 mmAl에서 90% 이상의 차폐율을 확인하였고, 이중차폐 구조에서는 0.03 mmPb와 1 mmAl의 설계 시 효율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일반촬영 에너지(80 kVp) 스펙트럼에 대해서는 340μmPb, 30 mmAl에서 90% 이상의 차폐율을 확인하였으며, 이중차폐 구조에서는 0.3 mmPb와 1 mmAl의 설계가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피폭저감을 위한 맞춤형 상용화 제품 개발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13.
        2014.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의료용 선형가속장치는 1952년에 개발된 이후 방사선 치료에 사용되어 왔으며 그 활용도가 더욱 증가하고 있다. 현재는 6 MeV 이상의 광자 에너지를 사용하는 고 에너지 방사선치료가 보편화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광핵반응에 의한 중성자의 생성으로 환자 및 술자에 대한 피폭이 문제가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MCNPX를 사용하여 의료용 선형가속장치에서 발생되는 6~24 MV 광자선의 스펙트럼을 분석하고, 평균에너지 및 텅스텐의 중성자 생성 임계에너지인 7.41 MeV 이상의 광자 개수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8 MV를 시작으로 24 MV에서는 전체 검출 광자 수에 비해 0.59%의 비율로서 광핵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광자수가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214.
        2014.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onsidering possibility of public health risk and environmental hazards, it is important to manage the disposal of“medical waste” properly. Although Korean government has made many efforts to provide safe medical waste managementsystem, some institutional problems are still existing and need to be improved. We focused on medical waste managementin emergency situations. Currently, the most common method of medical waste disposal is off-site incineration, whichaccounts for approximately 99.6% of total waste. However, in case some incineration facilities stopped unexpectedlybecause of fire, strike, breakdown, etc., inappropriate management of the medical waste has been of importantenvironmental concern due to potential secondary infection. This paper presents current limitations of resignment-relatedregulation and suggests improvement methods for effective and safe treatment of the medical waste, especially inemergency situations.
        215.
        2014.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나라의 공공시설 중 의료시설은 유럽, 일본, 미국 등에 비하여 낙후되어 있고 유니버설디자인의 적용은 더 더욱 거리가 멀다. 2010년에 우리도 고령화 사회에 접어들어 65세 이상의 노인인구가 전체 인구의 14%를 넘었다. 따라서 의료시설을 이용하는 노약자들이 불편 없이 이용할 수 있는 의료시설들이 늘어갈 것에 대비하여 누구나가 편리하게 접근하고 이용할 수 있는 시설이 되기 위해 갖추어야 할 조건 등을 외국의 사례를 통하여 그 기준을 찾아보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실내의 바닥면은 요철 부위가 없어야 하고 조명은 조명기능 이외에 목적지를 찾아 갈 수 있는 길 안내의 기능과 외부에서 들어오는 빛은 내부의 조명과 혼합되어도 실내의 조도가 일정하게 조절되어 시야의 편안함을 유지해야 되는 등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216.
        2014.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에너지 변화에 의하여 발생하는 콤프턴 산란이 화질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하여 웨이브릿 변환으로 신호의 특성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에너지의 변화에 따른 산란선의 화질영향 정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공학용 도구인 MatLab Tool을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작성하였고, 작성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관전압 증가에 따른 산란선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평가결과 CR과 DR 모두 관전압 변화에 따라서 고주파영역의 주파수 변화가 있는 것으로 보아 콤프턴 산란선의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급격한 주파수의 변화가 나타나는 관전압 영역이 CR은 80 kVp, DR은 90 kVp로 나타난 것으로 보아 DR의 검출기는 에너지에 대한 민감도가 낮은 것으로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로 보아 CR보다는 DR이 에너지가 높은 방사선에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공학용 도구인 MatLab Tool을 이용한 영상의 화질평가 방법이 공식적인 화질평가의 방법으로 인정되어 유용하게 적용될 것을 기대한다.
        217.
        2014.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에서는 프랙탈 부호화시 변환식의 계수를 찾는 과정에서 블럭의 탐색영역을 줄이기 위해 탐색영역인 도메인 블럭의 특성을 화소의 밝기의 평균에 의한 클래스와 분산에 의한 클래스로 분류하여 리스트를 구성한 후 레인지 블럭과 같은 클래스를 가지는 도메인 블럭만 검색하도록 하면서 도메인 블록 탐색시 1차 허용 오차 한계값을 제어하여 리스트 탐색시 RMS값에 일정 허용오차 이내의 값을 가지면 리스트를 끝까지 탐색하지 않고 변환값을 결정하도록 하여 부호화 시간을 향상시켰다. 또한 퀴드트리 분할법으로 레인지 블럭의 크기를 가변시켜 변환(wi)의 수를 줄임으로서 압축효율을 높이고 도메인 레인지 블럭의 크기에 따라 탐색 영역의 탐색 밀도와 허용오차를 변화시켰을 때 화질 개선여부를 검토하였다. 제안된 방법으로 부호화한 결과 부호화 시간은 허용오차의 범위에 따라 향상되며 압축효과는 높아졌고 PSNR값은 다소 떨어졌으나 거의 무시할 수 있을 정도의 변화가 있었다.
        218.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연구에서는 기존의 납을 대체할 수 있는 의료 방사선 차폐제품 적용을 위해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통해 바륨화합물의 두께별 차폐능을 모의 추정하였다. 차폐재 물질로는 황산바륨(BaSO4)을 이용하였고, 시편의 면적은 15 × 15 ㎠, 황산바륨의 밀도는 4.5 g/㎤ , 납의 밀도 11.34 g/㎤를 적용하여 차폐재 시편의 두께를 0.1 ㎜부터 5 ㎜까지 시뮬레이션 하였다. 입력 선원은 연속 X-ray 에너지 스펙트럼(40 kVp ∼ 120 kVp)에서 10kVp Step으로 시뮬레이션하였다. 40 kVp ∼ 60 kVp에서의 흡수확률은 3 ㎜ ∼ 5 ㎜ 두께에서는 납과 동일한 차폐능을 나타내었으나, 2 ㎜ 이하에서는 차폐능이 기존 납 차폐재에 비해 다소 차폐능이 떨어지는 결과로 나타났다. 또한 70 kVp ∼ 120 kVp 에너지대역에서의 차폐능은 기존 납 차폐재와 유사한 성능을 보였지만, 0.5 ㎜ 이하에서는 다소 낮은 차폐능으로 모의 추정되었다. 본 연구는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통해 의료용 엑스선 에너지 대역에 대한 두께 함수로써 바륨화합물의 차폐능을 추정하여 기존의 납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순수한 황산바륨의 의료용 방사선 차폐제품 적용가능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의료 방사선 에너지 대역 70 kVp ∼ 120 kVp 에서 최소 2 ㎜ 이상의 바륨화합물 두께에서 기존납 1.5mm 대비 95% 이상의 차폐효과가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본 결과는 의료용 방사선 차폐제품의 경량화 제작에 기초 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219.
        201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대상사건에서 무수혈에 의한 고관절 시술을 요구한 피해자의 요청에 응한 피고인은 피해자에 대한 인공고관절 치환술을 계속 진행하게 되면 대량출혈의 개연성을 갖고 있음을 예견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피해자에 대한 시술행위를 중단하지 않고, 진행하였다. 그 결과 피해자의 대퇴골부 주변에 있던 혈관이 파열되었고, 그 파열된 혈관에서 3500cc 이상의 출혈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급격한 대량출혈은 일반적으로 범발성 응고장애를 야기하기 때문에, 피해자도 이런 장애로 지혈이 되지 않아 죽게 되었다. 대상사건의 사실관계가 이와 같다면, 피해자는 무수혈에 의한 수술 때문에 사망한 것이 아니지만, 피고인의 의료과실에 의한 수술로 사망한 것은 인정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왜냐하면 피고인의 피해자에 대한 고관절수술은 처음부터 대량출혈의 가능성이 예상되었고, 수술과정에서 그런 출혈의 높은 개연성을 인식할 수 있었으며, 그렇다면 시술하지 말거나 중단했어야 함에도 피고인은 피해자에 대한 수술행위에 착수하였을 뿐만 아니라, 중단하지도 않음으로써 범발성 응고장애를 야기한 대량출혈을 일으켜 피해자를 죽게 하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피고인은 의료인으로서 요구되는 주의의무를 위반한 시술행위로 피해자를 죽게 함으로써 업무상과실치사상죄에 해당된다고 할 것이다. 한편 대상사건의 경우 피해자를 위한 인공고관절 치환술을 무수혈 방식으로 시술하는 과정에서 무수혈 방식을 요청한 피해자의 자기결정권 내지 피해자의 승낙은 업무상 과실치사죄의 위법성 조각과는 직접적 관련이 없어 보인다. 혹여 피고인의 행위가 피해자에 의한 무수혈 방식의 지속적 요청에 부합한 수술행위이며 그 결과로 피해자가 사망에 이르렀다고 하더라도, 대상사건의 경우 피해자가 인공고관절 치환술로 죽을 수 있음을 충분히 예상하고, 무수혈을 승낙한 것으로 보이지 않기 때문에, 피해자의 승낙에 의해 위법성도 조각될 수 없다.
        220.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일반 X선 검사에서 CR 시스템을 이용한 환자의 근사적 피폭 선량을 평가할 수 있는 실험적 모델을 제시하고 저선량 영역에서 의료 피폭에 대한 방어의 최적화 조건으로 환자의 선량 권고량(diagnostic reference level.DRL)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준선량계와 광자극발광선량계(optically stimulated luminescencedosimeters. OSLDs)를 이용하여 관전압(kVp) 및 관전류‧노출시간의 곱(mAs)에 따른 입사표면선량(entrance surface dose. ESD)을 교차 측정하였으며 CR 시스템에서 각 노출 조건에 대한 Hounsfield unit (HU) scale을 측정하여 ESD와 HU 스케일에 대한 특성 관계를 이용하여 근사적 피폭 선량을 구하였다. 또한 임상적으로 적용 가능한지를알기 위하여 두부, 경부, 흉부, 복부, 골반부 노출 조건으로 물 팬텀에 모사하여 피폭 선량을 구하였다. 결과적으로 두선량계의 평균 ESD는 각각 2.10, 2.01, 1.13, 2.97, 1.95 mGy 이었으며 CR 영상에서 측정한 HU 스케일은 각각 3,276±3.72, 3,217±2.93, 2,768±3.13, 3,782±5.19, 2,318±4.64 이었다. 이 때 ESD와 HU 스케일에 대한 특성 관계를 이용하여 근사적으로 구한 ESD는 각각 2.16, 2.06, 1.19, 3.05, 2.07 mGy이었으며 평균 측정값과 근사적으로 구한 ESD의 오차는 3% 미만으로 영상의학 분야의 측정 오차 5%를 감안한다면 신뢰할 수 있는 오차 범위라 할 수 있었다.결론적으로 CR 시스템을 이용한 일반 X선 검사에서 환자의 피폭 선량을 근사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새로운 실험적 모델을 제시하였으며 CR 검사뿐 만 아니라 디지털 방사선촬영(digital radiography. DR) 시스템 및 필름-증감지 시스템에 적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11 12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