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39

        201.
        201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we analyze changes in soil heat flux and air temperature in August (summer) and January (winter) according to net radiation, at a mud flat in Hampyeong Bay. Net radiation was observed as -84.2~696.2 W/m2 in August and -79.4~352.5 W/m2 in January. Soil heat flux was observed as -80.7~139.5 Wm-2 in August and -49.09~137 W/m2 in January. Air temperature was observed as 24.2~32.9˚C in August and -1.5~11.1˚C in January. The rate of soil heat flux for net radiation (HG/RN) was 0.17 in August and 0.34 in January. Because the seasonal fluctuation in net radiation was bigger than the soil heat flux, net radiation in August was bigger than in January. We estimated a linear regression function to analyze variations in soil heat flux and air temperature by net radiation. The linear regression function and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for the soil heat flux by net radiation was y=0.19x-7.94, 0.51 in August, and y=0.39x-11.69, 0.81 in January. The time lag of the soil heat flux by net radiation was estimated to be within ten minutes in August 2012 and January 2013. The time lag of air temperature by net radiation was estimated at 160 minutes in August, and 190 minutes in January.
        202.
        201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중성자에너지 영역 0.003 eV에서 10 eV에 대해 천연 Sm의 Sm(n,γ) 반응에 대한 중성자 포획단면적을 측 정하였다. 교토대학교 원자로실험소의 46-MeV 전자선형가속기에서 발생되는 전자의 광핵반응에 의한 중 성자를 사용하였고 TOF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사용한 검출기는 12개의 BGO(Bi4Ge3O12) 섬광체로 구성되었 고 이 검출장치로 Sm(n,γ) 반응으로부터 나오는 즉발감마선을 측정하였다. 검출장치는 중성자 생성 위치로 부터 12.7±0.02 m 위치에 설치되었으며 10B(n,αγ)7Li 반응을 이용해 Sm 시료에 입사되는 중성자 선속을 구 하였다. 또한 중성자 선속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BF3 검출기로 모니터링 하였다. Sm(n,γ) 반응단면적 측 정결과는 BROND 2.2에 의한 평가결과와 J. C. Chou 및 V. N. Kononov 의 측정값과 비교하였다.
        203.
        2015.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effects of Houttuynia cordata powder on the growth performance of ducks were investigated. Ninety ducks were assigned into one of three dietary treatments as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for 6 weeks: feeds supplemented with 1% or 2% H. cordata and a control group.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feed conversion among the three groups (p > 0.05), but addition of H. cordata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p < 0.05) on initial and final body weight, weight gain, and feed intake of the ducks. Furthermore, the effects of chemical treatment (comprising 50 g and 100 g aluminum chloride [AlCl3] per kilogram litter) on the ammonia (NH3) flux in duck litters were also investigated. Duck litter was treated with AlCl3 at a depth of 8 cm by top-dressing; this resulted in a significant difference on NH3 flux (p < 0.05)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but not at 2 weeks). NH3 flux at 6 weeks were reduced by 25.4% and 37.5% by treatment with 1% and 2% H. cordata, respectively,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s. In conclusion, enriching the diets of the ducks with 2% H. cordata and adding 100 g AlCl3 to their litter has beneficial effects on increasing their growth performance and reducing NH3 flux in their environment.
        204.
        2015.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examined pollution level of sediment in Sookchun lake, and studied dredging validity by examining phosphorous release characteristics on surface polluted soil. Total phosphorous, the principal cause of algal blooms, exceeded dredging assessment standards regarding Daechung lake (1.5 mg/g) at all points. Also at all points, total nitrogen exceeded the dredging assessment standard regarding Paldang Lake (1.1 mg/g), but fell short of the standard regarding Daechung lake (3.0 mg/g). Dredging zone was suggested in this study is Chuso water body (WS-6∼WS-12) in Sookchun lake. In relation to sediment pollution levels measured at different depths, LOI tended to decrease as it became deeper. The concentrations of T-N varied depending upon the depth as well as points, but no regular pattern was observed. The depth and site did not significantly influence T-P. From the results of phosphorous release tests, it was shown that total phosphorous release flux was calculated to be 7.2∼15.4 mg/m2/d for anaerobic condition, 0.5∼2.0 mg/m2/d for aerobic condition and 2.0∼4.1 mg/m2/d for facultative condition. Release flux and T-P concentration of surface sediments had positive correlation (R2 0.7871). And The corelation between release flux and DO condition in reactor had strong negative correlation (R2 0.8824).
        205.
        2014.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large diameter cable NDE technique was based on the direct current (DC) magnetization technique and a search coil-based magnetic flux measurement. A total flux sensor head was fabricated that was consisted by a magnetization part to magnetize the specimen and a sensing part to measure the total magnetic flux. The magnetization part was consisted by an electro-magnet yoke that fabricated by winding a coil. The magnetic field for magnetizing the main cable was generated by applying the low frequency DC voltage to the winded coil. The sensing part was configured by two semi-circular search coils, and it measures the electromotive force that pass through the search coil by using the faraday’s law of induction. Total flux was calculated by integrating the measured magnetic flux. Then, B-H curve was extracted using the total flux, and cross-sectional loss can be detected using variation of features from the B-H curve.
        206.
        2014.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large diameter cable NDE technique was based on the direct current (DC) magnetization technique and a search coil-based magnetic flux measurement. A total flux sensor head was fabricated that was consisted by a magnetization part to magnetize the specimen and a sensing part to measure the total magnetic flux. The magnetization part was consisted by an electro-magnet yoke that fabricated by winding a coil. The magnetic field for magnetizing the main cable was generated by applying the low frequency DC voltage to the winded coil. The sensing part was configured by two semi-circular search coils, and it measures the electromotive force that pass through the search coil by using the faraday’s law of induction. Total flux was calculated by integrating the measured magnetic flux. Then, B-H curve was extracted using the total flux, and cross-sectional loss can be detected using variation of features from the B-H curve.
        207.
        201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e investigated the spatiotemporal variations of dissolved inorganic nutrients along a saline gradient to estimate nutrient fluxes in the Seomjin River estuary during dry (March 2005, March 2006, March 2007, and March 2008) and rainy seasons (August 2005, July 2006, July 2007, and July 2008). Dissolved inorganic nitrogen concentrations were similar in the endmembers of freshwater for the rainy and dry seasons. In contrast, the concentrations of dissolved inorganic phosphate and silicate in the rainy season were approximately 2-3 times higher than those in the dry season. River discharge was approximately 10 times higher in the rainy season (212 m3 sec-1) than in the dry season (21 m3 sec-1). The fluxes of dissolved inorganic nitrogen, phosphate, and silicate were 2.91, 0.004, and 2.51 tons day-1 in the dry season and 7.45, 0.421, and 30.5 tons day-1 in the rainy season, respectively. Although the range of nutrient concentrations were similar to previous results from investigations in the Seomjin River estuary, the nutrient fluxes were differed according to river discharge for different survey periods.
        208.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경주 양동마을은 안동 하회마을과 함께 2010년 한국의 역사마을로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양동마을을 이루고 있는 가옥의 대부분은 불에 취약한 목재 및 초가가옥으로 구성되어있다. 특히 산림과 인접해 있어 산불로부터 화재위험성에 노출되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산불재해로 인한 양동마을 가옥들의 화재 위험성에 대해 Heat Flux 영향 평가를 실시하였다. 또한 각 가옥의 재질을 이루고 있는 물질의 착화위험성 평가를 함께 실시하였다. GIS 래지스터 분석을 통하여 양동마을의 가옥위치정보와 가옥의 재질에 대한 정보처리 실시와 산불로부터 발생되는 Heat Flux 수치해석을 통해 산림으로부터 인접한 가옥별 산불로부터 화재발생 위험 가옥들에 대한 위험지도를 구축하였다. 그 결과, 양동마을 가옥 중 산불로부터 직접적인 화재위험성에 노출된 가옥이 약 10%에 이르렀고 가옥간의 2차 화재 전파로 피해가 예측되는 가옥이 전체 가옥의 5%에 해당되었다. 이에 산불로부터 화재에 취약한 가옥들에 대해 주변 산림연료 제거 및 이격 공간 확보, 수막시설 설치 등의 산불예방 및 진화를 위한 방법이 강구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209.
        2013.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전 세계적인 환경문제로 인식되는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온실가스 배출량 파악이 필수적이다. 온실가스 배출량은 기후변화협약에 의거하여 일관된 방법론에 따라 산정하고 정기적으로 갱신 및 공표하고 있는데, 산정방법론은 IPCC에서 제시하는 Tier 1~3 수준으로 각 주체별 실정에 적합한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산정방식은 기본적으로 활동도 자료(activity data)와 배출계수(emission factor)를 곱하는 형태를 취하기 때문에 정확한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을 위해서는 활동도 자료로써의 항목별 통계자료를 확보하는 한편, 불확도 평가가 수반된 배출계수를 이용하여야 한다. 한편, 온실가스 배출부문 중에서도 폐기물 부문에서 배출되는 메탄은 혐기반응에 의하여 생성되고 매질의 내부와 대기의 압력 차에 의한 가스 이동으로 인하여 표면으로부터 대기 중으로 확산된다. 그러나 메탄 생성과소비, 이동 과정에서의 시간적・공간적 편차가 매우 크기 때문에 완전무결한 실측 기법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지금까지 다양한 측정 기법이 제안된 바 있으며, 현장 조건과 장단점에 따라 여러 가지 실측 기법이 선택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Flux chamber method는 표면에서 발산되는 가스를 직접적으로 측정하여 배출량을 산정하는 기법으로, 다양한 매질에 적용 가능하고 장비의 구조가 비교적 단순하여 제작과 운용이 편리하고 경제적이다. 뿐만 아니라, 검출한계가 낮으면서 정확도와 정밀도가 우수한 측정값을 얻을 수 있어 국내・외 여러 분야의 배출량 연구에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발산량이 과소평가되는 경향이 있고, chamber 내에서 가스가 희석될 수 있는 단점이 있는데, 이는 chamber의 설계 및 운용상의 변수를 최적화함으로써 개선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flux chamber method의 운용조건과 제반변수를 최적화하여 측정기법의 현장 적용성을 개선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대전광역시 고형폐기물 매립지의 전 면적에서 배출되는 메탄가스를 실측함으로써 연간 배출량을 산정하였다.
        210.
        2013.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cently, two instruments of cosmic ray are operating in South Korea. One is Seoul muon detector after October 1999 and the other is Daejeon neutron monitor (Kang et al. 2012) after October 2011. The former consists of four small plastic scintillators and the latter is the standard 18 NM 64 type. In this report, we introduce the characteristics of both instruments. We also analyze the flux variations of cosmic ray such as diurnal variation and Forbush decrease. As the result, the muon flux shows the typical seasonal and diurnal variations. The neutron flux also shows the diurnal variation. The phase which shows the maximum flux in the diurnal variation is around 13-14 local time. We found a Forbush decrease on 7 March 2012 by both instruments. It is also identified by Nagoya multi-direction muon telescope and Oulu neutron monitor. The observation of cosmic ray at Jangbogo station as well as in Korean peninsula can support the important information on space weather in local area. It can also enhance the status of Korea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of cosmic ray experiments.
        211.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teel cables are frequently used for various infrastructures. Especially the steel cables in long span bridges are critical members Damage at cable members can occur in the form of cross sectional loss caused by corrosion and fracture. Therefore, NDE of steel cable is needed to measure the cross-sectional damage. In this study, Total Magnetic Flux sensor system was applied to monitor the condition of cables. This system measures total magnetic flux to detect the loss of metallic cross section area(LMA) of steel cable. To verify the feasibility of this study, 2 types of steel bar were fabricated and their output values measured by the search coil in total flux sensor.
        212.
        201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기후변화로 야기될 수 있는 태양복사에너지의 공간적인 불균형은 수자원을 포함한 전반적인 생태 시스템에서의 에너지 불균형을 초래한다. 따라서 정확한 에너지의 흐름을 이해하기 위하여 정량적인 관측을 목적으로 하는 플럭스 타워가 세계 곳곳에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다. 국내의 주요 지역에서도 플럭스 타워를 통안 관측이 실시되고 있는 데, 본 연구에서는 이 중 설마천과 청미천 유역의 플럭스 타워의 자료를 대상으로 수문기상 및 생태학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에너지원인 하향 단파 및 장파 복사량과 순복사량을 기존의 연구에서 제안된 물리식을 기반으로 계산하고, 산정된 순복사량과 관측 자료를 비교·검증하였다. 이를 통하여 관측이 미흡한 수문기상인자에 대해 기존의 물리적인 방법의 사용 가능성 및 관측 자료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213.
        2012.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Headwaters initiate material export to downstream environments. A nested headwater study examined the flux of dissolved constituents and water from a perennial stream and four ephemeral/intermittent streams in the Upper Gulf Coastal Plain of Mississippi. Water was collected during storm and baseflow conditions. Multiple linear regression was used to model constituent concentration and calculate flux. Event was the major source of water discharged from the ephemeral and intermittent streams however, baseflow was the major source for water discharged by the perennial stream during events. The perennial stream had an area weighted average yields of 10.1, 0.01, 1.03, 0.65 kg/ha/yr of DON (dissolved organic nitrogen), NO3 --N, NH4 +-N and PO4 -3, respectively while large variabilities existed between the ephemeral and intermittent streams.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headwaters in protecting the low order drainage basins as a key to water quality within perennial streams.
        214.
        2012.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현재 지구는 급속한 기후변화를 겪고 있으며, 이에 따라 기후변화와 그것이 인류에 미치게 될 영향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이로 인한 수자원 분야의 불가피한 변동에 따라 수문기상인자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필요하게 되었으며, 이를 위해 각종 지표모델을 활용한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 중 Noah LSM은 다층 토양 모델로 비교적 단순한 입력자료로 토양수분, 토양온도, 지표온도, 지표상의 물과 에너지의 흐름에 대한 결과를 산출할 수 있다. 국외에서는 Noah LSM을 활용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이와 달리 국내에서의 Noah LSM을 이용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해남지역에서의 KoFlux 타워의 관측자료를 Noah LSM의 강제입력자료로 사용하여 모형을 구동하였다. 모형의 결과로 산출된 에너지플럭스 중 순복사량, 현열 그리고 잠열을 지점 관측자료와 비교함으로서 Noah LSM의 국내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215.
        2012.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전 세계 여러 플럭스네트워크에서 적용되는 에디공분산 기법은 지표와 대기간의 에너지 및 물질의 순환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서, 기후변화에 따라 가속화 되고 있는 수문학적 인자(증발산 등)의 변화양상을 연구하는 데 유용하게 쓰인다. 그러나 에디공분산 기법은 기본적인 여러 가정 사항(균질한 표면, 난류장 발달, 정상성 등)을 내포하고 있으며, 실제 환경에서 이와 같은 조건을 모두 충족시키기는 어렵기 때문에 불확실성이 내포되어 있다. 따라서 측정된 자료에 관한 품질관리 수행이 필수적이며, 이를 통한 보다 양질의 자료 생산이 가능하다. 30분 단위로 제공되는 플럭스타워 증발산 자료는 월 평균 약 10% 내외의 결측자료가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품질관리에는 결측자료에 관한 보충작업(Gap-filling)이 포함되어야 한다. 세계 여러 플럭스 네트워크에서는 결측자료 보충 방법에 관한 여러 연구가 현재 진행 중에 있으며, 이중에는 주로 미기상학적 인자를 활용한 대체증발산 산정 방법이 채택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토해양부의 기초 수문자료 구축사업 일환인 KoFlux 네트워크의 설마천(혼효림), 청미천(농경지) 관측지에서 측정된 증발산자료 관한 품질관리를 수행하였으며,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FAO)에서 제시한 FAO-56 Penman-Monteith(FAO-PM) 방법을 활용하여 대체증발산 산정하여 결측자료 보충에 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두 관측지의 미기상학적 인자를 활용하여 FAO-PM 방법에 적용한 결과, 에디공분산 기법으로 산정된 증발산 자료와의 경향성이 뚜렷하였으며 이를 통해 결측자료 보충 방법으로서의 활용 가능성에 대해 파악할 수 있었다.
        216.
        2011.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environmental changes related to hypoxic water mass were investigated at Gamak bay in summer times, June, July and August 2006. The hypoxic water mass was found, in first, at the northern area of Gamak bay on 27 June. This water mass has been sustained until the end of August and disappear on 13 September. In Gamak bay, the hypoxic water mass was closely related to geography. During the formation of oxygen deficiency, changes in dissolved nutrients was studied and found that on surface layer and lower layer, DIN were 0.80 μM~19.8 μM(6.03 μM) and 1.13 μM~60.83 μM(10.66 μM), and DIP were 0.01 μM~0.92 μM(0.24 μM), and 0.01 μM~3.57 μM(0.49 μM), respectively, far higher distribution on lower layer of the water where hypoxic water mass was occurred. The configuration of phosphorus was analyzed to figure out the possibility of release of phosphorus from sediments. It was found that the Labile-Phosphorus, which is capable of easy move to water layer by following environmental change was found more than 70%. Therefore, in Gamak bay, it was found that the possibility of large amount of release of soluble P into the water, while hypoxic water mass was occurred in deep layer was higher. It is suggested that DIP in the northern sea of Gamak bay mainly sourced from the soluble P from lower layer of the waters where hypoxic water mass was created more than that from basin. However, existence form of phosphorus in sediments during normal times, not during creation of hypoxic water mass, needs further study.
        217.
        201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bjectives of this research are to investigate the proper coagulation conditions which are a type and doses of coagulants, mixing conditions (velocity gradients and mixing times), pH and so on through Jar-test, to evaluate the flux variations, permeate, backwashing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pretreatment of the wastewater by means of MF membranes for river maintenance water reuse. The effluent water from B-city K-sewage treatment plant are used for this research. Turbidity and suspended solids(SS) are 14.2 NTU and 10.4 mg/L respectively. This condition causes fouling for membrane process. The flux decline could be reduced when coagulation pretreatment was carried out. Optimal coagulations PAC which are commonly used in the sewage treatment plant was observed in this research. The results indicate that an optimal coagulation dose and pH are 80 ppm and pH of 7 respectively, but coagulation efficiency was lower at strong acid or strong base. Results showed that continuous and steady operations in membrane separation process by means of the effective removal of organic matter and turbidity with coagulation pretreatment of sewage secondary effluent were achieved.
        218.
        200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마른하도 및 복잡한 지형에서의 파의 전파와 같은 수공학 분야에서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를 해석하기 위한 고정확도 2차원 수치모형을 개발하기 위해, unsplit 유한체적기법과 HLLC Riemann 해법을 이용한 흐름율 계산으로 쌍곡선형 적분 보존형의 2차원 천수방정식을 해석하였다. Unsplit 기법의 적용을 위해 하상경사항은 발산정리를 이용하여 이산화한 형태를 적용하였으며, 흐름율과 생성항의 균형을 이루기 위해 수면경사법을 시간과 공간에
        220.
        200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알루미늄 스트레스가 녹두에 미치는 영향을 보기 위해 뿌리의 생장, 알루미늄 함량, 뿌리 표면의 pH 변화, 원형질막의 H+-ATPase 활성과 단백질 양의 변화를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1. 처리된 알루미늄의 농도는 10, 25, 50, 100uM 이었으며, 알루미늄에 의한 뿌리생장의 억제는 25uM 이상의 농도 처리구에서 12시간부터 현저히 나타났고, 50과 100uM 처리구에서는 뿌리의 생장이 거의 중단되었다. 2. 0.2% Hematoxlin으로 염색 시 알루미늄이 처리된 근단부에서 주로 염색되었으며, 50uM 농도로 처리된 뿌리의 경우 12시간째보다는 24시간째에 근단부 전체가 염색되어 그 피해가 심각함을 보여 주었다. 또 근단 부위가 대조구와 비교하여 어두운 갈색을 나타내고, 표면이 가로 쪽으로 갈라졌다. 3. 처리 농도별 근단부(1 cm)와 근단부를 제외한 부위의 뿌리로 나누어 24시간 처리를 한 후 알루미늄 함량을 측정한 결과, 10uM 처리구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알루미늄 처리 농도가 높을수록 즉, 25uM 이상 알루미늄 처리구에서는 근단부에서 2.5배 이상 높았다. 4. pH 지시약과 agarose plate technique를 이용하여 뿌리표면의 H+-flux 의 차이를 본 결과 녹두의 근단부 표면의 알카리화가 대조구에서는 12시간 정도부터 노란색(pH 4.5)에서 보라색(pH 6.0 이상)으로 변하는 것을 관찰하였으나 알루미늄 처리구에서는 색깔의 변화를 볼 수 없었다. 5. 24시간 동안 50uM 알루미늄을 처리한 뿌리 원형질막 H+-ATPase 활성은 대조구에 비해 56%가 억제 되었다. H+-ATPase 단백질의 발현을 조사한 Western blotting 결과는 효소 활성의 감소와 유사하게 알루미늄이 처리된 뿌리에서 현저하게 줄어들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11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