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83

        221.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를 통해 한국미기록속인 Pseudalelimma속과 본 속에 속하는 1종, Pseudalelimma miwai Inoue가 강원도 영월지역에서 채집되어 한국 미기록종으로 기록된다. 본 고에서는 이들의 채집지 기록, 국내외분포 및 알려진 기주식물 정보 등을 정리하여 보고한다.
        3,000원
        222.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산 딱부리반날개속(Stenus Latreille)의 미기록 3종[Stenus (Stenus) latissimus latissimus Bernhauer, S. (S.) hammondi Puthz 및 S. (Hypostenus) dissimilis Sharp]을 보고한다. 성충 사진, 수컷의 생식기 및 9번째 복판 그림을 제시한다.
        4,000원
        223.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명나방과의 2종, Hypsopygia iwamotoi Kirpichnikova & Yamanaka, 1995와 Synaphe amuralis (Hampson, 1900)이 중국에서는 처음으로 보고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2종에 대하여 재기재하고 성충 및 생식기의 도해도를 제시하였다.
        4,000원
        224.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접시거미 4종 을 한국미기록종으로 보고한다; Centromerus sylvaticus (Blackwall,1841) (가우리접시거미), Ryojius japonicus Saito and Ono, 2001 (오이접시거미), Sachaliphantes sachalinensis (Tanasevitch, 1988) (극동접시거미), Tmeticus vulcanicus Saito and Ono, 2001 (화산애접시거미). 4속 역시 한국미기록속이다; Centromerus Dahl,1886 (가우리접시거미속), Ryojius Saito and Ono, 2001 (오이접시거미속), Sachaliphantes Saaristo and Tanasevitch, 2004 (극동접시거미속), Tmeticus Menge, 1868 (유럽애접시거미속). 종의 사진 자료와 진단을 위한 그림이 제공된다.
        4,000원
        225.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통나방과의 1종, Coleophora virgaureae Stainton의 국내분포를 처음으로 보고한다. 경기도 수리산에서 채집된 암컷 표본을 근거로 본 종의 종 동정에 필요한 성충과 생식기 사진을 함께 기재한다.
        3,000원
        226.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코뿔애접시거미속 (Walckenaeria)의 3종, 내장애접시거미 (Walckenaeria chikunii), 북방애접시거미 (Walckenaeria furcillata), 계곡애접시거미 (Walckenaeria ichifusaensis), 를 한국미기록종으로 보고한다. 북방애접시거미 (W. furcillata)는 구북구에 널리 분포하고 있으나, 내장애접시거미 (W. chikunii)와 계곡애접시거미 (W. ichifusaensis)는 일본내의 모식산지에서만 알려져 있다. 사진과 진단형질의 그림을 첨부하였다.
        4,000원
        227.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울릉도 성인봉의 토양 시료에서 발견한 육각사다리응애 (신칭, Punctoribates hexagonus Brelese, 1908)를 국내에서 처음으로 보고한다. 이종의 형태적 특징을 기재하고 지리적 분포 정보를 제시한다.
        4,000원
        228.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산 거저리과 르위스거저리아과에 속한 미기록종 Ades masidai Nakane (딱정벌레목: 거저리과) 보고하고자 한다. 이 종에 대한, 재기재문, 진단형질 그림과 성충사진을 표시하였다.
        3,000원
        230.
        2013.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나비목에 속하는 꼬마굴나방과는(Nepticulidae) 성충의 크기가 수 mm로 나비목 중에서 가장 작은 종들이 포함된 분류군으로, 전 세계적으로는 11속에 800여 종이 기록되어 있다(Davis, 1999; Nieukerken, 1985). 꼬마굴나방과의 연구는 주로 유럽의 학자들에 의해 구북구 지역을 중심으로 이 루어 졌으나, 아시아 지역의 종이 연구 된 것은 1970년대에 들어서이다. 일본의 경 우 Kuroko (1982, 1999), Kemperman & Wilkinson (1985), Kumata & Nakatani (1995) 등에 의해 약 65종이 기록되어 있으며, 중국의 경우 Nieukerken & Liu (2000), Liu & Nieukerken (2001), and Nieukerken (2008) 등에 의해 13종이 기록 되어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Park(1983)에 의해 처음으로 소개 되었으나, 종에 대한 동정은 이루어지지 않고 Stigmella sp.로 보고되었다. 이후 Lee & Byun(1997)에 의 해 2속 3종이, Stigmella fumida Kemperman et Wilkinson, S. aladina Puplesis, and Bohemannia nuvila Puplesis, 보고된 것이 전부 일정도로 우리나라에서는 연구가 되지 않은 분류군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립수목원에서 수행한 자생생물상 조사 및 표본인프라 구축 사 업을 통해 확보된 표본 검경한 결과 Stigmella dentatae Puplesis 등 3종의 한국미기 록종이 확인 되었기에 보고한다.
        231.
        2013.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종이기록물 보관 시 해충에 의한 직, 간접적인 피해예방 및 소독약제, 소독처리 방법에 따른 살충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공시충으로 화랑곡나방 유충, 거짓쌀 도둑거저리 성충 및 유충, 어리쌀바구미 성충, 곡식수시렁이 유충 등을 사용, 실험 묶음책 내부에 이들 공시충을 투입하고 상, 중, 하, 노출조건으로 위치시켜 부산국 가기록원 원내 소독지침에 따라 처리 한 결과, 화랑곡나방 유충과 거짓쌀도둑거저 리 성충은 상, 중, 하, 노출 모든 처리위치에서 100%의 치사율을 보였으며, 거짓쌀 도둑거저리 유충은 70~85%의 치사율로 상, 중, 하 처리위치 간 차이가 없었으며 (df=2, F=0.76, P>0.05), 어리쌀바구미 성충은 노출 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70%, 나 머지 처리위치에서는 32~52%의 치사율로 처리위치 간 치사율의 차이는 보이지 않 았다(df=2, F=2.19, P>0.05). 또한, 실험 묶음책을 세워서 거치 시킨 후 소독처리를 한 경우, 묶음책 내부에서 곡식수시렁이 유충은 치사수가 1마리, 어리쌀바구미 성 충은 8.5마리, 거짓쌀도둑거저리 유충은 18마리, 특히 화랑곡나방 유충과 거짓쌀 도둑거저리 성충에서는 20마리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실험곤충을 묶음책 내부가 아닌 외부에 노출시켜 처리한 경우 곡식수시렁이 유충의 치사수 1마리를 제외한 모든 실험곤충에서 치사수가 20마리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기록물 보존 시 해충의 서식위치, 소독처리 방식, 해충의 종류에 따라서 살충효과가 크게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232.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uplachionaspis속(屬)의 D. divergens (Green, 1899) 1종을 국내분포로 처음 보고하고, 동 속과 종의 특징, 동아시아산 Duplachionaspis속(屬)의 종 동정에 필요한 검색표, 사진자료, 분포 및 기주 정보를 함께 기재하였다.
        4,000원
        233.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먼지벌레류 중에서 Dischissus japonicus (신칭: 작은털보먼지벌레)를 국내 첫 보고하며, 특이사항과 성충사진을 제공하고자 한다.
        234.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난 1970년이래 헝가리자연사박물관의 북한지역 탐사를 통해 채집조사되어 보관된 표본을 대상으로 검경한 결과 북한산 잎말이나방과 12종이 추가로 분류 동정되어 보고한다. 이중 2종(Notocelia rosaecolana Doubleday, Rhopobota ustomaculana Curtis)은 북한지역에서는 처음으로 보고되는 북한미기록종이었다. 이외에 보고되는 10종은 주로 기존문헌에 목록에만 포함되어 있어 정확한 분포정보들이 없어왔던 종들로 금번연구를 통해 새로운 분포지가 기록되는 종들이다. 본 연구에서는 금번에 보고되는 2종의 북한미기록종과 새롭게 채집지가 확인된 10종의 목록을 정리하여 보고하며 각 종별로 채집지기록, 국내외 분포 및 기주식믈정보 등을 제시하였다.
        4,000원
        235.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산 애기버섯벌레과(Ciidae, Leach)에 속한 애기버섯속(Cis Latreille) 분류학적으로 검토하였다. 이 속에 속한 Cis boleti (Scopoli, 1763); Cis seriatopilosus Motschulsky, 1861; Cis mikagensis Nobuchi & Wada, 1955; Cis jezoensis Nobuchi, 1960; Cis sasajii Kawanabe, 2001; Cis hieroglyphicus Reitter, 1877 등 6종을 국내에서 처음으로 분류학적으로 검토하여 보고하였다. 또한 야외관찰과 실내사육을 통해 6종에 대한 숙주버섯을 처음으로 밝혀 보고 하였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는 한국산 애기버섯벌레속에 대한 분류학적 정보와 더불어 한국산 종들의 숙주버섯에 대한 생태적 정보를 제공하였다.
        4,000원
        236.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나비목 파좀나방과에 속하는 Acrolepiopsis nagaimo를 국내 미기록종으로 보고한다. 2003년 처음 김천시에서 채집되었으며, 2008년부터 안동 생물자원연구소의 마 시험포장에서 단마를 가해하는 것이 발견되었다. 성충의 형태적 특징을 기재하고, 성충 및 날개의 사진과 시맥 그림, 그리고 암수 생식기의 사진을 제공한다.나비목 파좀나방과에 속하는 Acrolepiopsis nagaimo를 국내 미기록종으로 보고한다. 2003년 처음 김천시에서 채집되었으며, 2008년부터 안동 생물자원연구소의 마 시험포장에서 단마를 가해하는 것이 발견되었다. 성충의 형태적 특징을 기재하고, 성충 및 날개의 사진과 시맥 그림, 그리고 암수 생식기의 사진을 제공한다.나비목 파좀나방과에 속하는 Acrolepiopsis nagaimo를 국내 미기록종으로 보고한다. 2003년 처음 김천시에서 채집되었으며, 2008년부터 안동 생물자원연구소의 마 시험포장에서 단마를 가해하는 것이 발견되었다. 성충의 형태적 특징을 기재하고, 성충 및 날개의 사진과 시맥 그림, 그리고 암수 생식기의 사진을 제공한다.나비목 파좀나방과에 속하는 Acrolepiopsis nagaimo를 국내 미기록종으로 보고한다. 2003년 처음 김천시에서 채집되었으며, 2008년부터 안동 생물자원연구소의 마 시험포장에서 단마를 가해하는 것이 발견되었다. 성충의 형태적 특징을 기재하고, 성충 및 날개의 사진과 시맥 그림, 그리고 암수 생식기의 사진을 제공한다.
        3,000원
        237.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study the correlation between distributions of astronomical records and historical events using historical meteor (shower) records. In Korean chronicles, planets and meteor (shower) records are the most abundant astronomical phenomena. And they represent a general tendency of the number distribution of whole astronomical observations. We examine the correlation for the number distribution between meteors (showers) and planets during A.D. 1200-1700 and find that both records have a similar distribution. We classify historical events into three grades according to the social impact, and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distributions of meteor (shower) records with social events, such as, new king's accession to the throne, foreign invasions, and domestic turmoils. From the statistical analysis, we cannot find any correlation between the meteor (shower) records and the political events. Therefore, we conclude that Korean historical records have not been influenced by the political events. We als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Chinese and Japanese meteor (shower) records and political events for A.D. 1200-1700, respectively, but cannot find any correlations between them.
        4,000원
        238.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the Korean cookbook, Jusiksiui, which was published in the late 1800s, was investigated. The results revealed that Jusiksiui contained more than 100 foods. Specifically, 12 staple foods were foods recorded including five types of porridge, three types of noodles, and four kinds of dumplings. Moreover, 49 side dishes were present, among which Jjim (steamed food) was most common, being recorded ten times. Additionally, seven types of Jeon (pancake) & Gui (roasted food) and Kimchi & Jangajji (pickled vegetables), four kinds of soup and Jeongol (stew), stir-fry, Sukyuk (boiled beef), and three types of Sukchae and Sashimi were found. Moreover, 14 recipes for rice cakes, two recipes for Korean cookies and three recipes for drinks were found. Seven recipes for wine, including plain rice wine, medicated wine and flavored wine, were also found. Finally, four different soy sauces Jibjang (a kind of soy sauce paste), hot pepper paste, Cheonggukjang (fast-fermented been paste), and Jeupjihi and roasting hot pepper paste were observed.
        8,300원
        239.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제주지역을 중심으로 실시한 나방류 조사결과 포충나방과의 2종(Daulia afralis Walker, Herpetogramma cynaralis Walker)이 우리나라에서는 처음으로 발견되었기에 보고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종의 외부형태 및 암수생식기의 특징을 검경하여 도해하고 간략히 재기재하였다. 또한 각 종별로 분류학적 정보 및 국내외 분포범위에 대하여 정리하여 보고한다.
        3,000원
        240.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의 풍뎅이붙이과(Histeridae)는 6아과 22속 53종이 현재까지 보고되어 있다. 본 연구 결과, Niponius osorioceps Lewis, 1885 두뿔풍뎅이붙이(신칭), Plegaderus (Plegaderus) marseuli Reitter, 1877 두가슴풍뎅이붙이(신칭), Trypeticus fagi (Lewis, 1884) 가슴각진풍뎅이붙이(신칭)의 3아과 (2미기록아과) 3미기록속의 3종을 한국미기록종으로 발견하였으며, 이들에 대한 간략한 기재와 중요한 형질 및 전자현미경사진을 함께 제시하고자 한다.
        3,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