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43

        242.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과 비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과 심리적 안녕감 정도를 탐색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를 위해 S와 I지역의 종합대학 간호대학생 127명과 비 간호대학생 124명, 총 251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문화적 역량 정도는 평균 5점 만점에 간호대학생 3.35점, 비 간호대학생 3.23점, 심리적 안녕감 정도는 평균 5점 만점에 간호대학생 3.53점, 비 간호대학생 3.37점으로 나타났으며, 두 군 모두 문화적 역량 및 심리적 안녕감 정도가 ‘중’ 수준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간호대학생이 비 간호대학생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문화적 역량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 분석결과 간호대학생은 문화적 인식, 문화적 지식, 문화적 민감성, 문화적 기술, 문화적 경험, 자아수용성, 환경에 대한 통제, 긍정적 대인관계, 자율성, 삶의 목적, 개인적 성장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을 높은 수준으로 유지하도록 정규교육과정에 다문화교과목 편성 및 다문화현장체험, 특강 등 교과외 활동을 병행하여 심리적 안녕감을 가지고 문화적 다양성을 고려한 간호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4,300원
        243.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당뇨환자의 시뮬레이션기반 간호교육이 간호대학생의 당뇨지식, 임상수행능력, 실습 만족도 및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이 연구는 시뮬레이션 교육 전과 후에 당뇨지식, 임상수행능력, 실습만족도 및 의사소통능력을 파악하기 위해 2013년 10월 21부터 11월 1까지 자료수집을 하였으며, 간호대학생 3학년 75명이 연구대상자로 참여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시뮬레이션 교육을 받은 후 교육 전에 비해 당뇨지식(t=-9.684, p<.001), 임상수행능력(t=-4.173, p<.001), 의사소통 능력(t=-7.685, p<.001) 점수가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나, 실습만족도(t=-1.144, p=.256)의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시뮬레이션기반 교육은 대상자의 간호지식, 임상수행능력과 의사소통능력을 강화할 수 있으며, 다양한 교육과정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4,300원
        244.
        2018.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서서평(Elisabeth Johanna Shepping) 선교사의 간호사로서의 선교사역의 특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서서평 선교사는 간호봉사와 교육과 소외된 자들을 섬김으로써 한국 기독교발전에 큰 기여를 했다. 서서평의 간호사역을 첫째, 돌봄(caring)의 선교, 둘째, 교육(teaching)의 선교, 셋째, 협력(Cooperation)의 선교로 정의하고 그녀의 선교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돌봄 선교는 병원간호와 간호사 양성사역, 방문보건사역, 예방사역, 한센환자 간호 사역의 특징이 있다. 그의 교육선교는 여성을 교육의 주체로 설정함으로써 가정 내 선교가 가능했고, 자신을 버리고 타인을 위해 살아감으로써 이 땅에 하나님 나라를 실현하고자 했다. 또한 그의 협력선교는 돌봄과 선교의 장을 국제적 무대로 넓혀가기 위해 국제공조를 공고히 할 수 있는 토대를 만들었다. 무엇보다 서서평 선교사는 간호사역 자체가 선교가 되는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에 기초한 통전적(holistic) 선교의 선각자였다.
        6,000원
        245.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건강신념모형을 적용하여 임상에서 근무하는 간호사의 손씻기 수행도를 분석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G 광역시에 위치한 일개 병원에 근무하는 임상 간호사 162명이다. 자료수집은 2017년 9월 1일부터 2017년 10월 31일까지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PSS Version 20.0, IBM, US)를 이용하여 빈도분석, 백분율, 일원분산분석, t-검정, pearson 상관계수분석 및 다중회귀 분석으로 통계처리 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손씻기에 대한 수행도는 모든 영역에서 평균은 3.1점으로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손씻기에 대한 건강신념은 연령에서는 지각된 유익성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05), 근무연수에서는 지각된 유익성, 지각된 장애성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다섯 개의 하위영역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지각된 유익성과 지각된 장애성은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수행을 위한 동기는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손씻기에 대한 건강신념을 고려한 지속적인 병원에서의 감염관리교육과 올바른 손씻기 교육을 진행한다면 손씻기 수행도가 높아질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246.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간호보건계열 대학생의 전공만족도, 진로성숙도가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G시의 3개학과 간호보건계열 대학생 410명을 대상으로 2017년 9월 26일부터 10월 31일까지 설문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기술통계, ANOVA, ANC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전공선택 동기에 따라 전공만족도(F=9.856, p<.001) 및 진로성숙도(F=6.005, p=.001)가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학점은 진로성숙도(F=2.755, p=.042) 및 취업스트레스(F=3.503, p=.016)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토익점수는 전공만족도(F=4.514, p=.004)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취업스트레스는 전공만족도(r=-.314, p<.001)와 진로성숙도(r=-.514, p<.001)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취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전공만족도(β=-.125, p=.007), 진로성숙도(β=-.459, p<.001) 순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간호보건계열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 저학년 때부터 학과별 특성에 맞는 전공지도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그에 따른 진로지도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4,000원
        247.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is study was tri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simulation practice education on the clinical competenc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self-confidence of nursing process in new graduated nurses. Methods: This study was one group pre-post test design, participants are 50 new graduated nurses with less than 3 month of working experience. The simulation practice education applied the first semester of the third grade, over 15 weeks with 1 credit per 2 hours per week by two instructors with four scenarios.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paired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using the SPSS WIN 21.0 program. Resul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simulation practice education on the clinical competence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in the new graduated nurses.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clinical competence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Conclusion: New nurses' capacity can be strengthened by applying simulation practice education that improve the clinical performance by enhance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4,300원
        248.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differences in nursing performance of nursing college students following simulator training or video-based training for patients with respiratory distress. Methods: The study used a two-group post-intervention design. The simulator group was trained using a high-fidelity simulator and the video group with a best practices video. Nursing ability was evaluated by video recording participants during a dyspnea simulation exercis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with a t-test using SPSS 21. Results: The simulator group showed lower scores than the video group in the preparation (t = -4.60, p < .001) and nursing intervention (t = -2.41, p = .033) categories. Conclusion: Video training is effective for simulation education in cases of dyspnea.
        4,000원
        249.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is study aimed to observe coping strategies and career identity in nursing students, and examine the influence of coping strategy on career identity. Methods: Data from 329 third- and fourth-year nursing students was collected using structured self-reports questionnaires for two months. Descriptive statistics were calculated and the data analyzed with independent t-test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Results: The nursing students scored highest on the passive coping style of hopeful thinking. Positive coping strategie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career identity. The final regression model showed that coping strategy and satisfaction with the participant’s major accounted for 37.6% of the variance in predictions of career identity, with problem-focused coping strategy as the single most influential factor.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 range of active efforts are needed to increase the use of problem-focused coping strategies to improve the career identity of nursing students.
        4,000원
        250.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is study aimed to clarify the effects of simulation-based practice using a standardized patient on nursing students’ problem-solving capacity, self-efficacy for therapeutic communications, and confidence in clinical performance. Methods: We adopted a one-group pretest–posttest experimental design. We examined changes in the students’ problem-solving capacity, self-efficacy for therapeutic communications, and confidence in clinical performance before and after simulation-based practice and after clinical practicum. Results: The scores for problem-solving capacity increased from 159.28 before simulation-based practice to 263.02 after it and 161.99 after clinical practicum,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p=.775, p=.339). The scores for self-efficacy for therapeutic communications rose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from 120.78 before simulation-based practice to 126.30 after it (p= .017), but fell to 120.52 after clinical practicum. The scores for confidence in clinical performance increased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from 54.98 before simulation-based practice to 59.42 after it (p=.008) and 58.50 after clinical practicum (p<.001). Conclusion: We confirmed that simulation-based practice with a standardized patient offers students hands-on experience of a clinical situation and, thereby, enhances their problem-solving capacity, self-efficacy for therapeutic communications, and confidence in clinical performance.
        4,300원
        251.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코칭과 관련된 국내 간호연구의 동향분석을 통하여 연구현황을 파악하고, 시사점을 모색하여 향후 코칭 관련 간호연구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논문분석 기간 은 2000년 1월부터 2018년 3월까지로 하였으며, 최종 분석논문은 37편으로, 학위논문이 12편 (32.4%), 학술지 논문이 25편(67.6%)이었다. 서술적 조사방법을 통해 코칭 관련 연구의 시기별 동향과 연구 설계, 연구 대상자, 코칭프로그램, 코칭모델, 효과측정변수를 분석하였다. 연구 시 기별 동향은 2005년을 시작으로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최근 3년 동안의 연구가 18편(48.7%)으로 조사되었다. 연구 설계는 유사 실험연구가 26편(70.3%)으로 가장 많았고, 연구대상자는 간호사와 환자가 각 14편(37.8%)으로 많았으며, 그 외 학생, 환자 보호자, 교사로 조사되었다. 분석 논문 중 코칭프로그램을 적용한 연구는 25편(67.6%)이었으며, 그 중 코칭모델을 사용 한 논문은 9편(24.3%)이었다. 효과측정변수는 심리적 변수에서 자기효능감이 13편(35.1%), 생리적 지표변수에서 혈압 6편(16.2%), 혈당관련 지표 6편(16.2%), 코칭관련 변수에서 코칭행동 5편(13.5%) 순으로 많았다. 향후 국내간호 상황에 적합한 코칭모델, 코칭 프로그램, 코칭스킬 증진을 위한 활발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5,200원
        252.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debriefing program applying patient safety analysis and comparison of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 patient safety. Method: A nested design of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was used with root cause analysis for debriefing. The participants were 58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recruited from one university in Chungcheong province. They were assigned to either an experimental group (n=28 or a control group (n=30). A structured root cause analysis method for debriefing program offered to the experimental group whereas the control group did not receive any program.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PASW 23.0 program with χ2test, t-test, and ANOVA. Results: The participants who had participated in the root cause analysis in the debriefing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p < .001). Conclusion: The result of this study found that the root cause analysis method in the debriefing improved patient safety. Therefore, this program can be widely used in nursing curriculum because it leads to efficient debriefing and improves patient safety through root cause analysis.
        4,200원
        256.
        2018.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is study was aimed to provide in-depth understanding of male nurses’ work adaptation experience and suggest future directions for nursing interventions for them by synthesizing individual qualitative findings. Methods: Qualitative meta-synthesis method suggested by Sandelowski and Barroso was utilized. A total of 6 qualitative studies’ findings were synthesized to describe male nurses’ experience of work adaptation in clinical settings. Results: The major task regarding male nurses’ work adaptation was ‘planting himself in the workplace.’ Its contextual and related factors to the task include: extraordinary choice for men, female-centered hierarchical work culture, gender difference vs. interindividual difference, stereotyped view on ‘male’ nurses, strengthening work identity of nursing profession, and dim future even after many years of experience. Conclusion: The findings illuminated the necessity of orchestrated efforts from both female and male nurses to form work environments overcoming gender bias and promoting adaptation of male nurses in clinical settings.
        4,000원
        257.
        2018.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nursing unit manager's experience with patient safety accident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2017 to December, 2017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seven unit managers who worked in General wards, OPD or in the ICU of a general hospital.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method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The following four categories were elicited; dimension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complex feelings about the person after the accident, ambivalence for the accident triggers, leadership learned from accident management. Conclusion: The findings provided valuable informations on the nursing unit managers' experience with patient safety accidents, which held many nursing implications. Based on the findings, it is possible to develop accident management guidelines and the support system for accident management personnels.
        4,200원
        258.
        201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전, 스트레스, 불안 및 자아탄력성과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첫 임상실습을 앞둔 K대학 간호학과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임상실습 전 스트레스는 여학생에게서 높게 나타났으며(t=-5.51, p<.001), 불안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t=-3.30, p=.001), 주관적 건강상태가 나쁘다고 느낄수록(F=3.27, p=.041), 성격이 내성적일수록(t=-3.32, p=.001), 전공만족도가 낮을수록(F=7.25, p=.001) 높게 나타났다. 자아탄력성은 건강상태가 좋다고 느낄수록(F=3.74, p=.026), 성격이 외향적일수록(t=3.19, p=.002) 높게 나타났다. 또한 임상실습 스트레스, 불안 및 자아탄력성과의 상관관계에서 임상실습 전 스트레스와 불안과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r=.211, p=.010), 자아탄력성과 불안은 음의 상관관계(r=-.313, p<.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실습 전, 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는 역량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4,000원
        259.
        201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일 대학 간호학과 4학년을 대상으로 문제해결능력, 간호사 이미지, 리더십 정도를 살펴보고, 간호관리 실습 전후 문제해결능력, 간호사 이미지, 리더십의 변화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시행 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일 지역 소재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4학생 60명으로 자료수집은 2014년 8월 1일 부터 8월 29일 까지 진행되었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 검정, 일원분산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간호학과 지원동기는 ‘취업용이’가 가장 많았고, 간호사 이미지 형성에 영향을 준 요소는 ‘임상실습시 간호사 모습’이 가장 많았으며 전공만 족도는 ‘보통’ 이상이 83.4%였다. 간호사 이미지는 간호사 친척 유무 및 간호학 전공 만족도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 리더십은 간호학과 지원동기, 간호학 전공 만족도, 성격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문제해결 능력은 간호사 친척 유무 및 성격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실습 전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능력은 3.32점, 간호사 이미지는 3.41점, 리더십은 3.62점이었고, 실습 후 문제해결능력(t=-2.15, p=.03), 간호사 이미지 (t=-2.67, p=.01), 리더십(t=-2.20, p=.03)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간호학 실습 교육에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4,000원
        260.
        201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시뮬레이션교육의 디브리핑과 직업기초능력과의 관계를 규명하고, 직업기초능력 향상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J도에 소재하는 K 대학의 간호학 전공 4학년 학생 203명이었다. 연구결과, 시뮬레이션교육 디브리핑은 직업기초능력과 정적인 상관관계이었으며, 직업기초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디브리핑은 ‘토론유도’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직업기초능력을 강화하기 위해 시뮬레이션교육의 토론활동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4,9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