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41

        341.
        198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本) 시험(試驗)은 고랭지(高冷地) Timothy 우점초지에서 목초(牧草)의 적정(適正) 예취회수(刈取回數)와 최종(最終) 예취시기(刈取時期)를 구명(究明)하고자 DM 생산량(生産量), 월동후(越冬後) 초기생육특성(初期生育特性), 다음해 1차수량(次收量) 조단백질(粗蛋白質) 및 조섬유(粗纖維) 생산량(生産量)을 조사(調査)하고 그들간(間)의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초기생육(初期生育)이 개
        4,000원
        342.
        198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本) 시험(試驗)은 고랭지(高冷地) Timothy 우점초지에서 목초(牧草)의 적정(適正) 예취회수(刈取回數)와 최종(最終) 예취시기(刈取時期)를 구명(究明)하고자 DM 생산량(生産量), 월동후(越冬後) 초기생육특성(初期生育特性), 다음해 1차수량(次收量) 조단백질(粗蛋白質) 및 조섬유(粗纖維) 생산량(生産量)을 조사(調査)하고 그들간(間)의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초기생육(初期生育)이 개
        4,000원
        343.
        1986.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경운(耕耘)이 불가능한 산지(山地)에 있어서 제초제(除草劑)에 의한 초지개량시험(草地改良試驗)의 일환으로서 ha당 2.9kga,i의 Glyphosate를 철포(撤布)한 후(後)에 선점관목(先占灌木)을 그대로 방치한 것과 또 살포후 관목을 10, 20, 30, 40일 간격으로 예취제거(刈取除去)하였을 때 이러한 처리가 겉뿌림한 오차드그라스 및 라디노클로버 유식물(幼植物)의 정착(定着)과 생육(生育)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구명(究明)하기 위
        4,000원
        344.
        198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本) 시험(試驗)은 예취시기(刈取時期)를 달리하여 조제(調製)한 silage를 이용(利用)하여 예취시기(刈取時期)와 섭취량(攝取量)이 소화율(消化率)에 미치는 영향(影響)에 대하여 검토(檢討)하였다. 목초(牧草)는 6월(月) 4일(日)(영양생장기(營養生長期)), 조기예취(早期刈取)과 6월(月) 30일(日)(출수기(出穗期), 만기예취(晩期刈取)에 예취(刈取)된 1 번초(番草)로 silage를 조제(調製)하였으며, 이 silage는 제한급여(制限給與)와
        3,000원
        345.
        198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本) 시험(試驗)은 예취시기(刈取時期)를 달리하여 조제(調製)된 건초(乾草)를 이용(利用)하여 예취시기(刈取時期)와 섭취량(攝取量)이 소화율(消化率)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검토(檢討)하였다. 목초(牧草)는 6월(月) 4일(日)(영양생장기(榮養生長期))과 6월(月)30일(日)(출수기(出穗期))에 예취(刈取)된 1 번초(番草)로 건초(乾草)를 조제(調製)하였으며 이 건초(乾草)는 제한급여(制限給與)와 수준(水準)으로 급여(給與)하였다. 그 결과(結果)
        4,000원
        346.
        198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 Alfalfa의 조단백질(粗蛋白質)은 채취시기가 경과함에 따라 1회(回) 19.64%에서 4회(回) 12.37%로 낮아졌으며, 조섬유, CWC, Cellulose도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Orchard grass도 조단백질(粗蛋白質)은 1회(回) 13.79%에서 2,3회(回) 12.97, 12.85%로 낮아졌으며 4회(回) 14.72%로 다소 상승하였다. 그밖에 조섬유, CWC는 채취시기가 진행됨에 따라 낮아졌으며 Cellulose는 시기에 다소
        4,000원
        347.
        198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本) 연구(硏究)는 고온기(高溫期) 초지(草地)의 예취관리(刈取管理)에 관(關)한 연구(硏究)로서 여름철 고온기간중(高溫期間中) 예취시기(刈取時期)와 예취(刈取)높이가 tall fescu 우점초지(優占草地)의 목초고사(牧草枯死), 잡초발생(雜草發生), 재생(再生)과 저장탄수화물함량(貯藏炭水化物含量) 및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究明)하여 고온기(高溫期)의 적절한 예취방법(刈取方法) 모색하기 위해 실시(實施)되었다. 본(本) 시험(試驗)은 3
        4,200원
        348.
        198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本) 시험(試驗)은 추파(秋播) 이탈리안라이그라스의 추계예취시취(秋季刈取時取)가 목초(牧草)의 재생(再生), 탄수화물축적(炭水化物蓄積) 및 건물수량(乾物收量)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究明)하기 위(爲)하여 포장시험(圃場試驗)을 수행(遂行)하였으며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건물수량(乾物收量)은 예취시기(刈取時期)가 빠른 구(區)일수록 높았고(P<0.05), 예취시기(刈取時期)가 제일 늦은 구(區)는 무예취구(無刈取區) 보다도 수
        4,000원
        349.
        198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돼지감자를 알코홀 및 靑刈飼料生産用(청예사료생산용)으로 재배(栽培)하기 위하여 괴경파종시기(塊莖播種時期) 및 예취관리(刈取管理)가 돼지감자의 생육(生育) 및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는데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았다. 1. 봄철 괴경(塊莖)의 재식시기(栽植時期)를 4월 7일에서 20일간격으로 6월 27일까지 파종(播種)하였을 때 5월말(末)까지는 괴경(塊莖)의 파종(播種)을 완료(完了)하여야 정상적인 생육(生育)을 나타낼
        4,000원
        350.
        198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本) 시험(試驗)은 혼파초지(混播草地)에 있어서 Italian ryegrass(Lolium multiflorum)의 파종비율(播種比率)과 예취빈도(刈取瀕度)가 첫번째 수확년도(收穫年度)의 목초(牧草) 총(總) 건물생산량(乾物生産量) 식생(植生) 구성비율(構成比率)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하기 위(爲)하여 수행(遂行)되었다. Italian ryegrass의 파종량(播種量)을 10a 당(當) 0.3kg 및 1.0kg으로 하여 주구(主區)로 하
        4,200원
        351.
        198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lfalfa 단파초지(單播草地)에 있어서 최대총건물(最大總乾物) 생산(生産)과 질적(質的) 향상(向上)을 위한 예취적기(刈取適期)가 연구(硏究)되었다. 최대총생산수량(最大總生産收量)을 위한 예취기(刈取期) tc(장(張), 1971)가 alfalfa 초종(草種)의 영속성(永續性)과 동시에 CP 및 IVD의 높은 수준(水準)을 수분하는 최대건물생산수량(最大乾物生産收量)의 적기(適期)로 선택(選擇)되었다. 이와 동일(同一)한 이론적(理論的) 근거에 입각하여
        4,000원
        352.
        1983.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本) 시험(試驗)은 여름철 청예사초(靑刈飼草)로서 이용(利用)이 급증하고 있는;수단그라스계(系) 잡종(雜種) (수수-수단그라스잡종(雜種);Sorg hum bicolor (L.) Moench)중 우리나라에서 생산성(生産性)과 적응성(適應性)이 가장 우수(優秀)하다고 인정된 Pioneer988을 공시품종(供試品種)으로 하여 질소시비수준(窒素施肥水準)과 예취(刈取)높이가 예취후(刈取后) 그루터기의 고사(枯死)와 저장탄수화물함량(貯藏炭水化物含量)에 미치는
        4,000원
        353.
        1983.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本) 시험(試驗)은 여름철 청예사초(靑刈飼草)로서 이용(利用)이 급증하고 있는 수단그라스계(系) 잡종(雜種) [수수-수단그라스잡종(雜種); Sorghum bicolor (L.) Moench] 중 우리나라에서 생산성(生産性)과 적응성(適應性)이 가장 우수(優秀)하다고 인정된 Pioneer 988을 공시품종(供試品種)으로 하여 질소시비수준(窒素施肥水準)과 예취(刈取)높이가 신지(新枝)(측지(側枝) 및 분얼경(分蘖莖))의 발생(發生), 건물중(乾物重) 및
        4,000원
        354.
        2020.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구기자 잎을 이용한 특허제품 개발 및 기능성 식품소재에 관한 연구는 다수 진행되고 있으나 구기자 잎을 규격화 표준화하여 대량으로 공급할 수 있는 생산체계는 확립되어 있지 않다. 이에 구기자 육성품종 중에서 잎 생산에 알맞은 품종을 선발하고 가공용 잎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예취시기를 확립코자 하였다. 구기자 11품종 중 잎 생산에 적합한 품종은 ‘명안’이었고, 다른 품종에 비하여 잎이 크고 분얼과 재생력이 왕성하였을 뿐만 아니라 잎 건물수량도 높았다. ‘명안’ 품종에서 구기자 잎 생산에 적합한 예취시기는 초장이 약 60 ~ 70 cm 자랐을 시기였고, 잎 수량은 5월 16일 수확 시 평균 106 ㎏/10a, 6월 20일 수확 시 평균 287 ㎏/10a로서 수확시기가 늦어질수록 직선적으로 증가되었다. 구기자의 지표성분인 베타인 함량을 1.43 ~ 2.63% 범위였고, 품종과 예취시기에 따라 함량이 다른데 생육이 진전 될수록 증가되는 경향이었다. 구기자나무 잎의 주요 생리기능성을 조사한 결과 항고혈압성을 나타내는 ACE 저해활성이 평균 84.4 ~ 90.8%로 높은 편이었고, 나머지 생리기능성은 20% 이하로 낮거나 검출되지 않았다.
        355.
        202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희귀 식물인 거문도닥나무를 대상으로 종자 및 삽목번식을 통하여 효율적인 번식방법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실험 결과 종자번식은 실내, 실생 번식 모두 발아율에서 유의성이 나타났다. 저장 종자는 저온 습윤의 경우 항온 20℃ 효과를 보였으며, 변온 처리에서는 발아율이 대체적으로 낮게 나타나 종자 번식에서 거문도닥나무는 습윤 저장 후 항온 20℃에서 발아율 이 높았으며, 실생 번식은 노천매장에서 종자를 번식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실험에서 확인되었다. 삽목번식의 관수 시설에 따라 캘러스 형성, 뿌리 수 등 발근율을 확인한 결과 미 스트 관수 비닐하우스에서 녹지의 중간, 아랫부분에서 10.0%가 발근 하였고, 숙지 삽목은 모두 발근 하지 않았다. 특히, 뿌리 수와 뿌리 길이가 각각 5개, 112.6 ㎜로 미스트 관수 비닐하우스에서 월등히 높은 결과를 보여 거문도닥나무 삽목은 습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전처리에 따른 녹지 삽목은 미스트 관수 비닐하우스에서 거문도닥나무의 중간 부분, 아랫부분을 대상으로 삽목을 실험한 결과 캘러스 형성률, 발근율, 뿌리 수, 뿌리 길이 모두 유의성이 있었다. 녹지 삽목은 평균 발근 율이 23.7%로 저조하였으며, IBA 500 ppm, IBA 1000 ppm, NAA 2000 ppm에서 발근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녹지 삽목의 아랫부분보다 중간 부분이 삽목번식에 효과가 있는 것으 로 실험에서 확인되었다. 특히, 숙지 삽목은 평균 발근율이 11.9%로 녹지 삽목에 비해 저조하였는데 이는 숙지 부분의 잎이 거의 없으며, 잎이 있는 때는 조기에 떨어져 삽목에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
        356.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Acanthopanax divaricatus var. is a Korean woody natural plant which can grow in the field placed in low altitude. Cutting is more efficient for propagation than seedling since it takes 3-years to harvest seeds and get seedling.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out efficient cutting propagation method. Methods and Results : Hardwood cutting (April 10) and semihardwood cutting (September 7) was performed to accelerate cutting propagation rate on 5 type nursery box soil composed of Sand, vermiculite, peat moss, perlite, and perlite + peat moss. In order to verify growth regulators on cutting propagation, rooton, IBA 2,000 ppm, IBA 3,000 ppm, NAA 500 ppm, NAA 1,000 ppm were treated and cutting performed in sand nursery box soil on March 30 and September 7 with 3 replications of 50 plants. In terms of rooting traits of cutting in April 10 according to nursery box soil, rooting rate was higher as 67% in sand and lower as 11% in peat moss. Root length, root number, and root weight was also higher in sand. In terms of rooting traits of cutting in September 7, rooting rate was higher as 60% in sand and root number was higher in sand and perlite. Root weight was higher in perlite. The result of growth regulator effect on cuttings was as follows. Rooton increased rooting rate higher as 68.7% in cutting on March 30 and IBA 3,000 ppm also increased higher root length, root number, and root weight as 5.4 ㎝, 12.3 ea/plant, 3.13 g/10plant respectively. rooton increased rooting rate higher as 67.3% in cutting on September 7 as same as cutting on March 30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and root length, root number, and root weight were all higher in rooton treatment too. Conclusion : The result of cutting treatment in 5 type nursery box soil on April 10 and September 7 to accelerate cutting propagation rate of A. divaricatus var. shows that sand was most efficient with higher root length, root weight, and rooting rate. Most efficient growth regulator for rooting was rooton with higher rooting rate and better rooting traits altogether same in cuttings on March 30 and September 7.
        357.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mother machine makes the necessary shape by processing materials such as metal. The SCFs are applied to the processing surface when the mother machine processes the material, thereby improving the cutting conditions. SCFs contain high concentrations of organic components and nitrogen compounds, which can cause problems such as eutrophication and algae bloom. Therefore, proper treatment is required. Electrochemical treatment is expected to be an alternative to conventional processes, and to be useful in various wastewater treatments. Moreover, it is an efficient elimination technique for contaminants and has a simple equipment composition. In this study, the removal efficiency of the T-N contained in the waste SCF using electrochemical treatment is analyzed. The electrode was made of titanium and iridium, made into a perforated metal sheet to prevent an imbalance of the sample concentration in the reactor.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current density and the concentration of the supporting electrolyte (NaCl, Na2SO4) on removal efficiency. In the cases with 60 A/m2, 80 A/m2, and 100 A/m2 current densities, the removal efficiencies of the T-N contained in the waste SCF were 51.03%, 68.83%, and 79.58%. Comparing between the addition and non-addition of NaCl, the removal efficiency with the addition of NaCl (5 ~ 10 mM) was higher than for no addition at 60 min for all current densities. The addition of Na2SO4 increased the removal rate of the T-N, but it was less effective than NaCl addition.
        358.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s industry continues to develop, the amount of various recalcitrant substances that cannot be removed by conventional wastewater treatment has increased in modern society. The SCFs (Soluble Cutting Fluids) used in metalworking processes contain many chemical substances, such as mineral oils, anticorrosive agents, extreme-pressure additives and stabilizers, as well as high concentrations of organics. Recently, electrolysis has been expected to become an alternative to conventional processes and to be useful in various wastewater treatments. Electrolysis is a highly adaptable industrial wastewater treatment method, having a high efficiency, short processing time, and simple equipment composition, regardless of the biodegradable nature of the contaminants. The effects of operating time, current density, and electrolyte on COD removal of waste SCFs have been studied using the stainless steel (SUS316) electrode in a batch type reactor. The results were as follows. ① Without electrolytes, when the current density was adjusted to 40 A/m2, 60 A/m2, and 80 A/m2, the removal efficiencies of the COD were 25.0%, 37.7%, and 49.1% after 60 min, respectively. ② In the comparison between NaCl (5 ~ 10 mM) addition and non-addition, the removal efficiency with NaCl was higher than for without after 60 min for all current densities. ③ In the comparison between Na2SO4 (5 ~ 10 mM) addition and nonaddition, the removal efficiency with Na2SO4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to that with NaCl at all current densities.
        359.
        2017.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970년대 수출주도 고도성장을 위해 정부는 조선・철강・기계 등의 중화학공업을 선택적으로 집중육성 하였다. 그 결과 일반기계산업은 1970년 수출 8백만불에서 2015년 현재 218,262백만불로 약 27,000배 이상 성장하였다. 일반기계산업에 있어 금속가공 공정은 필수적이며, 금속가공 공정에서 필요로 하는 것이 공작기계(Mother machine)와 절삭유(Soluble Cutting Fluids, SCF)이다. 절삭조건 개선에 사용되는 절삭유는 첨가제, 사용용도 등에 따라 원액으로 사용하는 비수용성과 물로 희석해서 사용하는 수용성으로 나뉜다. 국내 절삭유 이용량의 60%이상이 수용성 절삭유로 비수용성 절삭유의 오일미스트(Oil-mist), 폐유처리과정에서 유독성 물질 발생 등의 문제로 수용성 절삭유 사용량이 점차 증가하였다. 또한 절삭 성능 향상을 위한 방부제, 윤활제, 방청제, 부식방지제, 세정제, 극압 첨가제 등 각종 화학물질 첨가로 인해, 노출될 경우 췌장, 피부, 담낭, 방광, 소화기계 등 인체의 여러 조직에 암을 유발할 수 있으며, 각종 호흡기계 질환과 피부질환을 초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인체에 미치는 영향 외에도 수용성 절삭유에는 고농도의 유기성분과 질소화합물 등이 함유되어 있어 적절한 처리 없이 수계로 유출시 부영양화, 녹조현상 등과 같은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며 산화반응에 의해 수계의 용존산소를 감소시키므로 그 처리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공정에서 발생한 폐수용성절삭유를 원시료로 하여 대표적인 불용성 전극인 Ti/IrO2 전극을 이용하여 전기화학적 처리를 진행하였으며 연구에 사용한 장치의 모식도를 Fig. 1에, 시료의 성상을 Table 1에 나타내었다.
        360.
        2017.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나라 경제의 성장을 이끈 기계산업은 2015년 현재 생산액 100조원, 사업체수 9,526개사, 종사자수 31만 5천명, 부가가치 39조원으로써 제조업 중 생산액 5위, 사업체수 2위, 종사자수 3위, 부가가치 4위에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기계산업에 있어 공작기계를 이용해 금속을 원하는 모양으로 만드는 금속가공은 반드시 필요한 공정으로 금속가공 시 가공 장비의 수명 연장 및 가공물의 품질 향상을 위해 칩이 형성되는 영역에 적용되어 윤활 및 냉각작용을 하는 절삭유(Soluble Cutting Fluids, SCF)가 이용되고 있다. 절삭유는 수용성 및 비수용성으로 나뉘는데 비수용성 절삭유의 경우 윤활성은 우수하나 경제성 및 발연, 발화등의 문제점이 있으며, 수용성 절삭유는 윤활성은 비교적 떨어지나 냉각성과 경제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절삭유는 기능 향상을 위해 PAH, 방부제, 파라핀계 염소, 아질산염 등 20~30개의 첨가제가 사용된다. 이는 중추신경계 장애, 이비인후 자극, 피부염 발생 등을 일으킬 위험성이 크다고 알려져 있으며, 고농도의 유기성분 및 질소화합물로 인해 수계에 유출시 부영양화, 녹조현상 등과 같은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기화학적 처리를 통해 반응시간에 따른 폐수용성 절삭유의 COD 및 T-N의 제거율 변화를 분석하였다. 전기화학적 처리의 중요 인자인 전극은 비교적 가격이 저렴하고 용출량이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는 SUS316전극을 이용하였으며 자세한 실험 조건을 Table 1에, 연구에 사용한 장치의 모식도를 Fig. 1에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