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4

        21.
        201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s at reviewing satisfaction on facility modernization project of traditional market by case study on integration & move method of 2 markets (Seongbuk 5 day market & Geumgye daily market). Following this study, it asked 182 merchants & customers at Naju Moksagoeul Market about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on integration & move and the facility modernization project of traditional markets. According to results of the survey, not only merchants but also customers are satisfied with the modernization project. But in detail, valuations between 5 days market and daily market, and between merchants and customers are different. For example, merchants regard as negative, but customers as positive about move of the markets from city to outside. About half of respondents answer that number of market visits and sales volume after move of the markets are higher than before. More than 80% of respondents answer that culture & tourism market programs are helpful to the market revitalization.
        22.
        200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인공신경망 이론을 이용하여 강한 비선형성의 경향을 보이고 있는 강우-유출간의 관계를 모형화하기 위한 연구들은 예측뿐만이 아니라 대상자료들의 양상을 분류하여 그 특성을 분석하는 데에도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패턴분류를 위한 SOM(Self-Organizing Map: SOM)의 연구 결과를 검토해보면 SOM 훈련을 위한 지도크기 및 배열의 결정은 SOM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지도크기 결정시 지도의 종방향 크기와 횡방향 크기를
        23.
        2008.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나주지역을 사례로 기후변화가 농업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작물 생산량 자료와 기후 자료를 분석하였다. 벼의 생산량은 최근 감소하는 경향으로 생산량에 영향을 미치는 운량 및 강수일수와 부의 상관을 보인다. 보리의 생산량은 등숙기간의 기온 상승으로 생산량의 증가를 예측할 수 있다. 배는 생산량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나 지속적인 기온 상승은 저온요구도를 충족시키지 못할 것이고 이는 나주를 배 재배 안전지역에서 제외시킬 것이라 판단된다. 감은 낮은 저온요구도로 인해 기온상승으로 인한 피해가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채소류인 고추의 단위면적당 생산량은 1990년대 이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고추의 생산량에 영향을 미치는 적산온도가 꾸준히 증가하므로 나주의 기온상승은 고추의 생산량을 증가시킬 것이다. 배추와 무의 단위 면적당 생산량은 1990년대 중반 이후 감소하는 경향이다. 배추 결구 후 강수일수가 많아지면 토양 내 수분이 증가하여 포기 무게가 감소하고 이로 인해 생산량이 감소하게 된다.
        24.
        200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were investigated on the seasonal basis across spring, summer, and fall during the year of 1998. According to this analysis, most VOC species investigated exhibited strong temporal trends. Over diurnal scale, ther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were affected by seasonal factors strongly. While they showed high day/night ratio pattern during spring, the pattern was reversed during fall. When the seasonal mean values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seasons, the spring values were systematically higher than their counterparts in most cases. In addition when our VOC measurement data were compared with those reported from elsewhere, we were able to conclude that the VOC levels in the study area are comparable to the level weakly impacted by the regional emissions of VOCs. Although our data are not sufficient enough to systematically explain the atmospheric distribution and behavior of VOCs, the findings of strong correlations among some of VOC species suggests strong need for investigating their interactions in the earth's atmosphere.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