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8

        22.
        199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ne of fundamental bases for the desirable Science Education is effective evaluation, and the objectives of the Science Education can be used for the reasonable basis of this evaluation. In this paper, to study the current state of the high school Earth Science Education, comparison was made between the objectives of Education proposed by textbook and those to be measured by Scholastic Achievement test, and the result was analyzed. 1. The objectives of both the textbook and Scolastic Achievement test are highly oriented to obtain theory and comprehension. 2. The objectives which measure the Process of Scientific Inquiry are to some extent satisfied by the textbook but not by the Scholastic Achievement test. Consequently the future evaluation process should be modified in order to evaluate properly the ability for the process of Scientific Inquiry of the students properly.
        4,300원
        24.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introduction of a speaking and writing test is of greater importance because it is becoming more central to language assessment, especially with reference to communicative language instruction. In order for a writing test to be reliable and valid, the item difficulty should be the same across different test forms. In line with this test equivalence,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s that affect writing item difficulty in Level 2 of the NEAT using two qualitative data collection methods, a) focus-group meetings with researchers, professors and teachers who specialized in English education, and b) in-depth interviews with students who took Level 2 of the NEAT.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following factors affected writing item difficulty: a) topic familiarity, b) topic concreteness, c) the extent to which a topic elicits negative feelings from test-takers, d) concreteness of a given writing prompt, e) the extent to which a given writing prompt elicits diverse words, and f) the vocabulary and grammar knowledge required to complete a given writing task. Based upon the study’s results, further research about teaching and testing writing skills is discussed.
        25.
        2012.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5년간 중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실시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문항을 지구과학 영역을 중심으로 3차원 과학 평가틀을 활용하여 분석해 보았으며, 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 내용 영역의 분석 결과는 ‘에너지’, ‘물질’, ‘생명’, ‘지구’의 문항수가 고르게 출제 되었다. 지구(지구과학)영역을 단원별로 분석한 결과는 ‘지구와 별’이 가장 출제가 많이 되었으며, ‘태양계의 운동’이 가장 출제 빈도가 낮았고, 내용에 따라서 출제 빈도의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둘째, 행동 영역의 분석 결과, 지식 범주가 탐구의 범주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지구과학 영역의 분석 결과도 과학 영역과 큰 차이가 없었다. 셋째, 상황 영역의 분석 결과, 탐구 상황 4개 범주 중 순수 과학적 상황이 가장 높았다. 본 연구는 이들 분석 결과를 토대로 2007 개정 교육과정 지구과학 목표의 도달정도를 확인하는 2012학년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26.
        2012.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퍼듀 공간 시각화 검사: 회전의 시각화(개정판)’의 한국판을 표준화하기 위한 기초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총 30문항으로 구성된 ‘퍼듀 공간 시각화 검사: 회전의 시각화(개정판)’를 한국어로 번역하여 중학생 509명에게 검사를 실시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분석하였다. 신뢰도 검사는 문항내적일관성신뢰도로 Cronbach's α를 구하였으며, 타당도 검사는 확인적 요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Revised PSVT:R 검사(한글판)의 문항내적일관성 신뢰도는 Cronbach's α=.862로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Revised PSVT:R 검사(한글판)의 30문항에 대한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한 결과, Revised PSVT:R 검사(한글판)의 타당도가 양호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셋째, Revised PSVT:R 검사(한글판)의 30문항에 대한 문항난이도는 .230에서부터 .906으로 나타났으며, 문항변별도는 양적 상관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Revised PSVT:R 검사(한글판)의 문항별 난이와 회전 특성(각도, 방향, 회전축) 사이의 관계에서는 회전의 복잡성이 문항의 난이도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지만 이 이외의 다른 요인이 작용하는 것으로 보아 절대적 요인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27.
        2009.06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고의 목적은 숙달도 평가에서 어휘력을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다. 먼저 어휘력과 어휘력의 구성요소에 대해 살펴보고 그것을 바탕으로 어휘력 평가의 기준을 의미에 대한 지식, 통사에 대한 지식, 화용에 대한 지식으로 크게 구분하였다. 그리고 각각 세부내용에 따라 다시 구분을 한 뒤 이 기준에 근거하여 현행 한국어능력시험의 어휘문항을 분석해 보았다. 분석 결과 급별 수준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보였으나 의미 지식에서 문맥적 의미를 묻거나 맥락에서의 의미 차이, 어감의 차이를 묻는 문항은 출제되지 않았고, 화용에 대한 지식에서는 단어의 사용역에 대해 묻는 문제가 출제되지 않았다.
        28.
        200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외고의 입시문항이 중학교 영어공부에 끼치는 환류효과가 높은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01년에서 2006년 사이에 수도권 지역 외국어고등학교에 출제된 시험 중 온라인으로 구할 수 있는 듣기 492문항을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은 듣기문항의 지문의 종류와 언어적 복잡도, 지문의 소재, 문항의 유형 등으로 나누어서 분석했다. 분석은 외고시험 출제나 수능과 같은 고 부담 시험의 출제 경험이 있는 교사와 교수 10명과 현장교직 경험이 5년 이상인 교사 10명으로 합쳐서 20명의 전문가가 문항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듣기문항의 지문 종류는 대화, 담화, 독해, 통합의 순서로 선행연구의 결과와 같았고 언어적 복잡도의 경우는 담화나 대화 지문에서의 어휘 난이도 보다 독해 지문에서 어휘의 난이도와 문장의 복잡도가 더 높았다. 지문의 소재는 일상생활과 관련된 것이 8.2%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사회와 인문학적 소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문항의 유형은 특정 사실을 맞추거나, 들은 내용 중 맞고 틀린 것을 고르거나, 적절하게 이어지는 할 말을 찾는 등의 간접 말하기 지문과 같은 일반적인 유형 이외에 독해지문과 같이 다양한 실제적인 의사소통 상황을 듣기를 통해 통합적으로 평가하는 문항 등이 있었다.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