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82

        22.
        202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bitterling (Cyprinidae, Acheilongnathinae) is a temperate freshwater fish with a unique spawning symbiosis with host mussels. Female bitterlings use their extended ovipositors to lay eggs on the gills of mussels through the mussel's exhalant siphon. In the present study, in April of 2020, we investigated spawning frequencies and patterns of three bitterling fish species in host mussel species in the Nakdong River basin (Hoecheon). During field surveys, a total of four bitterling and three mussel species were found. We observed bitterling's spawning eggs/larvae in the three mussel species: Anodonta arcaeformis (proportion spawned: 45.5%), Corbicula fluminea (12.1%), and Nodularia douglasiae (45.2%). The number of bitterlings’ eggs/larvae per mussel ranged from 1 to 58. Using our developed genetic markers, we identified the eggs/ larvae of each bitterling species in each mussel species (except for A. macropterus): A. arcaeformis (spawned by Acheilognathus yamatsutae), C. fluminea (A. yamatsutae and Tanakia latimarginata), and N. douglasiae (A. yamatsutae, Rhodeus uyekii, and T. latimarginata). Approximately 57.6% of N. douglasiae mussel individuals had eggs/ larvae of more than one bitterling species, suggesting that interspecific competition for occupying spawning grounds is intense. This is the first report on bitterling’s spawning events in the Asian clam C. fluminea from Korea; however, it should be ascertained whether bitterling’s embryo undergoes successful development inside the small mussel and leaves as a free-swimming juvenile. In addition, the importance of its conservation as a new host mussel species for bitterling fishes needs to be studied further.
        5,200원
        24.
        202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번에 제시할 화상 사례 보고는 환자와 검사를 시행하는 방사선사의 부주의로 인한 화상 안전사고가 아니라 환자 가운 의 치수 구별을 하기 위하여 사용한 녹색 염료가 착색된 파이핑 라인에서 발생한 복부 부위 화상 안전사고에 대한 MRI 인공물 영상과 사례를 보고하고자 함이다. 화학 착색염료는 다양한 금속을 사용하여 만들어지고 주로 금속 염화물로 이루 어져 있으며 이번에 화상 사례로 발생한 녹색 염료는 열 전도성이 높은 구리와 크롬, 철 성분이 많이 함유된 염화물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화상 안전사고를 막기 위해서는 염료의 성분에 대해서 알아보고 열 전도성이 없는 스펀지나 면으로 된 포 등을 피부와 환자 가운 사이에 끼워 간격을 두어야 할 것이다. 이번 화상 사례는 철저한 검사 전 선별 절차에도 불구 하고 화상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음을 보여 주고 있으며 MRI 인공물 영상을 확인하여 조치하면 화상 안전사고를 미리 예방할 수 있는 정보로 가치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25.
        202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재까지 전세계적으로 Periphyllus allogenes (개성진사진딧물)은 무시성충세대에 대한 형태학적 정보만이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2021 년부터 2022년까지 한국 가평군, 홍천군에서 그동안 P. allogenes의 알려지지 않았던 간모, 유시성충 세대를 채집하여, 이들에 대하여 형태학적 정 보, 분포지역, 기주식물, 생태 사진을 처음으로 보고한다.
        4,000원
        26.
        202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를 통해 국내 미기록속인 Tineola Herrich-Schäffer속의 Tieola bisselliella (Hummel, 1823)을 최초로 확인하였다. 해당 종은 모피, 양모, 깃털, 가죽 등 일상용품을 가해할 뿐만 아니라 미술, 역사, 또는 과학적으로 중요한 물품들을 가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국산 T. bisselliella의 성충 및 암수 생식기를 기재하고 도판을 제공하였다.
        4,000원
        27.
        202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한국산 미기록속인 밑들이자루맵시벌속(신칭)과 미기록종인 밑들이짧은자루맵시벌(신칭)을 처음으로 보고한다. 밑들이자루 맵시벌속은 잎벌류에 기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배마디 끝부분이 위쪽으로 굽어져있는 것이 특징이다. 본 논문에는 미기록속, 미기록종의 기 재문과 사진을 제공한다.
        4,000원
        30.
        202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 미기록속인 Ectopsocus를 미기록종인 E. briggsi McLachlen,1899 (외다듬이벌레; 신칭)와 함께 보고한다. E. briggsi은 한반도의 남부지 역인 거제, 진주, 울산, 제주에서 채집되었다. 이번 연구에서 이 종의 정확한 동정을 위해 외형과 진단형질의 사진을 제공한다.
        3,000원
        31.
        202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한국산 맵시벌과 3종 (운문점박이납작맵시벌, 잎말이나방살이뭉툭맵시벌, 안경꼬마자루맵시벌)의 새로운 숙주를 보고하고 자 한다. 새로운 숙주는 각각 자나방과, 잎말이나방과, 풀명나방과에 속하며, 이 중 자나방과와 풀명나방과는 각각 쌍점박이납작맵시벌속, 안경꼬 마자루맵시벌속의 숙주로써 처음으로 기록된다. 여기에 맵시벌과 3종의 간략한 특징과 우화된 표본의 사진, 숙주의 성충 사진을 제공하였다.
        4,000원
        32.
        202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산 Autosticha kyotensis (Matsumura, 1931) (교토점원뿔나방, 신칭)이 새롭게 추가되었다. 이 종에 대한 성충과 생식기 형태에 대한 사 진 정보와 Autosticha속의 전 세계 체크리스트가 함께 제공되었다.
        4,000원
        33.
        202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 Tagosodes pusanus Distant, 1912를 포함한 Tagosodes Asche and Wilson, 1990속을 국내에서 처음으로 보고한다. T. pusanus 의 분포지역, 기주식물, 형태학적 정보를 제공하였다.
        3,000원
        36.
        2023.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송충살이고치벌아과의 Aleiodes의 미기록종 4종(A. lipwigi, A. guidaae, A. subemarginatus, A. caprinus)을 국내 최초로 보고한다. 본 연구에 선 종의 동정을 위한 진단, 분포, 삽화 및 DNA 바코드 서열을 제공한다.
        4,000원
        37.
        2023.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깡충좀벌과에 속하는 Neastymachus japonicus (Tachikawa,1970)와 Boucekiella depressa Hoffer, 1954 2종을 한국에서 처음으로 보고한다. 본 종의 기술, 분포, 삽화를 수록한다
        3,000원
        38.
        2023.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암갈색곰보벌레 [Tenomerga mucida (Chevrolat, 1829)]를 한반도에서 처음으로 보고한다. 간단한 종 정보, 진단형질, 외형사진을 제공한다. 본 종에 대한 진단정보는 형태에 기반하여 곰보벌레 [T. anduliscutis (Kolbe, 1886)]와 비교를 통해 제공한다.
        4,000원
        39.
        2023.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깔수염벌레 [Anhedobia capucina (Reitter, 1877)]를 한반도에서 처음으로 보고한다. 간단한 종 정보, 진단형질, 외형사진을 제공한다.
        3,000원
        40.
        2023.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 Nematus tibialis를 국내에서 처음으로 보고한다. 이 종의 사진과 진단, 색 변이, 발육 단계와 분포 등을 제공하였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