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4

        21.
        1991.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밀 약배양에 있어서 Callus 유기, 식물체분화 및 분화식물체의 염색체 변이에 미치는 돌연변이 유기제의 처리 효과를 검토코자 감수 분열기 1 핵기 이삭에 X-ray는 4수준( 100, 200, 500, 1,000 rad) Ethyle Methane Sulphonate 는 3수준 ( 0.1, 0.2, 0.3M)으로 각각 처리하여 Cl7배지에서 callus를 유기시키고 1/2 MS 배지에서 식물체를 분화시켰다. 그 결과 callus 유기는 억제되었으나 식물체분화는 다소 높았으며 특히 약치상 후 61~80일째 장기치상된 약의 callus에서 식물체분화율이 높았다. 분화식물체의 염색체 변이는 반수체(n=3 x=21) 발생율이 증가되었고 n=20, n=21개의 염색체를 갖는 이수체가 발생되어 염색체 변이가 컸다.다.
        24.
        198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타가수정작물인 옥수수, 진주조, 메밀의 약 또는 조직배양기술의 향상을 위한 유전자형 및 문제점들을 찾아내어 개선하기 위하여 1988년 작물시험장 약 및 조직배양 연구실에서 실시한 주요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옥수수 약배양에서 FR1141/FR16 교잡종이 N6배지에서, Fla 2BT 73/S 6013 교잡종은 5℃ 에서 7일간 저온전처리를 한 후 MS배지에 치상하였을 때 callus가 형성되었으나 27 공시 교잡종의 전체 37,450 약중에서 단지 두 개만이 callus가 형성되었다. 2. 옥수수 수원 19호의 미숙배를 MS 배지에 치상하였을 때 모두 callus가 형성되었으며 이 callus로부터 녹색체 분화율은 8.6%이었다. 3. 옥수수 수원 99호 등 20품종의 미숙웅수배양에서는 FR1141/FR16, B68/A116N//KS15, KS16/KS17, Ga209/DN578, SDB126/Ga209 교잡종 등에서 callus 형성율이 비교적 높았다. 4. 진주조 Napier grass 종간교잡종의 조기배양에서 간의 조기ㅐ양에 적합한 절간신장부위의 절편크기가 2.5~4.0mm 이었고 callus 형성율이 50~100%로 비교적 높았다. 5. 메밀 신농 1호 식물체 분화율은 27%이었다. Epicotyl에서 유도한 callus에서 1개 식물체가 분화하였다. 6. 타가수정작물인 옥수수, 진주조, 메밀의 유전자형 배지 및 환경 상호작용이 있어 유전자형에 따라서 약 및 조기배양반응이 크게 달랐다.
        39.
        1982.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담배 황색종 품종인 SC72와 Hicks를 교배하여 그 F1 잡종식물의 약으로부터 유기한 반수체식물을 배가시켜 얻은 30계통의 10개 양적형질에 대한 변이, 유전력, 유전상관 및 경로계수의 분석에 의하여 각형질들의 유전현상을 본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교배친간 각 형질의 변이폭은 1.5~37.8%인데 비하여 반수체배가계통간에는 19.6%~100.1%로 현저히 크게 나타났고 평균치에 있어서는 교배친에 비하여 반수체배가계통들은 nicotine, 수확엽수 및 엽장폭비가 증가하는 경향이나 그외 특성들은 저하되는 경향이었다. 2. 유전력은 개화일수 및 수확엽수는 높게, reducing sugar, kg당 가격 및 수량은 낮게, 그외 형질들은 중간치를 나타내었다. 3. 유전상관의 값은 표현형상관보다 그 값이 다소 높은 경향이었고, 수량은 kg당 가격, 엽폭, 수확엽수 및 reducing sugar와는 정의 상관이었고, nicotine은 엽장폭비를 제외한 타형질과는 부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4. 수량과 각형질간의 경로계수를 분석한 결과 수확엽수와 엽폭이 수량에 미치는 직접효과가 컸으며, 간접효과는 개화일수와 초장이 크게 나타났다.
        40.
        197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담배에서 약배양에 의한 반수체육종을 실용화하고 저 중촌등의 'D'배지를 이용하여 실험을 하였든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배양약중 평균 30% 이상이 반수농식물을 유기하였으며 약당 유기된 식물개체수는 평균 6주이상이었다. 2. F1 으로부터 유기된 반수체중 T.M.V 저항성은 이론치와 일치하는 1 : 1의 비를 나타내었다. 3. 반수체식물의 생육조사에서는 예기한바와 같이 모든 측정형질에 대하여 F1 의 반수체가 모본의 반수체보다 더큰 변이를 보였다.큰 변이를 보였다.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