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4

        23.
        198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experiment were carried out to study the heritability, genotypic, pheno-typic and environmental correlation in four edible oil crops. Heritabilities of flowering date, maturing date, plant height and weight of 1, 000 grains in rape were high. A high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flowering date and maturing date, plant hight and ear length, number of pods per ear and flowering date, maturing date and plant hight, The number of seed per pod showed also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flowering or maturing date as well as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weight of 1, 000 grains and plant height or ear length inrapeseed, respectively. Heritabilities of maturing date, length of stem with eapsule and number of seed per capsule were high, in sesame. Genotypic correlation between plant height and length of stem with capsule, length of stem with capsule and number of capsule per plant, number of capsule per plant and weight of 1, 000 grains, weight of 1, 000 grains and yield were highy positive in sesame. Heritabilities of flowering date, length of main stem, weight of 100 grains and number of shells per square meter in peanut were high, There was positive genotypic correlation between length of main stem and yield, number of shells per quare meter and matured seed ratio, number of shells per square meter and yield, 100 grains weight and yield. On the other han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appeared between flowering date and yield. Heritabilities of days to flowering, stem length, stem diameter and weight of 1, 000 grains in perila were high. There was positive genotypic correlation between stem length and stem diameter, number of pods per plant, stem weight etc, between number of internodes and number of pods per plant, stem weight, number of valid branches and number of pods plant as well, respectively. While,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number of valid branches and weight of 1, 000 grains, between number of pods per plant and weight of 1, 000 grains.
        30.
        1985.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보리의 간장, 경수, 수장, 100입중, 개체당수수 수당입수, 수량등 7개 형질에 대한 광의의 유전역을 조사하고 형질들 간의 표현형상관, 유전상관, 환경상관을 조사하고 또 유전상관에 의해 형질들의 수량에 대한 직접 및 간접효과를 알기 위해 경노계수 분석을 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유전역은 간장이 0.923으로 가장 높았고 다음은 수장이 0.907로 역시 높았으며 수당입수, 수량, 100입중등도 상당히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그러나 경수는 0.179, 개체당수수는 0.147로서 상당히 낮은 유전력을 나타냈다. 2. 간장은 100입중과 고도의 유의성있는 표현형 상관이 있었으며 또 높은 유전상관을 보였다. 경수도 수수와의 사이에서 높은 표현형 상관과 유전상관을 보였고 수장은 입수와의 사이에서 높은 표현형 및 유전상관을 보였다. 수량은 수장, 100입중, 입수등과의 사이에서 고도의 유의성 있는 표현형상관을 보였고 또 높은 유전상관을 보였다. 3 . 경노계수 분석결과 간장은 수량에 대해서 직접효과가 없었으며 다른 형질을 통한 간접효과도 없었다. 경수는 직접효과가 다른 형질보다 가장 컸으며 수장과 100입중도 수량에의 영향이 비교적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수는 수량에 대해서 가장 큰 부의 직접효과를 보였다. 수수는 경수를 통해서 그리고 입수는 수수를 통해서 강한 간접효과를 보였으며 경수는 수수를 통해서 가장 큰 부의 간접효과를 보였다.
        32.
        1984.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보리 8개 품종에 대하여 최상부절간, 지엽, 지엽초 및 수장, 주당수수, 수당입수 등을 조사하여 품종간 차이를 검토하였고, 또 유전력을 추정했으며 이들 형질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여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최상부절간의 길이는 31.23cm로부터 46.79cm로 품종간 차이가 현저했으며 굵기도 최소 3.81mm로부터 최대 5.19mm까지 그 차이가 컸다. 2. 지엽초장, 지엽장 및 폭도 최상부절간과 같은 경향을 보여 품종간 차이가 뚜렷하였다. 조사한 수량형질들도 품종간에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 3. 최상부절간의 길이에 대한 광의의 유전력은 0.9638로서 대단히 높았으며 굵기에 대한 유전력은 0.5652로서 낮았으며 지엽초장, 지엽장 및 폭에 대한 유전력도 각각 0.8143, 0.7927, 0.8980으로서 비교적 높은 편이었다. 4. 최상부절간의 길이는 굵기와 높은 정의 상관을 보였으며, 간장, 지엽초장, 지엽장과도 상당히 높은 상관을 보였다. 그것은 또 수당입수 및 주당수수와도 상관이 있었다. 최상부절간의 굵기는 간장, 지엽초장, 지엽장, 주당수수 및 수당입수와 상관이 있었다. 5. 지엽초장은 지엽장, 수장, 수당입수 등과 정의 상관이 있었다. 지엽장은 주당수수 및 수당입수와 상관이 있었고 지엽폭은 수량형질들과 상관이 없었으며 수장과 부의 상관을 보였다.
        37.
        1982.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담배 황색종 품종인 SC72와 Hicks를 교배하여 그 F1 잡종식물의 약으로부터 유기한 반수체식물을 배가시켜 얻은 30계통의 10개 양적형질에 대한 변이, 유전력, 유전상관 및 경로계수의 분석에 의하여 각형질들의 유전현상을 본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교배친간 각 형질의 변이폭은 1.5~37.8%인데 비하여 반수체배가계통간에는 19.6%~100.1%로 현저히 크게 나타났고 평균치에 있어서는 교배친에 비하여 반수체배가계통들은 nicotine, 수확엽수 및 엽장폭비가 증가하는 경향이나 그외 특성들은 저하되는 경향이었다. 2. 유전력은 개화일수 및 수확엽수는 높게, reducing sugar, kg당 가격 및 수량은 낮게, 그외 형질들은 중간치를 나타내었다. 3. 유전상관의 값은 표현형상관보다 그 값이 다소 높은 경향이었고, 수량은 kg당 가격, 엽폭, 수확엽수 및 reducing sugar와는 정의 상관이었고, nicotine은 엽장폭비를 제외한 타형질과는 부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4. 수량과 각형질간의 경로계수를 분석한 결과 수확엽수와 엽폭이 수량에 미치는 직접효과가 컸으며, 간접효과는 개화일수와 초장이 크게 나타났다.
        38.
        1979.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대두의 엽부위별 각 형질의 평균치, 분산, 유전력을 추정하고 각 형질 상호간의 상관관계를 본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엽병장, 주소엽엽병장, 주소엽장, 주소엽폭, 주소엽면적, 측소엽장, 측소엽폭, 측소엽면적 등 제형질은 품종에 따라 평균치가 다르며 이들 형질도 품종의 한 특성이 될 수 있었다. 2. 엽형을 구성하는 제형질 중에서 엽병장의 유전력은 낮고. 엽장보다 엽폭의 유전력이 높았으며, 엽면적에 있어서는 주소엽과 측소엽의 엽면적의 유전력은 모두 높았다. 3. 각형질 상호간의 상관관계를 본바 엽병장과 타형질간에는 정의 상관관계가 보이지 않고, 주소엽이나 측소엽에 있어서 엽장과 엽폭 간에는 정의 상관관계가 없었으나. 엽장과 엽면적간, 엽폭과 엽면적간에는 주소엽, 측소엽을 불문하고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미루어 보아 대두의 복엽중 1수의 주소엽의 면적과 2수의 측소엽의 면적간에 높은 상관관계가 있고. 엽면적은 엽장과 엽폭에 의해서 결정되므로, 엽면적의 광협, 엽장과 엽폭의 장단은 품종의 특성으로서도 중요하므로, 이들 형질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수, 유전자의 지배가에 대한 유전연구는 남은 중요과제가 될 수 있다고 믿는다.
        40.
        197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대두의 성분육종에 대한 기초재료를 얻기 위하여 대두의 주요7개품종과 이들 품종을 교배친으로하여 이면교잡에 의한 21개조합의 잡종종자 도합 28품종 및 계통종자를 재료로 단백질, 지방질, P2O5 , K2O, CaO, MgO, 회분 그리고 수분의 8개 화학성분을 분석하여 이들성분 상호간의 표현형상관, 유전상관 그리고 환경상관을 본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단백질과 지방함량간에는 뚜렷한 상관관계가 보이지 아니하고 단백질과 P2O5 간, 지방과 P2O5 간에도 상관관계가 보이지 아니하였다. 2. 단백질과 K2O, 단백질과 회분, 단백질과 수분간에는 정의 상관관계가 보이나 지방과 CaO, 지방과 회분 간에는 부의 상관관계가 보였다. 3. P2O5 와 회분간에는 정의 상관이 보였으나 P2O5 와 수분, CaO와 수분, MgO와 회분간에는 부의 상관관계가 보였다. 4. K2O, CaO, 회분, 수분의 4개성분은 단백질과 지방질에 상반되는 경향을 보였다. 5. 환경상관에 있어서는 단백질과 회분간에 정의 상관의 유의성이 인정되었을 뿐 다른성분 상호간에는 아무런 상관관계를 보이지 아니하였다.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