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3

        21.
        2003.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900원
        22.
        200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제7차 과학 교육과정에 대한 지구과학 교사들의 관심도와 활용도에 대한 조사연구로서 과학교육과정에 대한 관심도에 대한 고등학교 지구과학 교사들은 단계 0의 지각적 관심이 상대적 강도 98%로 가장 높은 정점을 이루고 있어 대부분의 선행연구의 결과와 같이 교사들이 교육과정에 대해 무관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교육과정에 대한 활용도에 대한 고등학교 지구과학 교사들의 과학 교육과정에 대한 영역별 활용도를 분석한 결과는 교사들이 교육과정을 거의 활용하지 않는 수준(I수준)이 1.69%, 지구과학 교육과정에 대한 정보를 갖고 활용하려는 준비가 되어 있는 수준(II수준)이 17.80%, 지구과학 교육과정을 반성적 사고없이 교사중심적으로 활용하는 수준(III수준)이 43.97%이었으며, 교육과정을 완전히 이해하고 수용하여 안정적으로 활용하는 교사수준(IV수준)이 31.86%, 장기적 결과를 생각하며 동료들과 협력하여 더 나은 방안을 탐색하는 수준(V수준)이 4.69%로 나타났다. 전체적인 활용수준은 기계적 활용수준(3단계)으로 나타났고 수업목표 영역(평균 3.28)과 내용 영역(평균 3.28)의 활용도가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성격 및 이념 영역(평균 3.24), 수업자료 영역(3.18), 평가 영역(3.18), 수업방법 영역(평균 3.12)의 순으로 나타났다. 경력에 따른 지구과학 교사들의 과학 교육과정에 대한 관심도는 0∼4년, 15∼19년, 20년 이상, 5∼9년 경력의 교사 집단 순이며 10∼14년 경력의 교사 집단이 교육과정에 대한 관심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4,800원
        25.
        2001.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from English teachers' perspectives the secondary school English curriculum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which became effective in 2001 for middle schools. With such a goal, the present study analyzes the results of questionnaires collected from middle school teachers of 7th-grade English. The study discusses the realities and problems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that teachers experience when they teach 7th-grade English classes. The study also discusses-solutions and alternatives proposed by teachers in order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English curriculum.
        6,100원
        27.
        200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7차 과학과 교육과정은 인간중심 교육철학이 도입되었다는 특성을 갖고 있다. 인간중심 교육과정은 학문중심교육과정보다 학습자의 경험을 강조하는 학습자 중심의 교육을 표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 나라 과학과 교육과정의 개편 과정에 표출된 배경, 성격 그리고 목표에서 7차 과학과 교육과정의 의의를 찾고 그 과제와 전망을 논의하였다. 7차 과학 교육과정은 학습자의 경험을 강조하는 인간중심 교육과정으로서 구체적인 교육활동이 실생활 소재로 이루어져서 적용되어야함을 강조하고 있다. 이에 관련된 성과를 위해서는 현대과학이 가지는 사회적인 요소를 고려한 과학의 본성에 대한 교사교육이 필요하며, 실생활 맥락을 교육적이고 인식론적인 관점에서 연구하여 과학과 일상생활 맥락의 차이에 대한 적절한 교육적 구명이 요청된다.
        4,000원
        33.
        199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is written to show the direction and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the new Korean na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which will be used for all level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from 2000. This paper is made by selecting and summarizing "The tentative of 7th Mathematics Curriculum for Elementary School, Junior High School, and Senior High School" developed by Sung Kyun K wan University Mathematics Curriculum Research Committee directed by Ok-Ki Kang. This tentative curriculum will be proved in Ministry of Education and published in February 1998. The new mathematics curriculum is a level-type curriculum in which students study their levels that is not related to their grades. This type of curriculum is tried for the first time. The curriculum devises 20 levels for all of the students from grade 1 to grade 10. Slow learners may not learn a few high levels for ten years. Students in grade 11 and 12 can select a few mathematics subjects according to their abilities, hopes and the colleges they want to enter. The main goal of this new mathematics curriculum is the mathematical power which will be the most important basic ability in the coming information society. Also, in this curriculum using technologies is emphasized and the topics available for the technologies are indicated. This new curriculum is expected to accelerate the development of Korean mathematics education.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