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7

        32.
        2006.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체외성숙 배지에 첨가하는 PVP의 농도, EGF, cysteine 및 PVP의 단독 또는 혼합첨가가 한우 체외수정란의 체외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체외성숙 배지에 PVP의 첨가농도(0.1~3.0%)에 따른 분할율은 차이가 없었으나, 배반포 발달율은 0.5% PVP 첨가군이 가장 높았다(P<0.05). PVP, EGF 및 cysteine의 단독 및 혼합 첨가에 따른 분할율은 cysteine 단독첨가군이 높았으나(P<0.05), 배반포 발달율은 차이가 없었다. Inner cell mass 수는 대조군과 cysteine 첨가군이 PVP 첨가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고(P<0.05), 총 세포수도 cysteine 첨가군에서 가장 높았다. 수정란이식 결과는 대조군, EGF, cysteine 및 EGF+cysteine 군의 임신율은 46.1~63.6%로서 비슷하였으나, PVP 첨가군은 10%로서 다른 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았다(P<0.05). 본 연구 결과는 체외성숙 배지에 PVP의 첨가로 배 발생은 가능하지만, 세포의 품질에는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보여준다.
        4,000원
        33.
        200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수정란의 성 판별은 유전적으로 우수한 유전형질을 보유하고 있는 소의 수정란을 성 판별하므로서 희망하는 성의 송아지를 생산할 수 있으며, 부가가치가 높은 수정란을 확보할 수 있는 기술이다. 수정란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할구를 biopsy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간단하고 빠른 시간에 성 판별이 가능한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방법으로 수정란을 성 판별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한우 체내 수정란의 성비는 암
        4,000원
        39.
        2002.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과배란처리에 의한 수정란이식 시 우수한 수정란을 다량 확보하고 이식 후 수태율 향상을 위하여 공란우 및 수란우에 bST처리가 수정란회수를 및 수태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공란우는 Folltropin-V와 PGF를 이용하여 과배란처리를 유도하여 12시간 간격으로 2 straw치 3회 인공수정을 실시하였다. 공란우와 수란우는 대조구와 bST처리구로 구분하였으며, bST(500 mg)처리는 발정발현 후 미근부에 근육주사
        4,000원
        40.
        2001.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ommittee has, for the 9th consecutive year, compiled statistics of embryos collected and transferred worldwide. Geographically, all regions have participated in the survey; however, there are still some places where it has been impossible to retrieve such data (particularly in Asia). The statistics, therefore, are partially underestimated. By contrast, in other areas, the system has proven to be more efficient than before, particularly in North and South America. This has resulted in the present report, which gives a somewhat more satisfactory picture of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ET industry. For the second year, it has also been possible to collect data for several species other than cattle. In cattle, the number of in vivo-derived embryos collected and transferred has once again increased with more than half a million embryos trans-ferred in 1999(520,712), a new record. The number of bovine in vitro-produced embryos has remained stable this year as compared with the previous year(approximately 30,000 embryos transferred). However, there are still teams that have not Yet reported their data. More than 10,000 embryos in each of the ovine and caprine species and close to 2,000 cervid embryos were reported transferred in 1999. Some 500 embryos of the equine species and a few thousand in the porcine and rabbit species have also been transferred in 1999. It is concluded that the ET industry continues to be very active, and, in many species, it encompasses a larger segment of the livestock population overall, which is to the farmer s benefit.
        4,000원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