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8

        21.
        2000.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대만산 뿔나방과의 재정리를 통해 10 미기록종 및 1신종이 발견되어 이를 보고하며, 1신종, Faristenia obliqua Park, sp. nov.를 생식기 도해와 함께 기재, 발표한다.
        4,300원
        22.
        199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뿔나방과의 Monochroa 속에 대해 분류학적으로 정리한 결과 5종의 미기록종(M. cleodoroides, M. divisella, M. japonica, M.subcostipunctella and M. suffusella)을 포함한 6종의 국내 분포종을 확인, 정리하였다. 각종의 분류동정을 위한 검색표와 함께 암.수 생식기를 도해하였다.
        4,000원
        23.
        1996.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루마니아의 수도 Bucharest에 있는 “Grigore Antipa" 자연사박물관에 소장된 A. Caradja의 뿔나방과 모식표본(Type specimen) 40여종 중 현재까지 보고되지 않았던 21종의 암수생식기를 검경, 이들을 도해하였으며, 그들의 분류학적 위치를 재정리하였다. 타 연구자들에 의해 이미 생식기검경이 이루어졌던 13 종에 대해서는 그들의 분류학적 지위가 논의 되었으며, 금번 조사기간중 표본점검이 누락된 나머지 5종은 간단히 그들의 표본정보만 수록하였다. 본 조사결과 5종은 다른 속으로 이전, 재조합(comb. nov.)이 이루어졌으며, 4종은 새로운 synonym으로 정리하였다.
        5,100원
        24.
        1996.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태국산 Anarsia속을 분류동정한 결과 8종의 신종과 6 미기록종 등 14종이 확인되었으며, 8종의 신종은 spatulatana sp. nov., paraisogona sp. nov., ovula sp. nov., chiangmaiensis sp. nov., procera sp. nov., conica sp. nov., meiosis sp. nov., and lewvanichae sp. nov.등으로 명명되었다. 금번의 연구대항 표본들은 대부분이 최근(1988~1994) 태국에서 채집, 대영박물관(The Natural History Museum)에 보관되어 있는 표본들이며, 일부는 필자에 의해(1990) 채집되었던 표본들이 포함되었다. 신종들의 기재와 함께 14종으 숫컷생식기에 의한 검색표와 전종에 대한 암수생식기를 도해하였다.
        5,500원
        25.
        199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뿔나방科의 Dichomeris屬에 속하는 우리나라産 2種과 극동러시아産 1種을 新種으로 기재, 발표한다.
        4,000원
        26.
        1995.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orty three species of the Dichomeris of Taiwan and Japan are revised, with descriptions of 15 new species (albula, angulata, aomoriensis, davisi, fusca, fuscalis, lutea, linealis, lividula, lushanae, ochreata, orientis, symmetrica, taiwana, trilobella). Twelve species; Dichomeris autometra (Meyrick), D. conclusa (Meyrick), D. crambalaeas (Meyrick), D. cyproPhanes (Meyrick), D. cymatodes (Meyrick), D. enoptrias (Meyrick), D. hoplocrates (Meyrick), D. issikii (Okada), D. okadai (Moriuti), D. pyrroschista (Meyrick), D. syngrapta (Meyrick) and D. viridescens (Meyrick), are new combinations in Dichomeris. The genus Hyperecta Meyrick is synonymized with Dichomeris, and D. kawamurai Matsumura is newly synonymized with tostella Stringer and limitellus (Caradja) with oceanis Meyrick. An identification key, descriptions and illustrations of habitus, male and female genitalia, and information on hosts are provided. Phylogenetic relationship of the species in the genus are discussed with a cladistic analysis, using 44 morphological characters. Fifteen species-groups of Dichomeris are recognized.
        17,900원
        27.
        199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산 Dichomeris속은 18종으로 정리되며 각 종의 외부형태, 분포 및 생활사에 관한 전반적인 내용을 정리, 보고한다. 이중 7종을 신종으로 기재하며, 3종은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보고되는 미기록종들이었다. 신종으로 기재되는 7종은 lespedezae Park, mitteri Park, strictella Park, polystigma Park, fareasta Park, cuspis Park, minutia Park 등이며 한국미기록종은 quercicola Meyrick, horoglypta Meyrick, litoxyla Meyrick 등 3종이었다. 금번연구를 통해 MNHN에 소장되어 있는 모식표본을 기준으로 D. harmonias Meyrick의 신모식표본(lectotype)을 지정하였다. 또한 각 종에 대한 검색표를 작성하였으며 새로이 보고되는 종들의 암수생식기를 각각 도해하였다.
        6,300원
        28.
        199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발표된 (박 1994) 창날개뿔나방과와 속먹이뿔나방과에 이어 한국산 감꼭지나방과 7종(2미기록종), Batrachedridae 1종(신종기) Blastodacnidae 3종(1미록기종)을 정리하였으며, 창날개뿔나방과, 2종을 신종으로 기재함과동시에 2미기록종을 정리발표한다. 기발표된 종들에 대해서는 전체목록을 위해 유충의 기주에 관한 제정보를 추가하여 삽입하였다. 처음 소개되는 상기 2개과의 우리말 이름은 아직 동서학자들간의 분류체계에 관한 이견이 크므로 새로운 분류체계가 정립되는데도 추후에 명명키로한다.
        4,000원
        29.
        1993.08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뿔나방과의 Hypatima속과 그 근연속들을 정리한 결과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종으로 총 16종이 분류 동정되었으며, 그중 6종이 신종, 8종이 우리나라 미기록종으롤 밝혀졌다. 신종으로 기재되는 6 종은 Hypatima속의 obscurella sp. nov., claviformis sp. novo 등 2종과 Faristenia속의 nigriella sp. nov., atrimaculata sp. nov. jumbongae sp. nov 등 3종, 그리고 Tornodoxa속의 longiella sp. nov 등이다. 이들 신종들과 8종의 미기록종, 이미 알려진 2종에 대한 외부형태 및 생석기의 도해와 함께 속과 종의 검색표를 작성하였다.
        6,300원
        30.
        199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arastenolechia속의 분류학적 정리를 통하여 Laris Omelko의 아속으로 취급되어 왔던 Origo Omelko속을 본속의 동물이명(synonym)으로, 아종명 umbrosa Omelko를 argobathra Meyrick 의 동물이명으로 각각 정리하였다. 또한 superba Omelko 그리고 claustifera Meyrick등 2종을 원기재속으로 부터 분리, Parastenolechia 속으로 재정리하였다. 본 논문에 취급된 5종중 argobathra Meyrick을 제외한 4종을 우리 나라에서 처음으로 기록, 발표한다.
        4,000원
        31.
        1992.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eleiodini족의 분류학적 정리를 통하여 Teleiodes속 11종, Pseudotelphusa속 1종 그리고 Telphusa속 2종을 신종으로 기재하고 4종의 우리나라 미기록종등 총 20종을 정리발표한다.
        8,000원
        32.
        199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thrips속은 우리나라 및 일본지역에서는 처음으로 기록되는 속으로 1 신종, 다점긴뿔나방 (신칭) 을 우리나라 미기록종으로 보고한다.
        4,000원
        33.
        199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뿔나방과의 Brachyacma속 2신종 , 앞테두리흰줄뿔나방(B. albilinella) 갈색테두리뿔나방(B. sublutiana)과 Aristotelia속1신종 , 외줄수염뿔나방(A. mesotenebrella)등 3신종을 기재 보고한다.
        4,000원
        34.
        198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arachronistis속의 1신종 및 1미기록종을 포함한 4종을 기재 및 재기재하고 그들의 외부형태적 특징 및 암, 수생식기를 도해하였으며 Parachronistis속과 근연한 신과 Neochronistis을 1 신종과 함께 보고한다. 신종 P.geniculella는 산털주머니뿔나방, 미기록종 P. maritima는 극동털주머니뿔나방으로, 신속의 Neochronistis hodgesi는 긴털주머니뿔나방으로 각가 명명하였다.
        4,500원
        35.
        198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가지과작물의 주요해충인 감자나방이 국내에서 정착발생되는 지역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된 명태별 저온처리시험과 분포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난은 -10℃. 처리에서 시간의 경과에 따라 부화율이 현저히 떨어졌으며, -12℃. 24시간 처리에서 부화능력을 완전상실하였다. 2. 유충은 -5℃, 처리에서 시간의 경과에 따라서 용화율이 현저히 떨어졌으며 -7℃. 96시간 처리에서 용화능력을 완전 상실하였다.
        4,000원
        36.
        198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에 새로운 해충인 감자나방의 생활사를 밝히기 위해서 감자괴경을 먹이고 실내에서 개체사육에 의해 수행된 명태별 발육기간, 산란수, 성충수명 및 년발생 회수 등의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4~11월에 7회 발생하였으며, 난에서 성충까지의 발육기간이 가장 짧았던 것은 8월상순 발생에서 19.5일이었으며 4월상순 발생에서는 49.4일이었다. 2. 난기간은 평균기온 21℃. 이상에서는 4일내외였으며 평균기온 14.4℃.에서는 15.8일 이었다. 3. 유충기간은 평균기온 19.4℃.에서는 20.1일이었고 25~29℃.에서는 10일내외였다. 4. 전용기간은 발생시기별 큰 차이없이 2일내외였으며, 용기간은 평균기온 19℃.에서 13일이었고 25~28℃.에서는 6일내외였다. 5. (equation omitted)한마리당 산란수는 평균 101개였고, 성충수명은 (equation omitted)에 따른 차이가 보이지 않았으며 여름에는 1주일내외, 봄가을에는 2~3주일이었다.
        4,000원
        37.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Insect pests damages are increasing on the field of Lycium chinense under organic farming management and especially, pest damage of Gelechiidae (Ilseopsis parki Povolny) is serious. Currently, various organic farming materials are registered, but insecticidal activity against Gelechiidae was not verified. Therefore,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screening for effective organic farming materials showing insecticidal activity in Gelechiidae. Methods and Results : Screening for effective organic farming materials (OFM) showing insecticidal activity in Gelechiidae, we screening OFMs through in vitro testing Among them, OFMs showing insecticidal activity were first selected through field test. In the field test method, OFMs was sprayed at the time of moth occurrence, after 5 days of treatment, insecticidal activity was investigated as a result, a total of five OFMs were selected through the in vitro test and the Sophora japonica and three plant extracts showed the best control effect at 81.7%. in 2017. In 2018, the 2017 selected OFM and 4 kinds of new OFMs were field tested. The field test was performed in the same method as before. As a result, 2 kinds of OFMs made of Sophora japonica and three plant extracts extract and Sophora flavescens extract showed high control value of 87.3% and 88.3%, respectively. In contrast one organic agricultural material showed a chemical injury. To determine the timing of control, the extract was treated before and after topping and pretreatment of topping showed better control value by 80%. Conclusion : Insecticidal activity against Gelechiidae was not effective in all tested OFMs, but the 2 OFMs showed a high control value of over 80%. In this study, we selected 2 materials out of 9 OFMs against Gelechiidae, and It was effective to treat OFM before topping.
        38.
        2017.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Insect pests damages are increasing on the field of Lycium chinense under eco-friendly organic management and especially, pest damage of Gelechiidae (Ilseopsis parki Povolny) is serious. Currently, various eco-friendly organic materials are registered, but insecticidal activity against Gelechiidae was not verified. Therefore,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select eco-friendly organic materials showing insecticidal activity in Gelechiidae. Methods and Results : To test insecticidal activity, the Gelechiidae lavas were collected from the field and Nine eco-friendly organic materials were collected from the market. method. The insecticidal activity assay method was, putting Gelechiidae lavas on the 90mm petridish then water-diluted eco-friendly organic materials were sprayed onto the laver. Result of insecticidal activity was observed with a microscope 10 minutes, 2 hours and 18 hours after the treatment. Microscopic observation results, insecticidal activity was shown only in 5 out of 9 materials. Conclusion : As a result, Insecticidal activity against Gelechiidae was not effective in all tested materials, but the 5 eco-friendly organic materials showed the same effect in repeated experiments. In this study, we selected 5 materials out of 9 eco-friendly organic materials against Gelechiidae, then future studies are planned to select the most suitable materials by field testing the 5 eco-friendly organic materials.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