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3

        27.
        2007.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vitro development of porcine embryo is affected by culture condition. One possible factor is osmolarity of culture medium. This study examined whether high osmolarity of culture medium at the early culture stage improves development of preimplantation porcine in vitro fertilization (IVF) and nuclear transfer (NT) embryos. NT and IVF embryo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nd the basic medium was PZM-3 (250~270 mOsmol, control group). The control group of embryos was cultured in PZM-3 for whole culture period. Other two groups of embryos were cultured in a modified PZM-3 with 0.05 M sorbitol or 0.05 M sucrose (300~320 mOsmol, sorbitol or sucrose group) for the first 2 days, and then cultured in PZM-3 for further culture. NT embryos cultured in sucrose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developmental rate to the blastocyst stage with a decreased apoptosis rate compared to the sorbitol (p<0.05). For IVF, sucrose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increased the blastocyst formation rate with a decreased apoptosis rate compared to the control (p<0.05). This study represents that the high osmolarity in the early embryo culture stage can enhance the in vitro development of porcine NT and IVF embryos to the blastocyst stage with reduced apoptosis of cells.
        4,000원
        28.
        2007.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staxanthin is a kind of carotenoid compounds, having a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The antioxidative mechanism by which carotenoid scavenge free radicals has been clearly elucidated, but has not tried for the development of mammalian preimplantation embryo.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ntioxidative effect of astaxanthin on in vitro development of porcine in vitro fertilized embryos. Porcine embryos derived from in vitro fertilization (IVF) were cultured in 5% CO2 in air at 38.5℃ in PZM-3 medium supplemented with different dosages of astaxanthin (0, 1, 5 and 10 M) and taurine (0, 1, 2.5 and 5 mM) as a positive control, and execute to compare the effects of various antioxidants such as taurine, melatonin and asculatin on in vitro development. The proportions of embryos developed to the blastocyst stage were increased when 1 and 5 M of astaxanthin (26.6 and 23.4%, respectively) and 1 and 2.5 mM taurine (25.8 and 26.4%, respectively) were supplemented, compared to controls (p<0.05). Also, various antioxidant-treated groups were significantly higher rates of blastocysts (astaxanthin, 27.4%; taurine, 29.1%; melatonin, 26.8%; aesculetin, 27.9%, respectively ) than control (18.8%). There was no difference in mean cell number of blastocysts between antioxidants and control. This result indicates that astaxanthin has an antioxidant feature when porcine IVF embryos were cultured in vitro.
        4,000원
        32.
        200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고급육을 생산한 한우의 유전자를 재활용하기 위해 기초 등록우와 혈통 등록우의 육질등급이 1 등급 이상인 암소의 난소에서 개체별로 채취한 난포란을 개체별로 각각 체외 성숙, 체외 수정 및 체외 배양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기초 등록우의 육질 등급별로 회수된 난포란은 각각 1 등급 평균 28.9개, 등급 평균 28.8개, 등급 29.6개로 평균 29.0개였다. 기초 등록우의 육질 등급별 배반포배 형성율은 각각 1 등급 27.2%
        4,000원
        33.
        200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개 난자의 체외성숙과 체외수정을 통해 수정란을 획득하기 위하여 개 난소를 채취하여 난자의 형태, 난소의 채취시기 등이 체외성숙과 체외수정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1. 난구세포 부착 및 미부착 난자를 48시간 배양했을 때 체외 성숙율은 였다. 난구 세포 부착 난자의 체외 성숙율이 미부착 난자의 체외 성숙율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2. 난소를 휴지기, 난포기 및 황체기로 구분하여 난자를 회수하여 배양했을 때 체외 성
        4,000원
        34.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돼지에서 스트레스 관련 HSP70 유전자의 다형성과 IVF 수정란의 배발달간의 관련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HSP70-K1, -K3 및 -K4의 PCR 산물로부터 SSCP 다형성은 각각 다르게 확인되었다. 체외수정란의 분할율 시험에서 HSP70 K1-AA() 및 K1-AB() 난할율은 HSP70 K1-BB()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또한 HSP70 K3-AA() and K3-AB()형도
        4,000원
        35.
        200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돼지 난포란의 vitrification 동결 시 내동제의 종류 및 농도가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과 수정 후 체외발생율을 조사하고자 수행하였다. 1.0, 15, 30 및 40시간 성숙 배양시킨 난포란을 vitirfication 동결보존 후의 MII로의 발생율은 각각 였으며, diploid로의 발생율은 로서 대조군의 ME 단계의 에 비해 낮게 나타났으며 diploid 단계의 에 비해서는 높은 체외성숙율을 나타냈다. 체외발생율은 초기의 미숙 난포란일
        4,000원
        37.
        200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 vitro maturation (IVM) and in vitro fertilization (IVF) duration on the development of Korean Native Cattle embryos. The time of blastocyst formation and the quality of blastocysts based on cell numbers were examined. The cleavage rate increased with the length of IVF duration in the groups of 18-hr IVM, but was constant in the groups of 24-hr IVM. The development rate to the 8-cell stag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IVM 18: IVF 20 group than in the IVM 24: IVF 24 group. The development rate to the blastocyst stage was highest in the IVM 18: IVF 20 group,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IVM 18: IVF 16, IVM 24: IVF 20 and IVM 24: IVF 24 group. The time of blastocysts formation tended to be shorter when IVM and IVF duration were decreased. The number of inner cell mass, trophoblast and the total cel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IVM 18: IVF 16 group than in the IVM 24: IVF 24 group (P<0.05).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IVM and IVF duration should be adequate for the efficient production of bovine embryos, and it might particularly be essential to determine the proper combination of IVM and IVF duration.
        4,000원
        38.
        2004.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체외수정 후 체외배양48시간에 난구세포의 제거 유ㆍ무에 따라 CR/sub 1aa/ 배양액에 homoglobin을 0, 1, 5 ㎍/㎖를 첨가한 구의 상실배기 이상 체외발육성 적은 난구세포를 제거한 구에서 23.8%, 33.3% 및 26.8% 였으며, 난구세포를 제거하지 않은 구에서는 각각 39.5%, 54.8% 및 48.8%로서 난구세포를 제거하지 않은 구에 Hb를 1 ㎍/㎖를 첨가한 구가 여타구보다 통계적으로 높은 결과를 얻었다(P<0.05). 체외수정 후 체외배양 96시간 후 난구세포를 제거 유ㆍ무에 따라 Hb를 0, 1, 5 ㎍/㎖를 첨가하였을 때, 상실배기 이상 체외발육성적은 난구세포를 제거한 구에서 각각 28.6%, 46.2% 및 39.1%였으며, 난구세포를 제거하지 않은 구에서는 각각 33.9%, 67.2% 및 46.0%로서, 난구세포를 제거하지 않은 구에 Hb를 1 ㎍/㎖를 첨가구가 여타구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CR/sub 1aa/ 배양액에 L-NAME를 0, 10, 50 및 100 mM을 첨가한 구에서 상실배 이상 발육된 체외발육성적은 각각 55.6%, 64.9%, 58.8% 및 66.7%로써 L-NAME 첨가구가 무첨가구에 비해 커다란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 모든 처리구에 배반포까지 발육된 체외수정란의 세포수에는 커다란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