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7

        23.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친환경 유기농자재를 이용하여 잿빛곰팡이병균의 포자 발아, 균사생장 억제효과를 기내에서 조사하였다. 그 결과 잿빛곰팡이병의 균사생장 억제 효과는 Bacillus subtilis를 주성분으로 하는 제제가 100%의 억제효과를 보였으며, 그 외의 제제는 20% 이하의 범위에서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포자발아 억제효과는 유기황 수화제 2종('BTB', '황스타')이 각각 97.7%, 92.3%으로 나타났다. 균사생장 억제와 포자 발아억제에 모두 효과를 보이는 제제는 없었다. 따라서 잿빛곰팡이병 방제를 위해서는 포자발아 억제를 위한 방제와 균사생장억제를 위한 제제를 각각 처리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아울러 사물 기생성을 가진 잿빛곰팡이병의 방제를 위해서는 잔재물에서 생장을 막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 예방을 전제로 한 방제의 경우 유기황을 주성분으로 하는 제제가 적용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24.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친환경 유기농자재를 이용하여 고추 탄저병균의 포자 발아, 균사생장 억제효과를 기내에서 조사하였다. 그 결과 균사생장 억제효과 기내검정. 탄저병의 균사생장 억제 효과는 Bacillus subtilis를 주성분으로 하는 제제가 100%의 억제효과를 보였으며, 그 외의 제제는 20~40%의 범위에서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포자발아억제효과는 유황 수화제 2종('BTB', '황스타')이 각각 100%, 95.1%, '고려역'(95.0%), '보르스타'(99.0%), '지하부대 KM'(96.1%) 순으로 나타났다. 균사생장 억제와 포자 발아억제, 부착기 형성억제 결과를 고려하여 고추 탄저병 방제에 적용 가능한 친환경 방제제는 Bacillus subtilis, Panibacillus polymyxa 혼용제('고려역')가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예방을 전제로 한 방제의 경우 유황 수화제, 보르도액을 주성분으로 하는 제제가 적용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선택된 제제는 고추 포장에서 탄저병 방제효과가 최종적으로 인정되면 차후 고추 탄저병 방제에 이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25.
        2012.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lthogh Spermatogonial stem cells (SSCs) are widely studied in mice, study of pig SSCs is not sufficient for the isolation, long-term culture, and characterization. To identify the effect of growth factor in cultured pig SSC, newly generated pSSCs like cell from neonatal 5days porcine testis were cultured and investigated for the pSSCs like cell formation. Glial derived neurotrophic gactor (GDNF), fibroblast growth factor (FGF), leukemia inhibitory factor (LIF), and epidermal growth factor (EGF) were applied to culture media to identify the pSSC like cell growth and stem cell formation. The criteria for the determining of stem cell characters, morphology, number of colonies, putative stem cell marker were analysed by microspic,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and immunocytochemistry (ICC) methods. Most of the pSSCs like cells were formed approximately 100 μm size with sphere shape. Most of the feeder cells were highly dependent on FGF that feeder cells were not stably attached on plate without FGF and colony formation of pSSC was not observed consequently. Immunocyto chemistry data revealed that this cells expressed the ubiquitin-C-terminal hydrolase 1 (UCHL-1, PGP9.5) and Dolichos Biflorus Agglutinin (DBA) in addition of 20 ng/ml EGF, 10 ng/ml FGF, 10 ng/ml GDNF, 10 U3/ml LIF. In addition, Alkaline Phosphatase ()was positive in all period of culture. This study suggest that various growth factorsinp SSC culture system is important to regulate and maintain the pSSC. In conculsion, although the precise role of growth factor in pSSC proliferation need to be clarified, combination of growth factor might be critical in order to derivation and proliferation of neonatal pSSCs and spermatogenesis.
        26.
        201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국내에서 육성된 거베라 ‘Saebom’, ‘Songsongee’ 그리고 ‘Sugar Pink’ 등 3품종을 이용 하여 LED와 cytokinin이 기내 유묘의 생장 및 형태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MS 기본배지에 BAP 0, 1.0, 2.0, 4.0mg·L-1와 kinetin 1.0, 2.0, 4.0 mg·L-1 각각에 NAA 0.2 mg·L-1를 혼용하 고, LED는 적색, 청색, 혼합(적색+청색) 및 형광등으 로 하여 배양 6주 후 기내 유묘의 생육을 조사하였다. 3품종 모두 신초 생육에서 신초장은 대조구인 형광등 보다는 적색광 처리구에서 길어지는 경향이었으며 엽 신은 작아지고 엽병은 가늘어지는 형태를 보였다. 특히 BAP에서의 신초는 대부분 로제트 타입으로 생육하였다. 신초수는 형광등과 혼합광 처리구의 BAP 4.0 mg·L-1 에서 가장 많았고, BAP가 kinetin보다 신초수 증가에 더 효과적이었으나 투명화율이 높게 나타났다. 뿌리의 생육은 3품종 모두 모든 광원에서 cytokinin 무처리구 에서 양호하였다. 또한 생체중과 건물중 그리고 엽면적 값은 혼합광 처리구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다. 엽록소 함량은 ‘Songsongee’ 품종을 제외하고는 청색광 처리 구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3품종 모두 조사된 모든 광원 에서 kinetin이 BAP보다 더 높은 엽록소 함량을 보였 다. 투명화율의 경우는 모든 광원에서 BAP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kinetin 처리구 에서는 투명화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4,000원
        27.
        2011.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Human growth hormone (hGH), one of the most important hormones in medicine, is secreted from anterior pituitary gland. Its broad physiological function includes body growth, cell regeneration, increasement of muscle volume, bone density, body fat reduction, and so on. Due to the wide range of therapeutic effects, the hGH produced from E. coli has been commercialized already. In this study, we asked whether it is possible to produce recombinant hGH efficiently from various cultured mammalian cells. To meet this purpose, we chose a retrovirus vector system for transfer and expression of the hGH gene in various mammalian cells. Analyses of RT-PCR, ELISA, and Western blot to determine expression of the hGH gene showed the highest production of the hGH was determined from chicken embronic fibroblast (CEF) cells with the concentration of 8.58 μg/ml. The biological activity of the hGH was similar to the commercially available counterpart. These results suggest that mass production of hGH is possible not only in the E. coli but also in the various mammalian cells.
        4,000원
        28.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우리나라 무스카리 우점품종인 ‘Early Giant’ 의 대량증식 체계를 구축하기 위하여 잎 절편으로부터 소인경 형성과 비대에 미치는 MS 무기염 농도, 당 농도 및 광조건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무스카리의 잎 절편을 2주간 암 배양 후 MS 기본배지에 NAA 0.01mg·L−1, kinetin 0.2 m·L−1, 자당 30 g·L−1와 gelrite 3 g·L−1가 첨가된 배지에 16시간 일장으로 명 배양하였을 때 자구형 성 및 생육이 가장 양호하였다. 다만, 자구 비대는 MS 배지 내 60 g·L−1 당 농도에서 촉진되었다. 온실에서 순 화된 식물체는 정상적으로 개화하였으며 정식 2년차에 1.5개 내외의 자구를 가진 구를 생산할 수 있었다.
        4,000원
        29.
        201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n efficient method for the rapid micropropagation of Camptotheca acuminata from axillary buds was established by application of various plant growth regulators. Among various cytokinins, 0.5 mg L-1 BA showed the best performance on shoot multiplication, number average multiple shoots up to 10.8. The propagated shoot cuttings in vitro were elongated on NN basal medium without plant growth regulators. The secondary multiple shoots were induced at the site of initially induced buds. Rooting was induced directly near the base of the shoot on half-strength NN medium containing 0.5 mg L-1 of IBA, whereas high concentration of 1.0 mg L-1 IBA could induce callus at the base of the shoot. The camptothecin content, anticancer compound of the micropropagated plants was contained in various tissues. Camptothecin contents were 1.8 and 2.5 mg g-1 dry weight in stems from propagated in vitro and mother plant, respectively. This result may be used to develop strategies for large-scale propagation of elite C. acuminata trees.
        4,000원
        30.
        2010.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urrent developments in IVF and animal cloning have resulted in increasing demand for large quantities of oocytes and ovarian follicles at specific stages of development. These medical and scientific needs may be met by developing an optimal culture system for preantral follicl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growth of porcine preantral follicle cultures in different media and in the presence and absence of serum. Follicles were manually dissected from ovaries obtained from prepubertal gilts at a local slaughterhouse, and cultured for 3 days in M199 or NCSU23 medium supplemented with porcine FSH, transferrin, L-ascorbic acid and insulin. Follicle diameters were measured on day 1 and 3 of culture. In Experiment 1, the effect of supplementing culture medium with fetal calf serum (FCS) on porcine preantral follicle growth was examined. In the group of cultures supplemented with FCS, follicle diameter after 3 days of culture, survival rate and antrum formation rate in the FCS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In Experiment 2, the effects of culture medium (M199 and NCSU23) on follicle growth were compared. Follicle diameters were increased in the M199 group, compared with those in NCSU23 (p<0.05), but we observ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rvival and antrum formation rates between cultures grown in the two media. In conclusion, supplementation of the culture medium with serum enhances preantral follicle growth and antrum formation, and M199 is superior to NUSU23 for porcine preantral follicle culture in vitro.
        4,000원
        31.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한약재 (결명자, 계피, 산초, 감초) 추출물의 반추위내 발효와 미생물 활성에 대한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In vitro 건물소화율은 계피와 산초 추출물 첨가구에서는 0시간대, 감초 추출물 첨가구에서는 3시간대에 대조구에 비해 현저히 (P<0.05) 낮았다. 한약재 추출물 첨가에 따른 발효 시간대별 휘발성 지방산 조성의 변화는 3시간대에서만 처리간 유의성이 인정되었는데, acetate 비율은 대조구가 천연 추출물 첨가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butyrate, isobutyrate, isovalerate 및 valerate은 대조구에서 가장 낮았다 (P<0.05). 미생물 성장율은 발효 3시간대에서 결명자 첨가구를 제외한 한약재 첨가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P<0.05)으로높았으나다른발효시간대에서는차이가없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한약재로 사용되고 있는 계피, 산초 및 감초 추출물을 in vitro 반추위 배양액에 첨가하였을 때, 발효초기에 반추위 미생물의 활성을 억제하는 경향은 있었으나 미생물 성장에 대한 억제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32.
        2009.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effects of different culture media. Preantral follicles were mechanically extracted from bovine ovaries and cultured for 16 days in tissue culture medium (TCM)‐199, DMEM or alphaminimal essential medium (α‐MEM) + 10% FBS + 0.1 mg/ml sodium pyruvate + 100 mIU/ml FSH. The collected primary follicles from ovary were higher than the primary and secondary follicles. The survival rates of the follicles in TCM‐199 were significantly higher (p<0.05) than those in DMEM and α‐MEM. The diameter of the follicles progressively increased during 12 days of culture. The maximum size (139.1±5.4 μm) reached on Day 12 of the in vitro culture and decreased on Day 16.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 a culture of bovine preantral follicles, TCM‐199 is an optimal medium and a longer‐term culture of preantral follicles (>12 days) may be needed to form antra.
        4,000원
        34.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전 실험에서 결정된 생육 단계별 최적 환경조건을 평가하기 위한 4가지 처리는 다음과 같았다: 생육 단계별 최적 환경 조건을 사용한 광독립 영양배양(photoautotrophic optimum condition with growth stage (POG)), 생육 단계별 평균 광합성 광량자속 밀도(photosynthetic photon flux density(PPFD))와 CO2 농도를 사용한 광독립 영양배양(photoautotrophic constant condition with average PPFD and CO2 of POG(PCA)), 생육 단계별 최대 PPFD와 CO2농도를 사용한 광독립 영양배양(photoautotrophic constant condition with maximum PPFD and CO2 of POG(PCM)) 그리고 대조군으로 3%의 당을 포함한 광혼합 영양배양(photomixotrophic conventional condition with 3% sucrose(PMC)). 실험 결과 각 생육 단계별 환경제어(POG)는 기내에서 배양된 감자 소식물체의 모든 생육 관련 항목에서 유의적 증진을 유도하였다. 또한 단위 건물중 당 소비된 전력과 CO2는 모든 처리 중 POG에서 가장 낮았다. 기외 이식 이후에도 POG에서 생산된 감자 묘는 PMC에서 자란 감자 묘와 전체적으로 큰 차이 없이 왕성한 생육을 유지하였다. 특히 POC는 기존 광혼합 영양방식(PCM)과 비교했을 때 기외 이식전과 이식 후 20일째 각각 4.7배와 3.8배 높은 건물중을 기록하였다. 따라서 POG와 같은 생육 단계별 환경 조절을 통한 광독립 영양 미세 증식 방법은 에너지 절감 효과와 함께 무균의 건강한 감자 묘의 생산에 효과적이었다.
        4,000원
        35.
        2008.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more effective cryoprotectant for the cryopreservation of mouse preantral follicles. Enzymetically isolated preantral follicles from 12-day-old mice were cryopreserved by a slow freezing protocol with 1.5 M propanediol (PROH), dimethyl sulphoxide (DMSO) or glycerol (GLY) and then grown and matured in vitro for 11 days after thawing. The survival of preantral follicles immediately after freezing and thawing was not different among the PROH (68.2%), DMSO (72.4%) and GLY (72.1%). After grown and matured in vitro, the rates of survival and metaphase II oocytes were 54.9% and 36.6% for PROH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rates (p<0.05) compared with the rates obtained from DMSO (16.9% and 9.0%) and GLY (16.3% and 7.5%). The diameter of metaphase II oocytes from pre antral follicles frozen in PROH (67.4+-1.8 um) was significantly (p<0.05) smaller than that of the fresh preantral follicles (69.1+-2.3 um). The results from the present study revealed that PROH is more suitable cryoprotectant for the cryopreservation of mouse preantral follicles.
        4,000원
        37.
        200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곰피추출물의 CCD-986sk cell line monolayer (human fibroblast, KCBL-21947)에 대한 피부세포 생리활성효과를 측정하고, 또한 곰피추출물의 Clone M-3 mouse melano-cyte cell line에 대한 melanin formation 저해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in vitro레벨에서 실험을 실시하였다. 곰피는 다년생 갈조류의 일종으로 이 종은 한국 연안해역에서 중요한 1차생산자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4,000원
        38.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VEGF on in vitro maturation of porcine oocytes. The base medium for IVM, TCM-199 was supplemented with 0.6 mM cysteine, 0.91 mM pyruvate, 10 ng/ml epidermal growth factor, kenamycin, insulin and 10% (V/V) porcine follicular fluid (pFF) as a Group A; Group B was consists of Group A plus 5 ng/ml VEGF; Group C was consists of replacement of pFF by 10% PVA and Group D: was consists of Group C plus 5 ng/ml VEGF. 1. The maturation rate was significantly higher (p<0.05) in control and VEGF+pFF group than other two groups (, respectively). 2. Addition of VEGF without pFF showed a negative effect on oocytes maturation and about 58.26% oocytes were reached to M-II stage. 3. In the parthenogenetic development, the cleavage rate was significantly higher (p<0.05) in control and VEGF+pFF group (, respectively) than other groups (, respectively). 4. The blastocyst formation rate was significantly higher (p<0.05) in VEGF+pFF group () compared to control and other groups. 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ell numbers (inner cell mass or trophectoderm) among these groups.
        4,000원
        39.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 자연 상태의 노지재배에서 종자번식이 되 지 않는 크로코스미아의 기내증식을 위하여 2,4-D, NAA, kinetin, BA 처리가 캘러스 및 소자구 형성 등 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어린자방 배양에서 캘러 스 형성율은 BA와 2,4-D 혼합 처리에서 1~28%로 나타났으며 기내 뿌리 발생은 2,4-D, NAA 단독처리 에서 양호하였다. 소화를 이용한 배양에서는 kinetin +2,4-D, kinetin+NAA 조합에서 뿌리만 형성되기도 하 였다. rhizome 배양에서 줄기 형성에는 kinetin 단독 처리, kinetin+2,4-D 혼합처리가 양호하였으며 캘러스 형성에는 2,4-D 단독처리, 2,4-D+BA, 2,4-D+kinetin 혼합처리에서 25~92.8%의 형성율을 나타냈으며 corm 형성에서는 kinetin 처리와 kinetin + 2,4-D 0.1 mg·L-1 처리구에서 30~70%의 높은 형성율을 보였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