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0

        21.
        2008.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300원
        22.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regarding the utilization of native English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focusing on its benefits and problems and to explore better ways of utilizing them for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024 elementary school students, 80 Korean elementary English teachers, and 56 native teachers of English.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Through the analysis of data the followings were revealed: 1) the native teachers of English considered that their working conditions including wages and the amount of teaching time were appropriate, but the pre-training program was not satisfactory; 2) the Korean English teachers felt that their workload related to native teachers of English was too heavy; 3) the students perceived that studying English with native teachers of English had positive effects on their English abilities in terms of cognitive and affective aspects; 4) in most schools team teaching between native teachers of English and Korean teachers were being performed and both teachers were satisfied with it; 5) however, several issues such as the role relationship between the Korean English teachers and the native teachers of English, the quality of pre-training, and reconstruction of teaching materials should be resolved in order to improve English program of utilizing native English-speaking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7,000원
        23.
        200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s English has been rapidly spreading to non-Western communities, we have had numerous varieties of English. In the Outer Circle, English gained an official status, which resulted in nonnative varieties of English. In the Expanding Circle, English achieved the status of the first foreign language. With a range of English varieties, educators and administrators have been faced with controversial questions such as: (1) how to define native speakers of English? and (2) which varieties to teach? This qualitative study investigates four Korean EFL teachers’ perception of speakers of English and the issue of target varieties. Using data from semi-structured interviews and personal conversations collected for one academic semester, the researcher found that the participants considered various features when identifying an individual as a native or nonnative speaker of English. They used to consider ethnicity and nationality important in the past, which have been replaced by language precedence, cultural attachment, native speaker’s intuition, and mutual intelligibility. The findings of this study also demonstrate that American English is regarded as the most preferred variety as an educational target in Korean ELT because of the power that its speakers have.
        6,000원
        24.
        200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700원
        28.
        2021.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한국인 중등 영어교사(KETs) 2명과 원어민 영어보조교사(NETs) 2명의 의견을 바탕으로, 현재 코티칭 수업에 대한 그들의 시각에 대해 논의한다. 한국에서의 개인적 교수경험을 기초로 한 코칭에 대한 정의, 코티칭에 대한 현재의 태도를 결정하는 데 영향을 끼친 요소들, 더 나은 코티칭 수업을 위해 필요한 점에 대한 그들의 의견을 온라인 비디오 인터뷰를 통해 수집하였으며, 동료검토 과정(Peer debriefing session)을 통해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네 명의 영어교사 모두가 코티칭의 개념, 코티칭 수업의 목표, 어떻게 코티칭 수업을 하고 피드백을 공유할 지에 대한 명확한 합의에 도달하지 못하였으며, 그 실천 가능한 방법을 배울 기회가 부족했다. 그로 인해, 한국인 중등 영어교사와 원어민 영어교사 사이 수업에 대한 주인의식(Sense of ownership)이 불균형하고, 코티칭에 대한 서로의 의견이 암묵적으로 불일치하는 상황이 야기되었다. 또한 원어민 교사와의 코티칭 관련 협의 과정에서 어려움을 경험한 바 있었다. 한국인 영어교사들은 코티칭 수업에 대한 진지한 의견을 공유 하려는 시도 자체가, 그들의 원어민 영어보조교사들에 의해 "방해 (혹은 간섭)”으로 받아들여질 것이 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또한, 네 명의 참여자들 모두 코티칭에 필요한 요소인 협력하는 방법을 제대로 연수 할 기회가 없었다는 것을 인터뷰 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영어 코티칭 교사들 사이에 건설적인 협의를 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한다.
        29.
        2021.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 영어 학습자가 자주 만들어 내는 분절음의 오류가 한국인 영어교사의 이해 가능성과 이해도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고 그 과정에서 드러나는 교사 인식의 역할을 알아보는 데 있다. 유의미한 평균 차이가 나타나는 음소를 구체화하기 위해서 분절음의 오류를 음소 부담량과 자·모음으로 구분하였다. 영어 원어민의 이해 가능성과 이해도 점수를 비교 데이터로 수집하였다. 이해 가능성 과제에서 오류 분절음이 모음일 때 음소 부담량이 높은 음소는 한국인 교사에게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교사와 화자가 같은 모국어를 공유함에도 해당 음소의 오류를 이해하는데 특별한 이점이 없었음을 나타낸다. 그러나 이해도 과제에서는 해당 분절음 오류에 관한 유의미한 점수 차이가 없었다. 이는 한국인 교사가 실제로 높은 음소 부담량의 모음 오류가 포함된 단어를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편하게 이해하였다고 잘못된 판단을 내렸음을 보여준다. 또한, 세계 영어를 교실에 수용하고자하는 교사의 태도와 관련하여서 유의미한 평균차이가 발견되었다. 낮은 수용도를 가진 교사들이 높은 음소 부담량을 가진 모음의 오류에 대해 더 낮은 이해도 점수를 부여하였다. 해당 오류에 대한 교사의 낮은 이해가능성 점수를 고려하면, 현 실험 상황에서 낮은 수용도의 교사의 이해도 점수 부여가 좀 더 합당한 것으로 보인다.
        30.
        2017.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한국 영어교육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온 원어민 영어교사에 대하여 그들의 영 어수업과 학교 및 학교 밖 한국 사회에서 오랫동안 해결되지 않은 중요한 문제들에 대해 탐구하 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교사들의 보다 직접적이고 깊이 있는 이야기를 듣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 는 내러티브 탐구를 연구 방법으로 채택하였다. 두 명의 원어민 영어교사와 한 명의 한국인 영어 교사의 생생한 경험담을 분석함으로써, 본 연구는 부족한 교사 연수, 상이한 교육 환경, 협력수업 시스템의 문제, 소통과 공동체 부족 문제, 그리고 학교 밖 사회 활동에 대한 지원 부족이 주요 문 제임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실질적인 교사 연수와 협력 수업에 대한 토 론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앞으로는 교사들이 협력 교수를 위한 학습자 또는 동료 코치라 는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무엇보다 한국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서 원어민 영어교사에 대한 인식 전환이 필요할 것이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