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7

        21.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number of structures that make up the domestic social infrastructure has increased with the development of the national industry, and the social demand for safety due to the aging of structures has also increased. Accordingly, the law stipulating safety and maintenance management for major structures in the country has been revised and it has been implemented since this year. In this study, we will introduce changes to the safety and maintenance system for public structures under the law, analyze the results of inspection and diagnosis of public structures, and consider the status of safety and maintenance.
        22.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mong various image acquiring technologies which are based on electromagnetic waves, the frequently used imaging technologies in various industries and remote diagnostics, such as spectral, thermal, mm-wave, microwave and short-wave imaging are analyzed in their characteristics and their perspectives as the major diagnostic technologies in public safety areas are described.
        23.
        201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disaster can be defined in many ways based on perspectives, in addition, its types are able to classify differently by various standards. Considering the different perspectives, the disaster can be occurred by natural phenomenon that is like typhoon, earthquake, flood, and drought, and by the accident that is like collapse of facilities, traffic accidents, and environmental pollution, etc. Into the modern society, moreover, the disaster includes the damages by diffusion of epidemic and infectious disease in domestic animals. The disaster was defined by natural and man-made hazards in the past. As societies grew with changes of paradigm, social factors have been included in the concept of the disaster according to new types unexpected by new disease and scientific technology. Change the concept of social disasters,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MPSS) has provided the regional safety index, which measures the safety level of a local government. However, this regional safety index has some limitation to use because this index provides the information for city unit which is a unit of administrative districts of urban. Since these administrative districts units are on a different level with urban and rural areas, the regional safety index provided by MPSS is not be able to direct apply to the rural area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regional safety index targeting rural areas. To estimate the safety index, we was used for 3 indicators of the MPSS, a fire, a crime, and an infectious disease which are evaluable the regional safety index using an accessibility analysis. For determining the regional safety index using accessibility from community centers to public facilities, the safety index of fire, crime, and infectious disease used access time to fire station, police office, and medical facility, respectively. An integrated Cheongju, targeting areas in this study, is mixed region with urban and rural areas. The results of regional safety index about urban and rural areas, the safety index in rural area is relatively higher than in the urban. Neverthless the investment would be needed to improve the safety in the rural areas.
        24.
        2016.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의 지진 발생 추이가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에 따라 시설물 피해를 주고 큰 인명 피해를 초래하는 지진재해에 대한 대비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지진재해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지진 또는 진동가속도에 대한 실시간 계측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본과 미국의 경우 중요 시설물에 대하여 이미 실시간 지진가속도계측을 시행하고 있으며 계측된 지진가속도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화되어 관리되고 있다. 이를 이용해 내진설계기준 개정시 또는 지진으로 인한 피해 예측시 활용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 최근 지진재해대책법 및 시행규칙이 개정되어 공포 되었으며, 국민안전처에서 지진가속도계측자료 통합관리시스템을 구축해 나가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민안전처 통합관리시스 템에 연계가 가능한 시설물 실시간 진동 감지 및 분석 시스템을 개발 하는 것이다. 이 시스템은 지진가속도계측데이터 모니터링 기능을 포함하 며, 또한 고속푸리에변환, 고유진동수 추출, 응답스펙트럼, 파워스펙트럼, 진도 표출, 시설물 건전도 평가 등 다양한 가속도데이터 분석 기능을 갖추고 있을 뿐만 아니라 국민안전처 지진가속도계측자료 시스템에 연계가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 개발된 시스템은 시설물의 안전관리 네트 워크 구축, 지진 또는 진동으로 인한 시설물의 피해에 대한 대비, 유지관리 비용의 최소화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25.
        2015.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government and the National Assembly of the Republic of Korea enacted and proclaimed the 'Special Act on the Safety Control of Public Structur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Special Act') through the legislation process by Assembly members on January 5, 1995, in order to prevent disasters and calamities through facility safety inspections and proper maintenance. But nevertheless the result of the 'Special Act on the Safety Control of Public Structures' clearly exist, methodical analysis and effect of 'Special Act on the Safety Control of Public Structures' have not proposed since last 20 years. So question about the infrastructure of safety is brought up consistently. After that, the government has been creating new trends of facility maintenance since it deeply realized the significance of systematic inspection and maintenance of major public structures.
        26.
        2015.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세계 최고 수준의 도시화율과 OECD 국가중 최고의 자살율,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인적재난으로 인한 사회적·인적 손실 등 이미 통계자료나 언론을 통해 우리 생활 주변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주고 있는 안전수준 및 위험수위는 날로 심화되고 있다. 이에 현 정부 들어 「범죄로부터 안전한 사회구현」, 「재난재해 예방 및 체계적 관리」 등이 주요 국정과제 현안으로 추진되는 등 국민안전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 일환으로서 국민안전처 국립재난안전연구원에서는 모바일과 IT 환경에서 다양한 부처에서 분산 관리되고 있는 각종 재난안전정보를 수집, 통합적으로 연계하여 DB화하고, 국민의 생활안전의식 제고, 생활안전 환경 개선 및 예방능력 강화 등을 위한 생활안전과 관련된 다양한 컨텐츠를 지도 기반으로 대국민들에게 공개하여 서비스하는 생활안전지도를 구축하고 있다. 생활안전지도 구축사업은 「정부 3.0」의 기본방향에 따라 재난안전 관련 부처와 지자체의 협업기반을 구축하여 재난안전 정보 공유를 촉진하고 재난안전 대민서비스 창구를 일원화하여 ‘공급자’위주에서 ‘국민중심’의 서비스로 발전시키고자 추진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도기반 생활밀착형 안전정보 제공을 위하여 생활 주변의 위해요소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4개 분야(교통, 재난, 치안, 맞춤안전) 공공데이터를 DB로 구축한 후, GIS 분석을 통하여 주변의 안전수준을 진단·분석하고 그 위험수준을 지도 위에 표시하여 인터넷이나 모바일 환경에서 국민들에게 제공하는 지도서비스 플랫폼 형태로 구축하였다. 지자체 재난안전관련 부서에서는 이러한 재난안전 공간서비스를 활용하여 개선이 필요한 지역에 대해 적절한 정책 수립과 예산 배정, 행정력 실행 등 개선노력을 통해 점진적·선순환적으로 주민들의 안전을 확충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지가 하락, 지역간 위화감 조성 등 안전지도 서비스로 인한 우려와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기술적·정책적 방안도 함께 마련할 계획이다. 향후 신규분야(시설, 산업, 보건식품, 사고안전)에 대한 서비스 컨테츠도 확대 구축하여 지자체의 효율적인 안전취약지역 개선 활동 및 국민들의 안전한 사회를 구현하는데 기여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7.
        2009.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s to find out negative factors against public safety in urban parks. Longitudinal data between 1994 and 2008 were analyzed to suggest management implication for high quality security and safety in urban park.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investigation of visitor to the park at night reveals that visitors who were elderly, walking out, and family group increased, and that most visitors took a stroll for one hour around 8:00pm. Olympic park (e.g. leisure facility 66.7%), Hyo-won park (e.g. vacant lot 23.8%), Jang-an park (e.g. near hedge 30.1%), and Mae-tan park (e.g. leisure facility 20.8%) were revealed as latent places of serious criminals. Secondly, both in 1994 and in 2008, principal factors of public safety were summarized as fear for violence(X1) and fear for closed space(X3). These factors took 3.22 followed by 3.07 respectively in the overall mean of public safety of parks. Thirdly, overall mean of public safety takes 2.22 in 1994 and 2.96 in 2008, which shows uncertainty of effective management of facilities with a viewpoint of visitors. All parks shows negative trend in public safety, in short.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