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5

        21.
        200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고속철도 강합성형 교통비 동적해석에 기반한 피로신뢰성평가 기법을 제시하고 동조질량감쇠기의 효과를 피로수명연장 측면에서 검토하였다. 피로 신뢰성 평가를 수행하기 위하여 S-N 곡선 및 선형누적손상이론을 이용하여 한계상태식을 설정하였다. 열차 속도와 교량 감쇠비의 불확실성을 고려하여 교량에 대한 반복적인 동적해석을 수행하고, 이 결과로부터 전체 교량수명동안에 교량이 받는 피로 손상도와 연관된 확률변수의 특성을 통계적으로 추정하였다. 최종적으로 결정된 확률변수와 한계상태식에 개선된 일계이차모멘트법(AFOSM)을 적용하여 피로 신뢰도 지수를 산정하였다. 40m 지간 강합성교량의 수치모사로부터 동조질량감쇠기 장착여부에 따라 피로 신뢰도 지수를 평가하고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
        4,000원
        22.
        200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구조가 간단하고 경제적이며, 보수유지 면에서 능동형 진동제어 장치로서 매우 유리한 장점을 가지고 있는 선형모터 댐퍼(LMD : linear motor damper)를 개발하여 유니슨 기술연구소에 설치된 대형 철골구조물에 적용하였다. 개발된 LMD는 1,500kg의 가동질량을 갖고 있으며, 최대 \pm250mm의 변위로 움직일 수 있다. 제어 대상 시험구조물의 최저차 2개 진동형만을 가지는 축소모델을 사용하여 H_{\infty} 제어로직을 설계하였다. 일련의 성능 검증시험을 통해 시험 구조물의 1, 2차 진동형에 대해 가속도 레벨이 약 l0dB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LMD가 풍 및 지진하중을 받는 구조물의 진동제어용 제진장치로서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4,000원
        23.
        200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물리역학적 특성을 고려한 점탄성 감쇠기의 수치모델에 의한 강뼈대구조물의 지진응답개선에 관해서 조사하고자 한다. 온도변화에 의한 감쇠기 이력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기 위하여, 점탄성 감쇠기의 모델은 온도-주기 등가원리와 더불어 개선된 분수도함수법에 기초하여 정식화하였다. 본 감쇠기 모델의 알고리즘을 일반화된 강뼈대구조물의 비선형 동적 해석 프로그램에 추가하였다. 강뼈대구조물에 대한 해석 예를 통하여, 제시된 모델에 의한 점탄성 감쇠기의 지진응답개선에 관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4,200원
        24.
        200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철골조 건물의 내진 보강 방법으로 점탄성 감쇠기의 적용과 효과에 대하여 성능에 기초한 내진 설계의 관점에서 연구하였다. 먼저 단자유도계 구조물을 대상으로 입력된 지진에너지의 소산에 대한 감쇠기의 효과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설계하중으로 중력하중을 적용한 5층 건물과 중력하중과 풍하중을 적용한 10층과 20층 건물에 대하여 해석을 수행하였다. 비선형 시간이력해석을 수행하기 위하여 성능에 기초한 내진설계기준(안)에 제시된 표준 설계응답스펙트럼을 각 지반종류와 성능목표에 대하여 구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인공지진을 생성하였다. 해석결과에 따르면 층간변위를 성능기준으로 적용하였을 때 모든 모델이 연약지반(기능수행 성능목표)을 제외한 대부분의 지반조건에서 기준안에 제시된 성능목표를 만족하였다. 또한 적당한 위치에 점탄성 감쇠기를 설치함으로써 내진성능을 향상시키고 구조물이 탄성적으로 거동하도록 유도함을 보였다.
        4,000원
        25.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록킹 거동은 구조체가 수평력을 받을 때, 수직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로 회전하는 거동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최신의 연구 동향을 개념으로 하여 강체 좌우에 댐퍼를 설치하여 에너지를 소산시키는 방법을 고안하였다. 강재 댐퍼는 SS275 강종을 사용하였으며, 두께 12mm, 폭 30mm, 높이 140mm인 S형 스트럿을 가지는 형상을 사용하였다. 실험은 변위를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면서 진행하였다. 향후 댐퍼 스트럿 형상 및 스트럿 높이를 변수로 한 성능실험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26.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에서는 반복하중을 받는 ㄷ자형 강재 댐퍼의 거동을 평가 한다. 연구에 사용된 강재 항복형 댐퍼는 에너지소산부와 긴결부로 구성된다. 에너지소산부의 단면 크기는 15×20mm이며 폭은 120mm, 높이는 90mm이다. 제조가 간편한 ㄷ자 형태를 가지는 강재 댐퍼는 지진하중을 모사할 수 있는 실험기기에 장착되어 반복하중을 받도록 하였다. 목표변위까지 총 5회의 반복하중 실험을 수행한 결과, 강재의 항복 이후 에너지소산능력이 뛰어난 연성적인 거동을 보였을 뿐만 아니라 반복하중을 수행하는 동안 강도의 저하를 보이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27.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비내진상세를 가지는 중⦁저층 R/C 건물의 1층 골조를 제작하여 무보강 실험체에 대한 구조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실험체는 부재각 1.33%에서 전단파괴를 나타내어, 비내진상세를 가지는 R/C 건물의 내진성능에 관한 중요한 자료를 획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간주형 좌굴방지 강재 슬릿댐퍼 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내진보강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구조실험에 선행하여 상기 국내 비내진상세 RC 골조 실험결과를 기반으로 비선형해석을 실시하였다.
        28.
        2019.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it evaluate the hysteretic behavior of I type strut steel damper with newly designed locking behavior test system based on the results of previous research. The maximum deformation was reached at a horizontal load of 270 kN and a displacement of 25 mm, and the experiment was terminated. The damper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of the panel was also failed. In the future, a performance experiment is being conducted using the strut aspect ratio as a variable.
        29.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as a part of the BCP (Business Continuous Plan), the performance tests of the rocking wall and the steel damper were carried out. The rocking wall was made of concrete block. The concrete block was connected to the floor by two hinges. However, in the performance test, the hinge part was destroyed and the experiment was finished. This will be due to the fact that the hinge has not rotated, and will be retested after reinforcement of the concrete block.
        30.
        2018.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기존 골조구조물의 횡 변위 조절이 가능한 댐퍼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상세개발 및 성능실험을 실시하였다. 개발 상세는 기둥간 보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안된 ALD및 층간변위를 제어하기 위하여 고안된 AWD로 구분되며, 기존 연구결과의 비보강 BF를 비교대상으로 사용하였다. 파괴양상, 하중-변위 곡선, 포락선, 최대강도, 강성저하 및 에너지 소산능력 등을 비교 평가하였으며, ALD 및 AWD 의 내진보강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아라미드 시트로 기둥을 구속하는 공법이 내진성능 향상에 매우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31.
        2018.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presents the seismic performance of the steel damper under reversed cyclic loading. The U-shaped steel damper used in this study was designed to have energy dissipation zone with an external diameter of 120 mm, a width of 15 mm, and a thickness of 15 mm. The cyclic loading test was carried out using an uniaxial universal testing machine with a capacity of 2,000 kN. The test results indicated that no strength deterioration of the specimen was found as well as the equivalent damping ratio of the specimen was excellent.
        34.
        2017.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establishes the procedure of design for unit of buckling resistance steel damper including of the geometric size for sim plate.
        35.
        2017.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reinforcement effect of buckling resistance steel damper on member with two-column and beam is evaluated by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of lateral load and displacement.
        36.
        2016.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four buckling resistance steel dampers were tested under cyclic lateral loa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lateral load and displacement. The main variables are the existence of cover plate for preventing from buckling of out-of-plane and thickness of sim plate with 3.2 mm, 4.5 mm and 7.0 mm. The test showed that steel damper with cover plate had the wider area of its hysteresis loop than that of without.
        37.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proposed a new type of seismic damper based on yielding of a cantilever type steel element. The hysteretic behavior and energy dissipation capacity of the proposed damper were investigated via component tests under cyclic loads. The experimental results indicated that the damping device had stable restoring force characteristics and a high energy dissipation capacity.
        38.
        2012.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hear panel steel damper has been widely used as seismic energy absorption device because it is economical and effective. It dissipates seismic energy by plastic deformation and fatigue resistant around welded part. However, due to early deformation of the panel under cyclic loading, the resisting strength decreases, so that the resisting capacity of the panel needs to be increased. In this paper, to investigate the improved damper called advanced shear panel damper (ASPD), both plastic deformation and resisting capacity was carried out non-linear FEA. In addition, the analysis result was compared with static loading test for verification.
        39.
        2012.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Non-linear hysteresis model and analysis method are suggested to evaluate hysteresis behaviors of reinforced concrete frame having spandrel wall which was retrofitted by steel damper. As the results of non-linear static analysis, the proposed non-linear hysteresis models can represent the results of experiments similarly.
        40.
        2012.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teel panel dampers are very economical, easy to maintain and widely used as vibration control devices for building structure. However, this dampers are fractured in the center part under repeated loading so that the strength degrades after attaining the maximum resisting capacity. This issue and other many problems had been pointed out by many researchers. In this paper, the performance of steel panel damper has been enhanced by introducing cover plates on the panel on both side so that the lateral out of plane buckling of panel was protected. Thus, the deformation behavior as well as its hysteretic characteristics of a newly proposed Out-of-plan buckling resisting steel damper (BRSD) were studied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