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2

        21.
        201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LED 조명의 색상이 정서자극의 평정과 재인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세 개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1과 2에서는 IAPS 정서사진을 사용하여 각각 Red, Green, Blue, 및 White와 Cyan, Magenta, Yellow, 및 White의 조명색상조건에서 정서평정(정서가, 각성차원) 과제와 재인기억과제를 실시하였다. 실험 3에서는 정서단어를 사용하여 Red, Green, Blue, 및 White 조명색상조건에서 두 과제를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정서평정과제에서는 일차 색상(RGB)의 경우, LED조명 색상이 Red일 때는 흥분을, Green일 때는 유쾌 정서를 유발하였고, 이차 색상(CMY)의 경우, Magenta와 Cyan은 Red와 Green과 유사한 패턴의 정서 반응을 유발하였으나 그 강도는 약하였다. 재인기억과제에서는 실험 1과 실험 2의 경우, Green과 Cyan 조명색상조건에서 제시되었던 사진자극들에 대한 반응이 다른 조명색상조건에서 제시되었던 사진자극들에 비해 약간 빠른 경향이 있었으나 유의미한 차이는 아니었다. 하지만 실험 3에서는 Green 조명색상조건에서 제시되었던 정서단어들에 대한 재인기억반응이 유의미하게 빨랐다. 이러한 결과로 Red나 Magenta와 같은 난색들은 불쾌나 흥분과 관련된 감성을 유발하는 반면, Green이나 Cyan과 같은 한색들은 유쾌나 이완과 같은 감성을 유발하는 경향이 있으며, 일차 색상들이 이차 색상들보다 강한 정적 내지 부적 감성을 유발함을 알 수 있다. 특히 실험 3의 재인 기억과제에서 나타난 결과는 시각 자극보다 언어 자극의 기억수행에 Green 색상의 LED 조명이 더 유리함을 시사한다.
        4,600원
        22.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여러 연구자들이 정서특정적 자율신경계 활동을 밝히기 위하여 행복, 슬픔, 분노, 공포 및 혐오를 포함한 기본 정서들을 사용하여왔지만, Ekman 등(1983)의 기본정서들 중 놀람 정서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다. 본 연구의 목적은 ECG와 PPG를 이용하여 놀람 자극에 대한 심혈관 반응을 밝히는 것이다. 76명의 대학생에게 놀람자극을 제시하기 전과 후에 ECG와 PPG를 기록하였으며, ECG와 PPG 신호로부터 심박률(HR), R-R 간격의 표준편차(SD-RR), 연속된 R-R 간격 차이의 제곱평균제곱근(RMSSD-RR), 호흡성 부정맥(RSA), 손가락 혈류량 파형의 진폭(FBVPA), 손가락 맥파 전달시간(FPTT)을 산출하였다. HR과 SD-RR, RMSSD-RR은 놀람자극 제시 전에 비하여 놀람자극이 제시된 후에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FBVPA는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FPTT는 유의하게 짧아졌다. 놀람 자극은 말초혈관을 수축시키고, 심박률을 증가시키는 교감신경계 반응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심박률 변산성을 증가시키는 부교감신경계도 동시에 활성화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정서이론의 발전과, 인간정서를 탐지하는 컴퓨터 시스템의 기초를 확립하는데 기여하는 바가 있을 것이다.
        4,000원
        23.
        201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functional electrical stimulus( group 1),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group 2) and combined training of functional electrical stimulus and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group 3) with scapula adductor muscles on scapula movement, upper limb function and gait in fifteen subjects stroke patients. The training was thirty minutes a day, five times a week for six weeks, obtained result as follow, upper limb function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group 2(p<.05)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other groups. The change of weight bearing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the groups(p<.05), and increase of gait velocity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the group(p<.05). In conclusion, when applied with functional electrical stimulus,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and combined training to the scapular adductor muscles, it was oberved in the course of the experiment that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was the most effective treatment among the three methods applied to the scapula adductors.
        4,000원
        24.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green peach aphid, Myzuspersicae Sulzer,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insect pest in the world. To assess the efficiency of sound wave to control aphids, we treated a different combination of intensity (66dB, 78dB, 90dB) and frequency (100Hz, 500Hz, 1000Hz) of acoustic stimulus to the aphids. Then we analyzed aphid’s behaviors occurred in each different combination group of acoustic stimulus and control group, and compared them to confirm the most effective sound. We used honey-dew-production (HDP) for behavioral bioassay, which occurs regularly in each nymphal stage and adult period. The rate of HDP decreased in the whole experimental group when compared with control group (F1,358=79.415,P<0.0001). The most effective acoustic frequency was100Hz in which aphids reduced the rate of HDP to approximately 1/3 times low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The treatments of 1000Hz and 500Hz were effective in the order of appearance. The effect of acoustic stimulus seems irregular in the different intensities, and the highest intensity did not show the strongest effect in each frequency. Consequently, the rate of HDP seemed to be affected by the acoustic frequency more than the intensity.
        25.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P300-기반 숨긴정보검사(P300 CIT)에서 검사자극들 간의 물리적 유사성이 P300 진폭과 검사의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사고를 당하여 자신의 이름을 기억하지 못한다고 허위로 주장하는 허위기억상실을 가정한 상황에서, 실험참여자의 이름을 숨긴정보(관련자극)로 사용하여 P300 CIT를 실시하였다. 이 검사에서 실험참여자의 과제는 목표자극과 나머지 자극을 변별하는 것이었다. 한 집단의 실험참여자들은 목표자극과 관련자극, 무관련자극들 간의 물리적 유사성이 낮은 조건(저난도 조건)에서 검사를 받았으며, 다른 한 집단의 실험참여자들은 검사자극들 간의 물리적 유사성이 높은 조건(고난도 조건)에서 검사를 받았다. 기저선-정점 P300 진폭을 측정치로 사용한 경우, 난이도 조건과 자극유형의 상호작용효과가 α=.10 수준에서 유의하였다(p=.052). 저난도 조건에서는 관련자극과 무관련자극 간의 P300 진폭차이가 유의하였으며, 고난도 조건에서는 관련자극과 무관련자극 간의 P300 진폭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정점-정점 P300 진폭을 측정치로 사용한 경우, 난이도 조건과 자극유형의 상호작용효과가 유의하지 않았으며, 저난도 조건과 고난도 조건 모두에서 관련자극과 무관련자극간의 P300 진폭차이가 유의하였다. 기저선-정점 P300 진폭을 이용한 개인별 판단결과, 저난도 조건과 고난도 조건 간의 정확판단율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으며, 정점-정점 P300 진폭을 이용한 개인별 판단결과도 저난도 조건과 고난도 조건 간의 정확판단율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난이도 조건 간의 정확판단율 차이가 기저선-정점 P300 진폭을 이용한 경우보다 정점-정점 P300 진폭을 이용한 경우에 더 작은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검사자극들 간의 물리적 유사성이 높을 때에도 P300 CIT의 효율성이 크게 감소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4,000원
        26.
        200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공포에 대한 연구는 주로 불안과 공포 장애를 가진 환자들을 대상으로 수행되어왔으며, 공포를 불안의 특수한 한 형태라고 생각하여 불안과 공포에 대한 연구가 함께 이루어져왔다. 본 연구에서는 아동이 공포 정서를 경험하는 동안 나타나는 자율신경계 반응을 밝히고자 하였다.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공포 정서를 유발하는 시청각 동영상을 제시하고 심리 반응과 자율신경계 반응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공포 정서의 적합성 및 효과성은 80%이상으로 나타나 공포정서유발자극이 적절하고 효과적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자율신경계 반응 분석 결과, 공포정서가 유발되는 동안 피부전도수준, 피부전도반응, 피부전도 반응의 수, 호흡주기관련 심박률 변화, 호흡수, 심박률분산의 고주파수 성분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심장박동주기는 감소하였다. 공포 정서에 의해 야기된 자율신경계 반응에서는 불안수준이 높을수록 피부온도, 심박률, 호흡주기관련 심박률 변화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불안수준이 높은 아동일수록 공포 정서를 경험할 때 자율신경계 반응의 변화가 더 크다는 것을 나타낸다.
        4,000원
        31.
        200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epartment of Oral Pathology, Dental Science Research Institute, College of Den디'su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It is well known that the expansion of radicular and dentigerous cyst is related to the change of osmotic pressure, while the prolifera디on ofthe 비피19 epithelium in odontogenic keratocyst. When the dentigerous cyst and odontogenic keratocyst has secondary infection, they present the loss of unique sπuctures and epithelial hyperplasia. There is a question whether inflammatory reaction affects cystic formation, expansion and their treatment. Present study is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nflammation and epithelial hyperplasia using immunohistochemial study. Followings are result; 1. 까1e age of patients ranged from 10 to 73 years (mean age, 39 years) in radicular 이5t, 10 to 71 years (mean age, 35 years) in dentigerous cyst and 10 to 54 years (mean age, 23.4 years) in odontogenic keratocyst. The sex distribution of patient distributed 32 cases for male and 16 cases for female in radicular cyst, 13 and 10 in dentigerous cyst and equally 5 and 5 in odontogenic keratocyst. 2. Inflammatory cyst in the present study distributed 44/48 cases (9 1.7%) for radicular cyst, 15/ 23 cases for dentigerous cyst and 1/ 10 case for odontogenic keratocyst. 3. Evaluation of inflammatory reaction and antigen expression, ki-67 , cox-2 and glut-1 expression increase in the inflammatory radicular and dentigerous cyst. 4. In odontoge띠c keratocyst, expression of antigens increase regardless of inflammation. Above results showed that inflammation stimulate the proliferation of lining epithelium leading to cystic expansion.
        4,000원
        36.
        2002.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전기자극에 대한 역돔, Oreochromis niloticus[Linnaeus]의 심전도를 구명하기 위하여, 어체내에 전극을 삽입하여 3 가지 전기자극원(20, 30, 40 Vp ; 10 msec)으로 실험어에 자극을 가하였을 때의 심전도를 서간과 야간으로 구분하여 60분간 조사한 심박수와 생체전위를 자극 전(마취상태, 안정상태)과 자극 후(자극-회복상태, 회복상태)로 구분하여 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역돔은 마취 후 3 분 뒤에 안정상태에 도달하였고, 안정상태에서의 평균상심박수는 서간에 45.8 beat/min, 야간에 45.0 beat/min였고, 평균생체전위는 서간에 1.76 μ V, 야간에 1.75 μ V였다. 2. 자극별 평균심박수는 ① 자극-회복상태에서 전기자극이 20 Vp인 경우, 서간에 34.9 beat/min, 야간에 33.4 beat/min였고, 30 Vp인 경우, 서간에 36.8 beat/min, 야간에 36.0 beat/min였으며, 40Vp인 경우 서간에 38.0 beat/min, 야간에 36.4 beat/min로 나타났다. ② 회복상태에서 전기자극이 20 Vp인 경우, 서간에 45.5 beat/min, 야간에 45.1 beat/min였고, 30 Vp인 경우, 서간에 47.9 beat/min, 야간에 49.0 beat/min 였으며, 40 Vp인 경우, 서간에 51.4 beat/min, 야간에 50.7 beat/min로 나타났다. 3. 자극별 평균생체전위는 ① 자극-회복상태에서 전기자극이 20Vp인 경우, 서간에 2.54μ V 야간에 2.39μ V였고,30Vp인 경우, 서간에 3.30μ V, 야간에 2.30 μ V였으며, 40Vp 인 경우 서간에 6.05 μ V, 야간에 3.23 μ V로 나타났다. ② 회복상태에서 전기자극이 20 Vp인 경우, 서간에 1.92 μ V, 야간에 1.95 μ V 였고, 30 Vp인 경우, 서간에 2.78 μ V, 야간에 2.21 μ V 였으며, 40 Vp인 경우 서간에 3.60μ V 야간에 2.98μ V로 나타났다.
        4,000원
        38.
        1998.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paper, we present change of human sensiblity when the 26 healthy female subjects were exposed with visual picture stimulus. We used Intermational Affective Picture System as the visual stimulus. The methods are AutoRegressive(AR) spectrum which is a linear method and Return Map which is a nonlinear mithod. SR spectrum may variability(HRV). The LF/HF of HRV and the variation of Return Map were analyzed from ECG signal of the female subjects. Return Map of RR intervals were analyzed by computiong the variation. When the subjets were stimulated by the pleasant pictures, LF/HF and variation were decreased compared with unpleasant stimulus, We may obtain good parameters for the measurement of the change of human sensibility for the visual picture stimulus.
        4,200원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