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8

        21.
        2006.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자몽종자추출물처리와 포장재에 따라 반건시 곶감의 품질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자몽종자추출물에 반건시 곶감을 침지한 후 대조구(무포장), LDPE(low density polyethylene) 필름 포장구와 적층 필름 포장구 (Nylon/LDPE)로 각각 포장하여 에서 일간 저장한 결과 다른 포장구보다 적층 필름 포장구(Nylon/LDPE)가 중량변화에서는 86%, 곰팡이 발생율은 60%, 갈변도는 50% 이상 낮게 나타났다. 자몽종자추출물(G
        22.
        2005.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항균효과가 있는 자몽종자추출물과 은이온 용액을 이용하여 숙주나물의 유통 중 신선도 연장을 위하여 polypropylene(PP)필름에 숙주나물 200 g을 침지하지 않은 처리를 대조구로 하여 은이온 용액, GFSE 50 ppm 및 100 ppm 처리, 은이온 용액에 GFSE 50 ppm 및 100 ppm 처리를 하여 밀봉 포장한 후 냉장 온도인 에 저장하면서 실험한 결과이다. 저장 6일째 포장내 이산화탄소와 산소농도를 보면, 이산화탄소농도는
        23.
        2004.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AG의 첨가배지상에서 미생물세포의 생육이 크게 억제된다는 실험결과를 토대로, 미생물에 대한 항균작용의 방식을 알아 보고자, Botrytis cinerea를 배양하여 분리한 여러 가지 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특히 에너지 대사와 관련된 효소들에 대한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여러가지 대사경로에서 주요한 역할을 하는 효소인, hexokinase,glucose 6-phosphate dehydrogenase, malate dehydrog
        24.
        2004.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식물성 천연항균제인 자몽종자추출제재(Boatanical antimicrohiagent-grapefruit seed extract mixture : BAAG)의 항균특성을 구명하고, 과채류의 선도유지제로서의 기능과 효능을 입증하기 위하여 BAAG를 조제하여 과채류의 저장, 유통중 발생하는 변패균주, Fuarium solani, Botrytis cinerea Pencilliumcrutosua Ewinia carotovora Phoma destruct
        25.
        2003.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GFSE 분말제재를 절인 배추에 대하여 0.1%, 0.3% 및 0.5%씩 첨가하여 김치를 만들고 10%에서 숙성하면서 pH, 적정산도, 환원당 함량, 총균수, 젖산균수와 같은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숙성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김치의 pH는 감소하였는데, 대조구와 GFSE 분말제재 0.1% 첨가구, 0.3%와 0.5% 첨가구는 서로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대조구는 숙성 5일의 pH가 4.20으로 김치의 숙성 적기로 판단되는 범위에 도달하였는데
        27.
        1996.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investigate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and effect of grapefruit seed extract(GFSE) on the physiological function of microorganism, antimicrobial activity, fatty acids of bacterial cell lipid and amino acids of bacterial cell protein were measured. The change of cell morphotype was observed b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GFSE was very stable on the wide range temperture and pH. The growth rate of E. coli and B. suvtilis were decreased above 40ppm GFSE There for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of the E. coli and B. subtilis to GFSE were determined around 40ppm. In the change of fatty acids quantities, hexadecanoat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on the treatment compared with control in case of E. coli, whereas tridecanoate was not detected in case of B. subtilis. In the change of amino acids quantities, alanine, glutamic acid, glycine, lysine were decreased on the treatment compared with control in case of E. coli and B. subtilis Transmission electron microsgraphs(TEM) showed the microbial cells were destroyed by GFSE.
        28.
        1994.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veral bactericides and fungicides against fruit & vegetable decay grapefruit seed extract(GFSE) was tested in a dilution solution. GFSE was shown to be effective against decay and rind breakdown and to extend the shelf-life of fruits and vegetables during storage and tiansport. Antimicrobial efficiency of GFSE on a wide spectra of gram + & - bacteria, moulds and yeasts was demonstrated by the measurement of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s performed (Bacteria 10-500ppm, Fungi:250-1,000ppm, Yeasts:100-250ppm). GFSE was separated and extracted into water-soluble fraction, water-insoluble and non-dialyzed fraction to isolate the antimicrobial substances. The water-soluble fraction showed the most active antimicrobial effect. The antimicrobial substances were isolated by gas chromatography. As the result of the isolation using GC, Peak-D was found to be the antimicrobial compound in GFSE. The identification of the most antimicrobial substance was carried out by using GC-MS.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