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7

        21.
        2002.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새 번식방법 개발을 위해 둥굴레 뿌리는 눈이 없어도 부정아가 발생된다는 점에 착안하여 뿌리길이와 굵기에 대한 부정아 발생에 관한 시험 연구를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년차는 뿌리길이가 5cm 경우 66.5%지만 15cm에서는 113% 부정아 발생되었고, 뿌리의 굵기 5mm이하는 98.3%지만 10mm이상은 113.3%로 46.7% 차이를 보였다. 2년차는 부정아 생성률은 15cm에서는 1년차의 3배, 시험구 설치 당시 전혀 눈이 없는 상태에서 4배의 증식을 보였다. 용토는 일반토양 2.6배 보다 모래나 펄라이트가 3.1~3.3배 증식 되었다. 대량번식을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10mm 둥굴레 뿌리를 5cm로 절단하여 모래에 식재하는 방법으로 판단된다.
        22.
        199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or the mass production of plug seedlings in cultivar ‘Dejima’ potato (Solanum tuberosum L.) the optimal apical cutting diameter for rooting and rapid multiplication of stem cuttings in hydroponics were determined. In addition, the best planting date was predicted to increase tuber yield of plug seedlings at fall cropping in Cheju-Do, Korea. Days to initial rooting decreased as the cutting diameter was reduced. Plant height, leaf number, root length and root weight per plant were favorable as the cutting diameter was small. The ideal cutting diameter was 1-2 mm in this experiment. In the hydroponic cultures, the Japanese standard (JS) nutrient solution was the most effective for multiplication of stem cuttings. It was able to propagate more than 20 times a month from a single mother plant. Viability of plants, which were derived from plug seedlings using stem cuttings, was excellent when transplanted to the field. The number of tubers and tuber yield in both of the plug seedlings and seed potato planting plots were high when planted on 25 August. The number and yield were reduced when planted on 15 August, 5 September and 15 September. The degree of decrease of tuber yield in the plug seedling planting plot however, was lower than that of seed potatoes when the planting date was late. In the case of small tubers (under 30 g), the number of tubers and tuber yield were evidently increased in the seed potato tuber planting plot; the yield of large tuber (over 80g) in the plug seedling planting plot was higher than that of the seed potato. The total tuber yield per plant in the plug seedling planting plot was less than that of the seed potato;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uber yield it was necessary to increase field plant density.
        23.
        199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토천궁의 줄기마디를 이용한 효율적인 삽목번식 기술을 개발하고자 수행한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삽목시는 8월30일 1~2마디삽목에서 발근율이 81%로 가장 높았고 발근상태도 양호하였다. 2. 삽수채취에 따른 수량감소는 주당경수의 50%채취에서 9%이하 였으나 100% 채취에서는 10~23%로 비교적 높았다 3. 삽목묘의 포장정식후 활착율은 9월25일 및 10월25일 정식에서 각각 85%, 87%로 높았으나 11월25일 정식에서는 28%로 낮았다. 4. 10a당 수량은 9월25일및, 10월25일 정식에서 각각 127kg, 120kg으로 높았다.
        24.
        199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감자의 생장점 배양을 통하여 생산된 소량의 소괴경(microtuber)을 경삽하여 균일하게 생장된 플러그우량묘를 대량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 삽수를 정단 및 기부부위로 구분하고 NAA 및 IAA 10 mg /1 용액에 2시간 침지하여 cocopeat, vermiculite, perlite, peatmoss 혼용배지를 이용한 삽목과 온로장 처리 ,포장정식후 괴경형성효을에 대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감자의 소괴경 유내 줄기를 이용한 플러그 삽목시 고체배지는 cocopeat, vermiculite, perlite, peatmoss를 이용한 혼합배지에서 플러그의 형성율이 양호하게 나타났다. 2. 고온장일조건(20℃ 이상, 16시간의 일장)에서는 지상부생육 및 지하부발근이 양호하였으나, 외부방치구에서는 발근이 부진하고 복지가 발생하여 소괴경이 형성되었다. 3. 지상, 지하부 생체중은 생장조절제 전처리시 NAA 10mg/1 및 IAA 10mg/1 간에 차이가 없었다. 4. 삽수부위별로는 삽목묘의 초기생육은 초장에서는 비슷한 경향이었고, 그 외 엽수, 근수, 근장 등의 형질은 정단부위묘가 양호하였지만, 포장정식 후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5. 삽목묘를 봄재배하여 괴경형성여부를 시험한 결과 초장은 70~80cm, 복지수 10여개, 괴경수는 7~8개가 형성되었다.
        26.
        1993.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rowth regulators and medium composition on the growth of each stage in apical meristem culture for mass propagation of Zanthoxylum piperitum var. inerme Makino. The source material, shoot tip segments were taken from three-years old graft trees. Apical meristems were cultured in vitro on basal MS, GD, WS, half strength MS(1/2MS) and half strength GD(1/2GD) media supplemen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for growth regulators(BA, IBA) and inorganic nutrients. The results summarized are as follows: 1. In culture establishment stage, ratio of culture establishment was 96.7% and the best resuit was obtained using MS medium supplemented with 1.0mg/l BA and 0.2mg/l IBA. 2. In shoot multitication stage, both shoot multiplication and growth were achieved in average 5.6cm. These results were obtained on in MS medium supplemented with 1.0mg/l BA and 0.2mg/l IBA. 3. In roothing stage, phloroglucinol(PG) acted as IBA synergist in root initiation. The most faverable combinations for root development was half-strength MS medium supplemented with 162mg/l PG and 0.2mg/l IBA, and ratio of rooting was 58.0%. 4. In Vitro formed plantlets were transplanted to paper pots in greenhouse with 85% of relative humidity. 96% of survival rate was obtained from artificial soil mix having same volume of sand, vermiculite, peat, and soil.
        27.
        198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반하〔Pinellia ternata(Thunb.) Briet〕의 조직을 기내배양하여 callus 유기, 기관분화 및 자구를 증식시키는데 적합한 배지와 배양부위를 선정코저 Mur-ushige & Skoog 배지에 2,4-D와 kinetin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검토하였고 또한 배양온도 및 배지의 pH 영향을 조사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Callus 유기는 배양 5~7일 후에 엽조직 및생장점조직의 절단면에서 관찰할 수 있었으며 2,4-D 2.0mg/ +kinetin 0.2mg/ 을 첨가한 구에서 callus의 형성 및 생장이 가장 양호하였다. 2. 자구의 형성은 엽조직 및 생장점조직을 2,4 -D 2.0mg/ +kinetin 0.2mg/ 또는 2.4-D 2.0g/ +kinetin 2.0mg/ 을 첨가한 배지에서 양호하였고 근 및 괴경조직에서는 자구가 전혀 ?성되지 않았다. 3. 엽의 부위별 자구형성능력은 Petiole이 자구형성수, 크기, 엽면적 및 생체중에 있어서 marginal meristem, minor vein area 및 intercostal area 보다 양호하였다. 4. 경의 부위별 자구형성능력은 상부위 조직일수록 자구의 형성수 크기, 엽면적 및 생체중이 양호하였으나 하부위일수록 불량하였다. 5. 배양온도는 25℃ 에서 callus 유기, 크기 및 생체중이 가장 양호하였다. 6. 배지의 pH는 4.5~7.5에서 모두 callus가 유기되었으나 그중 pH 6.0 배지에서 가장 양호하였다. 7. 재생되는 식물체 일부가 광엽화되는 경향이었으며 소수의 albino 식물체와 변이체도 관찰할 수 있었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