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7

        21.
        2016.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 부여와 저장성이 증진된 국수를 개발하고자 양파분말을 국수에 첨가(0, 3, 5, 10%)한 후 품질특성과 저장성을 조사하였다. 양파 생면의 수분은 양 파분말 첨가량의 증가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pH는 감소 하였다. 양파 생면의 조리 후 중량과 부피, 수분흡수율은 대조구와 양파분말 첨가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색의 경우 생면은 양파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L값과 a값은 감소하 고 b값은 증가하였으나 조리면은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 다. 생면의 총 폴리페놀 함량과 DPPH radical 소거능은 양파 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조리후에는 함량이 전체적으로 감소하였으나 생면과 동일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양파 조리면의 조직감의 경우, 경도와 씹힘성 은 대조구가 양파 첨가군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나 탄력성은 대조구와 양파분말 첨가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생면을 1 0℃에서 12일간 저장하면서 총균수를 측정한 결과 양파분 말 첨가군은 대조구에 비하여 저장성이 최소 6일 이상 연장 될 수 있었으며 그 중 양파분말 5% 첨가구가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간주되었다. 양파 조리면의 관능검사 결과 외관, 맛, 냄새, 조직감 및 전체적인 기호도는 대조구와 양말분말 첨가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로 볼 때 양파분말을 국수에 5% 첨가함으로서 기능성 부여와 저장 성이 증진된 국수를 개발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22.
        2016.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식용 귀뚜라미를 고압증기멸균한 뒤 동결건조하였으며, 이를 분쇄하여 AL/PET/LLDPE film에 포장 후 25, 35 및 40℃에서 6개월 동안 저장하며 한 달 간격으로 품질변화를 측정하였다. 수분함량은 저장기간 중 모든 구에서 증가하 였으나, 저장 6개월 차에 저장온도별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산가의 초기값은 1.83 mg KOH/g 이였으며, 저장 6개월 차에 25, 35 및 40℃ 저장구는 1.93, 2.04 및 2.15 mg KOH/g 으로 증가하였다. 지방산은 palmitic acid, oleic acid 및 linoleic acid가 24.79, 28.58 및 28.55 g/100 g으로 높은 함량 을 나타내었으며, palmitic acid 및 linoleic acid는 저장온도 별 증·감소의 경향이 뚜렷하지 않았으나, oleic acid는 저장 기간 중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일반세균 및 대장균 군은 저장기간 동안 검출되지 않았다. 관능검사의 경우 25 및 35℃ 저장구는 유의적 차이가 없으나, 40℃ 저장구는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저장기간 중 품질에 영 향을 미치는 인자는 수분함량, 산가, oleic acid 및 flavor로 판단되었으며, 이들의 한계 기준을 각각 5%, 3 mg KOH/g, 26.5 g/100 g 및 6으로 설정하여 유통온도 25℃를 기준으로 VSLSF 프로그램으로 유통기한을 산출하였다. 수분함량, 산가, oleic acid 및 flavor의 유통기한을 산출한 결과 23, 61, 150 및 155개월이었으며, 유통기한이 가장 짧은 항목에 안전계수 0.8을 적용하여 18개월로 설정하였다. 이상의 결 과는 제조 후 25℃ 유통조건에서 18개월까지는 귀뚜라미 분말의 품질 안정성이 유지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23.
        2010.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어수리의 실용적인 활용방법을 모색하기 위하여 어수리 분말을 첨가하여 생면을 제조하고. 이들 면의 품질특성과 저장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어수리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 할수록 국수의 중량, 부피 및 수분흡수율이 감소하였다. 어수리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국수 국물의 탁도와 조리중 고형분 손실량이 대조구에 비해 낮았다. 어수리 분말 첨가에 의해 생면의 명도(L)와 적색도(a)는 감소하였으며, 황색도(b)는 증가하였다. 어수리 분말 첨가에 의해 국수의
        25.
        2001.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키토산을 각각 0% (Co), 0.05%(A), 0.1%(B), 0.3%(C), 0.5%(D)의 비융로 침가하여 백설기를 제조하여 키토산 첨가에 따른 백설기의 품질특성과 저장성을 조사하였다. 백설기의 품질특성은 pH, 수분함량, 색상, 기계적 texture를 측정하고 관능검사를 행하였으며 백설기의 저장성은 . 에서 저장중 생균수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키토산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의 pH는 5.65로 산성 올 나따낸 편이나 키토산 첨가군은 모두 p
        26.
        1998.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effects of the water extracts from thyme(TM) and tarragon(TG) on shelf-life and quality of kimchi were investigated by measuring the changes in pH, acidity, number of total microorganisms, number of Lactobacillii and Leuconostoc during fermentation at 1, and were tested for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Lactobacillus plantarum and Leuconostoc mesenteroides. TM and TG were extracted with water, ethyl ether, ethyl acetate and ethanol. Water, ethyl ether, ethyl acetate and ethanol extracts of TM showed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Lactobacillus plantarum and did not observed against Leuconostoc mesenteroides. On the other hand, water, ethyl acetate and ethanol extracts of TG showed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Leuconostoc mesenteroides and did not observed against Lactobacillus plantarum. The decrease of pH and the increase of acidity showed lower in kimchi prepared by adding water extracts from TM than in products from TG. The number of total microorganisms were also detected less in the kimchi prepared by adding water extracts from TM. And, the properties of barkless of kimchi measured instrumentally were higher for kimchi prepared by adding water extracts from TM, also maintaining good crispness. The optimal addition amounts of both TM and TG for good overall and spicy taste of kimchi were 0.03%. The results suggested the possible use of the extracts of TM and TG can be successfully used for the quality and extension of shelf-life of kimchi.
        27.
        1995.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study the shelf-life of cut cabbage kimchi, we examined the several quality characteristics of cabbage kimchi under various storage temperatures and packing materials. The pH of kimchi extracts were decreased to 4.0 in the condition of storage at 8 during 6 days, at 4 during 18days, 0 during 42 days. The increase patterns of the organic acid were reverse to the changes of pH under the all conditions. The contents of reducing sugar were continuously decreased at 8 , but increased gradually at 0 and 4 storage conditions. The contents of vitamine C were decreased at the early storage but increased to optimum ripening stage of pH 4.2-4.4 and after decreased continuously. The total bacterial cell counts of cabbage kimchi were increased suddenly at the early storage and after decreased gradually. And at the higher storage temperature, the more lactic acid bacteria were. On the results of sensory evaluation of cabbage kimchi at marketable shelf-life, sour taste and sour smell were significant under all experimental conditions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On the above all results, we concluded that the marketable shelf-life of cut cabbage kimchi were 42 days, 19 days, 6 days at 0, 4, 8 storage condition respectively.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