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63

        381.
        200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고는 이황과 조식의 문도들에 의하여 그 학문이 계승 발전되면서 한국적 성리 철학의 틀이 잡혀가고 있던 17세기로부터 성리학이 그 역사적 기능을 종료하던 19세기까지에 걸쳐 강우지역에 나타난 유학의 흐름과 쟁점에 대한 간략한 정리이다. 17세기 초반 강우학파는 鄭仁弘을 중심으로 정치적·학문적 극성기를 누렸으나, 정인홍이 조선성리학의 정통으로 간주된 이황을 비판하고 패륜적 정치사건에 휘말린 일을 계기로 하여 급격히 몰락하게 되었다. 그 후 거의 한 세기에 걸친 시기 동안 강우 유학은 그 餘震의 치유에 매달려야 했으며, 심각한 학문적 침체기를 맞게 된다. 17세기 후반에서 18세기 동안 강우지역은 학계의 소외지역으로 남아 있었으며, 몇몇의 학자들에 의하여 간신히 명맥이 유지되는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였다. 퇴계학과 畿湖의 주기학이 강우를 점령하고, 당파적으로는 남인과 서인이 됨으로써 강우가 본래 가지고 있던 학문적·정치적 정체성을 상실하게 되었다. 긴 어두움이 지나고 19세기에 이르자 강우 유학은 다시 크게 떨치고 일어나는데, 그 주력은 退溪學과 호남의 蘆沙學의 영향권 하에 있었다. 그 특징은 理를 중시하는 학풍이 다른 어떤 곳보다 강했다는 것이며, 이는 성리학적 신념을 고수하는 유학자들이 서세동점의 시기에 대응하는 가장 완고하면서도 근본주의적인 방법이었다. 이를 통해 절의론의 신념을 강화한 강우의 유학자들은 비록 시대의 변화에 탄력적으로 대응하지 못했다는 한계는 있지만, 보수적인 유학자들이 행할 수 있는 가장 적극적인 방법으로 국권상실의 시대에 자기에게 맡겨진 임무를 수행해 갈 수 있었다. 그것은 유학의 기능이 종언을 고하는 시대를 화려하게 장식하는 불꽃과 같은 것이었다.
        382.
        200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訥庵 朴旨瑞(1754-1819)는, 朝鮮 英·正祖 때 慶尙右道에서 활약했던 학자로 일생 동안 벼슬에 나가지 않고 學問硏究와 弟子養成에 전념했다. 특히 그는 南冥學을 家學으로 하는 泰安朴氏 家門에서 태어나 6대조 凌虛 朴敏과 曾祖父 朴泰茂의 정신을 이어 江右地域에서 비중 있는 역할을 하는 학자로서 여러 가지 큰 儒林事業을 해내었던 것이다. 訥庵은, 近畿南人의 대표적인 학자인 順菴 安鼎福과 退溪學派의 대표적인 학자인 東巖 柳長源을 스승으로 삼아 근기남인과 江左地域의 학자들과 폭넓은 學問的 교류를 하면서, 慶尙右道의 學問的 位相을 높이려고 노력한 중요한 인물이다. 그는 南冥의 文廟從祀를 청원하는 疏章을 저술한 남명학파의 핵심적인 인물이다. 남명학파에 속하는 학자로서는 文集의 분량도 상당히 많은 편이고, 그의 문집은 南冥學派 및 江右地域의 學問的 動向을 알 수 있는 文獻的 價値가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는 당시 學者들로부터 '江右儒宗', 또는 '南州第一人'이라는 稱道를 받았다. 本考에서는, 訥庵 朴旨瑞의 生涯와 그의 폭넓은 師友關係, 당시 江右儒林社會에서의 역할 및 江右學派 연구의 寶庫라 할 수 있는 그의 문집인 『訥庵集』의 내용 및 가치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訥庵은 江左地域의 많은 學者들과 近畿南人學派의 학자들과 폭넓게 交遊하여 학문적 視覺을 넓혀 江右地域 학자로서의 한계를 초월할 수 있었다. 그래서 그의 문집의 분량도 江右地域의 앞 시대 학자들보다 증가할 수 있었다. 江右地域의 先輩學者들의 著述이 거의 없었고, 學統이 이어지지 않았기에, 訥庵이 계승할 수가 없어 정신적으로는 南冥을 이었지만 그 學問形成은 朱子와 退溪의 學問에서 得力하고 있다. 그가 수행한 뚜렷한 業績으로는 南冥의 陞 運動을 비롯한 여러 先賢들의 宣揚事業과 原稿 상태로 남아 있던 이 지역 이전 學者들의 文集의 교정·간행과 매몰된 先賢들의 事蹟을 정리하여 碑碣을 세우는 일이었다. 그의 이러한 왕성한 學問的 交遊와 活動은, 仁祖反正 이후 침체되었던 江右學派가 새롭게 일어날 기초를 마련하여, 19세기부터 江右地域에 많은 학자들이 배출되게 만든 原動力이 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385.
        2003.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설계확률강우량에 대한 다양한 강우의 시간적 분포유형을 시화호 유역에 적용하여 강우분포유형에 따른 유출특성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시화호의 저수지 추적을 통하여 저수위에 미치는 강우분포유형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저수지추적시 외조위 조건을 고려하였으며, 저수위를 산정할 수 있는 프로그램(IWSEA)을 개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저수지 유입 홍수유량은 Mononobe분포식을 적용할 때 제일 크게 나타났고, 최고저수위는 외조위 조건이 소조일 때,
        386.
        2003.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기상레이더와 지형정보 시스템을 이용한 홍수사상에 기초하고, 운동역학적이며, 초과강우가 고려된 분포형 강우-유출 유역모형이 개발되었다. 이 유역모형에서 강우로 인한 지표면 유출 및 지표면 흐름과 관련된 각종 변수의 공간적 변동성과 불확실성을 인식하고 설명한다. 개발된 모형은 래스터 지형정보시스템과 공간적ㆍ시간적으로 변하는 강우자료와 호환된다. 몬테칼로 모의와 우도값이 이 모형의 검정을 위하여 이용되었으며, 검정 모형으로부터 반응되는 시스템의 가능범위가 허
        387.
        2003.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강우의 지속시간을 처리하는 방법에 따라 AMC조건과 강우의 시간분포인(1차, 2차, 3차, 4차 모멘트)가 유출에 미치는 연관성을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강우를 10분위로 고려하는 경우, CN은 AMCIII조건에서 1차 및 2차 모멘트와 상관성을 보였으나 그 외의 조건에서는 상관성이 없었다. 또한 첨두유출비(QP/Q)는 AMC I조건에서 3차 및 4차 모멘트와 상관성을 보였으며, AMCIII조건에서는 1차 및 2차 모멘트와 상관성을 보였다. 강우의 전체
        388.
        2003.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은 3개의 강우관측망과 최적 강우관측망을 토대로 호우의 면적 평균강우량 산정용 섬진유역 강우관측망의 개량안을 제안했다. 강우관측망 설계문제는 면적평균강우량추정분산으로 나타내지는 정확도와 자료 수집비로 구성되는 목적함수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익히 알려진 분산경감법으로는 최소화 알고리즘인 SATS기법이 채용되었다. 첫 단계에서, 비용에 부과된 2개의 교환계수값에 따라 최적 관측망과 대안관측망이 얻어졌다. 다음 단계에서, 최적으로 선정된 우량국에 기존
        389.
        2003.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목적은 레이더 자료의 활용을 위해 레이더 반사강도와 강우강도 사이의 레이더 관계식을 산정하는 것이다. Z-R 관계식를 산정하기 위해 충주댐 유역의 수위표지점중 영춘 수위표 지점의 유출량이 1,000~8.519㎥/sec인 강우사상을 선정하여 Z-R 방정식을 산정하였다. 32개의 강우량 관측소에서 A: 26.4~37.4, =0.97~l.56.의 범위내에 분포함을 알 수 있었다. 산정된 Z-R 방정식의 상관계수는 0.63~0.748범위이며, Z=2
        390.
        2002.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전체탐색기법 중 Simplex법의 원리를 이용한 SCE-UA법과 Annealing-Simplex (A-S)법을 일유출량 추정 수문모형인 탱크모형의 매개변수 보정에 적용하여 국부탐색기법인 Downhill Simplex법의 결과와 비교하여 탐색능력을 평가하였다. 오차가 없는 합성자료를 사용한 보정에서 A-S법이 목적함수에 관계없이 전역최적해를 탐색하는 결과를 나타냈으며, SCE-UA법은 ABSERR를 목적함수로 사용할 경우에 전역최적해를 탐색
        391.
        200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홍수유출해석을 위한 확정론적 유출모형의 개발에 있으며, 유출과정은 비 선형으로 취급하여 단순화시킨 개념적 모형을 유역유출모형으로 제시하였다. 개념적 모형의 구조는 지표유출을 일으키는 지표면과 지표하유출을 일으키는 토양층으로 구분하고 이들 각 구조를 지표와 지표하로 나누어 유출과정을 개념화하였으며, 지표흐름의 지체효과는 부탱크를 도입하여 나타내었다. 지표하 구조에서 중간 및 지표하 흐름의 성분들은 수치 filter를 이용하여 분리하였다.
        392.
        200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WGR 강우모형으로부터 모의된 공간적으로 분포된 강우자료를 수정Clark방법으로 유출 해석하여 면적평균강우의 추정에 따른 오차와 유출오차사이의 관계론 고찰해 보았다. 이러한 관계는 강우관측소의 밀도를 다양하게 변화시켜가며 아울러 호우의 방향을 여러 가지 경우로 가정하여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면적평균강우의 추정오차 및 이에 따른 유출오차는 강우관측소의 밀도가 높아짐에 따라 지수함수적으로 줄어들고 있으며, 어
        393.
        2002.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하천유역 면적강우량 산정의 정확도를 개선하기 위하여 기존 강우관측자료의 통계적 특성을 이용한 강우관측망의 최적설계방법을 연구하였다. 최적설계를 위한 목적함수는 면적강우량의 추정오차 및 지점강우량 관측비용의 항으로 구성하고, 그 값이 최소인 관측망은 선정하였다. 통계f7파의 추정방법으로는 통계적 분산 산정방법인 크리깅 모형을 채택하였다. 비용은 강우관측소의 설치비와 연간운영 비론 적용하고, 오차항과 비용항의 통합에는 등치매개변수를 이용하였다. 연구된 최적
        394.
        2002.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hanges of chemical properties by times of the reclaimed tidal land soils and soil surface water, underground infiltration water with precipitation-runoff on natural meteological condition in the unripened tidal reclaimed paddy fields were investigated.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use environment-friendly farm land in the reclaimed tidal lands. The soils used in this study were saline-alkaline soils with the high Na+ and Mg++ content. As the results of investigation outflow loading of nutriments through outflow water in the unripened tidal reclaimed paddy fields by precipitation during the survey period, nutriments equivalent to T-N 1~2 kg 10a -1 and T-P 0.01~0.02 kg 10a-1 from in the unripened tidal lands were discharged. Besides, the results of comparison losses of cation through outflow water showed Na+> K+> Mg++ > Ca++, and the highest appeared water discharge of Na+. In case of saemangeum reclaimed tidal land soils water discharge of cations showed Ca++ 1.3 kg 10a-1, Mg++ 1.6 kg 10a-1, Na+ 17.7 kg 10a-1, and K+ 3.2 kg 10a-1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in case of koheung reclaimed tidal lands soils water discharge of cations showed Ca++ 18.1 kg 10a-1, Mg++ 31.2 kg 10a-1, Na+ 320.8 kg 10a-1 and K+ 51.2 kg 10a-1 respectively.
        395.
        2002.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공간적으로 분포된 강우자료를 바탕으로 한 강우유출관계를 고찰하고, 기존의 공간 평균된 강우유출모형과 비교하여 유역을 공간 평균함으로써 내재되는 불확실성을 분석하여 이를 정량화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였다. 과거 관측된 호우사상을 단순 크리깅 기법을 이용하여 공간적으로 분포된 강우자료를 구축하였다. 공간 분포된 강우와 공간평균강우의 유출을 비교하기 위하여 공간 분포된 강우를 수정 Clark 방법에 의해서 유출계산을 수행한 결과와 지점 강우
        396.
        200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examins the prestigious scholarship genealogy and trend of scholars who lived in the right side of Kyungsang province in the 19th century. In the right side region of Kyungsang province in 19th century, Lee Jin Sang(李震相) and Kwak Jong Seok(郭鐘錫) overtured the theory that the mind(心) is just Li(理). The theory criticized an old theory that the mind includes Li and Ki(氣) or the theory that the mind is just Ki. The theory is unique on the basic understanding that the mind is ruling Li and put an emphasis on the reality of the mind. The theory is for the quest of an answer in the Ki-centered theory(主氣說) which dominated the period. In the later half of 186, the right side region of Kyungsang province accommodated many other theories from another regions. First of all, Huh Jeon who is from Pocheon Kyunggi province promoted the scholarship trend of right side of Kyungsang province and the studies of etiquette. In addition to that the Li-centered theory(主理說) which was suggested by Ki Jeong Jin from Jeol la province was actively accepted. The scholars from right side region of Kyungsang province also accepted Lee Hang Lo's Li centered theory. Thereby the scholars who lived in the right side of Kyungsang province united themselves setting them free from Confucian party oriented mind or scholarship genealogy. The scholars who live in the right side of Kyungsang province held many seminars. And they also held Hyangeumjurye(鄕飮酒禮 : banquet for identifying young and old). In Sancheong. 1877, seminar and banquet were the example in case. By taking this opportunity, the scholarship trend of promoting Nam Myeong(南冥 : representative Confucian scholar) vividly revived. Also by taking the chance, the scholars who lived in the right side of Kyungsang province newly established their theory and set to put their best effort to promote and research the meaning of Nam Myeong' philosophy. In te following year, they held seminar at Seon Seok temple(禪石寺) in Seong Ju. The meeting also has an important meaning to unite the scholars who live at the right side of Kyungsang province. The seminar and scholar's activity at the right side region of Kyungsang province in the 19th century has greatly contributed to the confucian independent movement by uniting representative of confucian scholars all through the nation in 1919.
        397.
        200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culmination of the culture in the Josun Dynasty was reached i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Sik Jo (pen name, Nammyung : 1501 - 1572). His work marked a moral boundary in academia at that time. When we consider his great fame, it was natural many scholars and his followers make him their scholastic and behavioral model. These followers formed the Nammyung School and they took active parts in politics in and out of government service until King Sunjo and Gwanghaegoon. But the execution of Inhong Jung (pen name, Rae-Am : 1536-1623), leader of the Nammyung School and mentor of Gwanghaegoon, served as a momentum for decentralizing the school at the time of The Enthronement of King Injo subsequent to dethronement of King Gwanghasgoon in 1623. Hongdo Ha (pen name, Gyumjae) then acted on behalf of the school when the school had lost its cohesion. The year 1728 witnessed the Moosin Year Disturbance led by Heeryang Jung, which was one of the loud cries raised by confucian scholars to regain the positions they had held before the Enthronement of King Injo. Moreover the Noron Party. the group of followers of Siyul Soug and also the party in power, forced the Namin Party, another party in this area, to support it, while it prohibited the Namins from taking any state examinations by law after the Moosin Year Disturbance had been subdued. The Noron Party designed to attract the Namin Party to their side by disturbing its cooperation with the Soron Party, the followers of Jung Yoon, a disciple of Siyul Song's. With the Noron Party's intricately planned policies and efforts, most pepole in the Namin Party in this area became part of the Toegye School in the end. This paved the way for combining the right side and the left side of the Nakdong River as a natural result. There were few eminent scholars or government officials in high positions from the right side of the Nakdong River. In the meantime many scholars had come to stand by either the Noron Party or the Toegye Schoo. But the majority of Confucian scholars' respect for Nammyung had not faded away and his books were still being published. King Jungjo finally granted Nammyung a Royal Oration for the Sacrificial Rite in 1796 and conferred government positions on his descendants after over a century of persecution. The royal edict triggered the revival of the scholastic trend in this area and built a promising foundation for thriving academic achievement in the 19th ecntury.
        398.
        200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모형의 구조가 상대적으로 간단한 구형펄스모형을 이용하여 I-D-F 곡선을 유도할 수 있는 이론적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강우모형의 구조를 고려하여 유도되는 I-D-F 곡선은 관측 강우의 1차원 및 2타원 통계 특성을 이용하여 추정된 매개변수에 의해 그 형태가 결정되므로 년최대치계열을 이용하여 추정하는 1-D-F 곡선에 비해 비정상적인 강우사상에 상대적으로 덜 민감하게 된다. 본 연구는 서울 및 인천지점에 적용되었으며 이때. 유도 된 I-D-
        399.
        2001.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강우유출시 발생되는 질소는 그 발생특성과 천이기작의 비정상성과 공간적 불균일성이 극심하다. 분산형 질소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서 GRASS-AGNPS 호환모형을 사용해서 비점오염 현상을 모의했다. 오염물의 거동에 대한 지형의 영향을 추정하기 위해 수치표고도를 구축하였다. 대상유역은 경북 청도군 청도읍의 한재천 유역으로 선정되었다. 모형 보정을 위한 수질자료는 강우시 유역내 15개 지점으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여 실험실에서 분석하였다. 모형 보정방법은 시행착
        400.
        2001.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GR 강우모형은 중규모 정도의 강우를 표현하기 위해 개발된 개념적인 모형으로 대기의 동역학적 특성과 강우의 통계학적 특성이 비교적 잘 반영된 모형이다(Waymire 등, 1984). 그러나 이 모형은 최대 18개의 매개변수르 가지며 모형의 구조가 강한 비선형성을 가지고 있어 매개변수 추정이 매우 어려운 문제로 남아 있다. 지금까지 각각 다른 지역의 강우에 대해 비선형 최적화 기법(non-linear programming; NLP)을 이용하여 매개변수를